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46

교회와 성당의 차이

교회와 성당의 차이교회와 성당은 모두 기독교 신앙 공동체의 예배와 모임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이 두 단어는 기원과 사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엄밀하게 교회와 성당은 같은 의미이지만 한국에서는 다른 종교에서 사용함으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개신교에서는 '교회당'을 줄여 그냥 '교회'라고 부르고, 가톨릭(천주교)에서는 교회라는 표현보다는 '성당'이라고 표현한 거룩성을 강조합니다. 이제 상황 속에서 의미가 달라진 두 단어를 좀더 포괄적으로 살펴 봅시다.  1. 교회란 무엇인가?1.1 교회의 원래 의미교회(敎會)라는 단어는 성경의 그리스어 ‘에클레시아(ἐκκλησία)’에서 유래했습니다.'에클레시아'는 원래 ‘불러 모은 공동체’라는 뜻으로, 특정한 건물이 아니..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25. 2. 11.

서방교회와 동방교회 차이점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란 무엇인가?서방교회(Western Church)와 동방교회(Eastern Church)는 기독교가 역사적으로 발전한 지역적, 문화적, 신학적 차이에 따라 구분된 두 주요 전통을 의미합니다. 이 둘은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서로 다른 문화권과 언어적 배경에서 발전했으며, 오늘날까지 신학, 전례(예배 방식), 교회 운영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모두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고, 삼위일체(Trinity) 신앙을 고백하는 기독교에 속합니다.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이렇습니다.서방교회는 현재의 천주교, 즉 로마가톨릭을 말하며, 동방교회는 정교회는 동방정교회, 또는 러시아 정교회를 말합니다. 다 같은 말입니다. 사도행전에서 시작된 초대교회가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가면서 로마..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25. 2. 11.

국내의 장로교 교단의 순위(출석인원)

대한민국 장로교 교단 순위대한민국에는 다양한 장로교 교단이 존재하며, 그 수는 2018년 기준으로 최소 286개에 달합니다. 이러한 교단들은 신학적 입장과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장로교 교단의 수가 많은 이유는 신학적 견해 차이, 교회 운영 방식의 이견, 역사적 사건 등으로 인한 분열과 재통합의 과정을 거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분열의 역사는 한국 장로교회의 복잡한 교단 지형을 형성하였습니다. 각 교단은 독특한 신학적 입장과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교인 수와 교회 수는 교단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과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장로교 교단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교단들은 한국 장로교회의 풍부한 신학적 전통과 역동..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25. 2. 11.

장로교란 무엇인가

장로교란 무엇인가장로교(Presbyterianism)는 기독교 개신교(Protestantism) 교파 중 하나로, 종교 개혁자 존 칼빈(John Calvin)의 신학적 사상에 기반을 둔 교회 체계를 따릅니다. 장로교는 하나님의 주권(Sovereignty of God), 성경의 절대적 권위(Authority of Scripture), 예정론(Predestination)을 강조하며, 교회의 운영 체계로 장로(Elder)들에 의한 치리(Congregational Governance)를 특징으로 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장로교는 개신교의 주요 교단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으며, 신앙적,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교회 전통을 지니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초대교회가 중세교회로 접어들면서 서방교회(천주교)와 동방..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25. 2. 11.

정교회란 무엇인가

정교회란 무엇인가정교회(Eastern Orthodoxy)는 예수 그리스도(Jesus Christ)를 구세주로 믿는 기독교의 주요 분파 중 하나로, 초기 교회의 전통과 신학을 계승하여 발전했습니다. 정교회는 '올바른 영광' 또는 '참된 신앙'이라는 뜻을 가진 헬라어 '오르소독시아(Orthodoxia)'에서 유래했으며, 성례전(Sacrament), 전통(Tradition), 예배(Worship)을 통해 신앙을 실천합니다. 이 교회는 동방교회(Eastern Church)로도 불리며, 동유럽과 중동, 러시아, 발칸반도 등에서 중심적인 종교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동방 정교회(Eastern Orthodox Church)와 러시아 정교회(Russian Orthodox Church)가 주요 교파로 알려져 있습니..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25. 2. 11.

