본문 바로가기

성경 안에서 던지는 행위가 갖는 상징성

샤마임 2025. 5. 4.
반응형

성경 안에서 '던지다'가 갖는 상징성

성경은 사람의 행위와 언어를 통해 하나님의 뜻을 드러내는 신적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던지다'라는 행위는 단순한 물리적 동작을 넘어서, 심판과 심정의 토로, 죄의 전가, 희생, 구원의 은유 등 복합적인 신학적 의미를 내포합니다. 특히 고대 팔레스타인의 문화 속에서는 돌을 던지거나 죄를 바깥으로 던져내는 행위가 사회적, 종교적 의미를 가지며 사용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성경 본문 안에서 '던지다'가 어떤 상징성을 갖는지, 히브리어와 헬라어 원어 해석을 바탕으로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주제별로 정리하고자 합니다.

 

구약의 상징: 던짐을 통한 분리와 심판

죄를 멀리 던지는 은유

레위기 16장에서는 대속죄일에 제사장이 염소에게 백성의 죄를 안수하여 광야로 보내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는 히브리어 '샬라흐(שָׁלַח, 샬라흐)'로 '보내다', '내던지다'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죄를 멀리 던져버리시며, 백성을 깨끗하게 하신다는 상징입니다. 시편 103편 12절에서도 "동이 서에서 먼 것 같이 우리의 죄과를 우리에게서 멀리 옮기셨으며"라고 표현되며, 던짐은 죄와의 단절, 용서의 은유로 사용됩니다.

심판의 도구로서의 던짐

구약에서는 하나님의 심판이 임할 때 사람들이 바다에 던져지거나 돌에 맞아 죽는 장면이 종종 등장합니다. 여호수아 7장에서는 아간과 그의 가족이 죄로 인해 돌에 맞고 불태워지고, 그들의 시체는 돌무더기 아래에 던져집니다. 이는 하나님의 거룩함과 공동체 내의 정결함을 유지하기 위한 행위로, 던짐은 부정한 것, 죄된 것을 밖으로 배제하는 상징으로 기능합니다.

 

신약의 상징: 던짐을 통한 구원과 심판

예수님의 비유 속 던지는 행위

예수님께서는 비유를 통해 던지는 행위를 여러 차례 사용하셨습니다. 마태복음 13장의 가라지 비유에서 마지막 날 천사들이 "불 속에 던져 넣는다"는 표현은 헬라어 '발로(βάλλω, 발로)'로, 이는 '내던지다', '강하게 던지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심판에서 불순한 것이 제거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궁극적인 구별과 정화를 상징합니다.

돌 던짐의 금지와 은혜의 선언

요한복음 8장에서 간음하다 잡힌 여인을 향한 돌 던짐은 사회적 정죄의 대표적 상징입니다. 사람들이 "돌로 치려" 할 때 예수님은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 하셨고, 결국 아무도 돌을 던지지 못했습니다. 이는 헬라어 '리토볼레오(λιθοβολέω, 리토볼레오)'—'돌을 던지다'에서 유래하며, 예수님은 이 행위를 멈추게 함으로써 은혜와 용서의 권위를 선언하셨습니다.

 

던짐과 인간 내면의 변화

염려를 하나님께 던짐

베드로전서 5장 7절은 “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고 말씀합니다. 여기서 '맡기라'는 헬라어 '에피리프토(ἐπιρίπτω, 에피리프토)'이며, 본래 '던져 얹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이는 인간의 두려움과 염려를 스스로 붙들지 말고, 믿음으로 하나님께 던져 맡기라는 의미입니다. 던지는 행위는 의탁과 신뢰의 상징으로, 믿음의 삶에서 중요한 영적 훈련으로 나타납니다.

악한 것들을 버리는 선택

히브리서 12장 1절에서는 "모든 무거운 것과 얽매이기 쉬운 죄를 벗어 버리고"라는 구절이 등장합니다. 여기서 '버리다'는 헬라어 '아페티다이미(ἀποτίθημι, 아포티데미)'로 '내던지다, 벗어버리다'는 뜻입니다. 이는 악한 습관과 죄를 적극적으로 삶에서 떼어내는 결단을 상징합니다. 신앙의 경주에서 던짐은 거룩을 향한 방향 전환의 행위로 작용합니다.

 

던지는 행위의 구속사적 전망

예수님의 십자가와 죄의 전가

예수님께서 우리 죄를 대신 지시고 십자가에 달리신 것은 죄가 예수님께 '던져졌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이사야 53장 6절에서 “여호와께서 우리 모두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라는 말씀은 히브리어 '파가(פָּגַע, 파가)'의 개념과 연결되어, '부딪히다', '얹히다', '던져지다'의 의미를 포함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우리의 죄를 그리스도께 던지셨고, 그분이 그것을 감당하셨음을 상징합니다.

마지막 날의 던짐: 영원한 분리의 상징

요한계시록 20장 15절에서는 “누구든지 생명책에 기록되지 못한 자는 불못에 던져지더라”고 말합니다. 여기서도 '발로(βάλλω)'가 사용되며, 이는 마지막 심판에서의 확실한 분리를 나타냅니다. 불의와 의, 심판과 구원이 명확히 나뉘며, 던지는 행위는 하나님 나라의 완전한 질서를 세우기 위한 상징적 표현으로 기능합니다.

 

결론 정리

성경에서 '던지다'는 단순한 물리적 동작을 넘어서, 죄의 전가, 정결, 심판, 구원, 의탁의 다양한 상징을 지닌 행위입니다. 구약에서는 죄를 멀리 보내어 용서받는 수단으로, 신약에서는 복음의 능력 아래 회개와 심판, 회복을 의미하는 상징으로 사용됩니다. 하나님은 우리 죄를 멀리 던지시며, 우리도 염려와 죄를 하나님께 던져 맡길 수 있습니다. 반면 불신앙과 불순종은 마지막 날에 심판의 던짐이라는 결과로 이어지게 됩니다. 던지는 행위는 성경 전체에서 인간의 선택과 하나님의 구속 사이에 위치한 결정적 상징으로, 신앙의 결단을 촉구하는 행위로 기능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