종교개혁 주일의 유래와 역사

종교개혁주일: 유래, 역사, 현재 상황종교개혁주일은 개신교에서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이 날은 1517년 10월 31일, 마틴 루터가 비텐베르크 교회의 정문에 95개 조항 반박문을 붙인 사건을 기념합니다. 이 사건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부패, 특히 면죄부 판매에 대한 비판으로 촉발된 것으로, 루터의 저항은 당시 유럽 기독교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종교개혁의 유래종교개혁은 중세 유럽에서 점점 부패해가던 로마 가톨릭교회를 개혁하기 위한 일련의 신학적, 종교적 운동이었습니다. 특히 면죄부 판매와 성직자들의 타락이 주요한 개혁의 동기가 되었으며, 이는 루터가 95개 조항을 발표하게 된 배경이 되었습니다. 루터의 개혁은 이후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여러 신학자들—예를 들어, 칼뱅과 츠..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24. 10. 19.

초대교회 교부 문헌 목록

초대교회 교부 문헌 목록 속사도로부터 대그레고리 감독까지 초대교회에 속한 초대교회 교부들의 문헌 목록입니다. 한글로 번역이 된 서적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교회사적으로 그다지 중요하지 않는 문헌은 누락될 수도 있습니다. 필자의 자의의 판단에 의해 정해진 것입니다. 서평이나 소개들이 완료된 글은 제목을 파란색으로 바꾸며 링크를 걸었습니다. 한국교회 내에서 교부 문헌은 분도출판사 외에는 희소하게 번역 되기 때문에 전문성이나 양이 현저히 낮은 상태입니다. 교부 문헌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간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만든 것입니다. 초대교회 교부목록과 영어 목록은 하단 링크에서 확인 바랍니다. 초대교회 교부 문헌을 읽는 네 가지 주제는 '핍박' '이단' '성경' '전통(교직)'입니다. [초대교회교부] 교부 문헌..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21. 2. 7.

브레바드 S. 차일즈

브레바드 S. 차일즈 브레바드 S. 차일즈(Brevard S. Childs) 출생 1923,09,02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컬럼비아 사망 2007,06,23 미국 코네티켓 뉴헤이븐 B.A., M.A. 미시간 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 (1947) B.D. 프린스턴 신학교(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1950) Th.D. 바젤 대학교(University of Basel) (1955) 구약성경신학 전공 세계적인 구약학자이다. 예일 대학교에서 구약학 교수로 보낸다. 20세기 성경신학자 중 가장 영향력있는 인물이다. 차일즈는 특별히 성경해석의 한 방법으로 정경비평의 선구자로 유명하다. 이 해석은 성경의 최종본으로서 정경 그 자체의 본문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21. 1. 15.

김현승 가을의 기도

김현승 가을의 기도에 관하여 그는 아메리카노를 즐겨 마셨다. 커피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사람이 더 많았던 시절. 시인은 시대의 아픔을 커피와 시로 달랬다. 그 시인의 이름은 '김현승'이다. 평양에서 태어나 열 살이 되던 1922년, 목사인 아버지를 따라 광주로 내려왔다. 미국 장로교 선교사의 전도를 통해 기독교인이 되고 목사가 된 김창남은 고향이 전주였다. 1897년 레이놀즈 선교사가 전주에서 5명에게 세례를 베풀었는데 그중 한 명이 김현승의 아버지 김창남이었다. 김창국은 전주 서문교회 첫 신자였고, 교회의 기둥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전주 신흥학교와 숭실학교를 거쳐 평양장로회신학교 8회 졸업생이 되었다. 전주 삼례교회를 섬기다 1917년 제주 교회 선교사로 파송된다. 당시 제주도는 해외로 취급되었다. 그..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20. 9. 21.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약 37-100)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약 37-100) 플라비우스 요세푸스(Flavius Josephus)는 헬라식 이름인 플라비오스 이오세포스(Φλάβιος Ιώσηπος)의 라틴식 이름이다. 그의 유대식 이름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리스저작에 자신이 남긴 글에는 이오세포스 마티우 파이스(Ἰώσηπος Ματθίου παῖς)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것을 히브리어로 번역하면 ‘요세프 벤 마티탸후’가 되고, 쉽게 풀면 맛다디아의 아들 요셉이 된다. 아마도 마카비 혁명을 일으킨 ‘맛다디아’에서 온 것 같다. 《유대 전쟁사(Ιουδαϊκός Πόλεμος)》에서 자신을 예루살렘 제사장으로 소개한 것을 볼 때 그는 하스몬 왕조의 후손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로마를 향한 그의 전쟁은 하스몬 왕조의 회복 내지는 이스라엘의 정치적 ..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9. 10. 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