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교회사112
성령의 임재와 하나님의 선취의 의미
성령의 임재와 하나님의 선취의 의미, 개혁주의 종말론적 성경신학의 관점에서성령의 임재는 기독교 신학에서 단순한 감정의 고양이나 내적 체험에 그치지 않으며, 구속사적 맥락에서 하나님 나라의 도래와 깊이 연결된 종말론적 실재입니다. 성경은 성령을 “보혜사”(요한복음 14:26), “약속하신 성령”(사도행전 1:4), “보증”(고린도후서 1:22, 에베소서 1:14)으로 표현하며, 이는 성령이 단지 개인의 영적 성장이나 위로를 위한 분이 아니라, 종말에 완성될 하나님의 나라를 ‘선취’(先取, prolepsis)하게 하시는 분임을 나타냅니다.하나님의 선취란, 장차 완성될 구원의 실재를 지금 이 땅에서 부분적으로, 그러나 실제로 경험하게 하신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단지 예시적이거나 상징적인 것이 아니라, 실제로 ..하나님의 현존과 성령의 임재가 갖는 신학적 의미
하나님의 현존과 성령의 임재, 종말론적 관점에서의 개혁주의 해석하나님의 현존(praesentia Dei)과 성령의 임재(immanentia Spiritus Sancti)는 기독교 신학에서 매우 깊이 있는 주제이며, 인간이 하나님의 임재 안에 살아가는 방식과 하나님이 자기 백성과 관계하시는 방식을 규정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전통적인 신학은 하나님의 편재(遍在, omnipraesentia)와 현존의 구별, 성령의 우주적 활동과 교회 안에서의 임재, 그리고 이 모든 것의 종말론적 성취를 통해 하나님의 목적이 성취된다고 가르칩니다. 특히 개혁주의 신학은 하나님의 현존과 성령의 임재를 단지 현재적 감정이나 경험의 차원으로 제한하지 않고, 종말론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하나님의 나라의 실재와 완성을 함께 바라보게 합니..하나님의 영원성이 갖는 신학적 의의
하나님의 영원성이 갖는 신학적 의의하나님의 영원성(영원하심, eternitas Dei)은 기독교 신학에서 하나님의 본질과 속성을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되는 주제입니다. 성경은 하나님을 “태초 이전부터 영원까지 계시는 분”으로 묘사하며(시편 90:2), 이는 단지 오래 존재하신다는 의미를 넘어 하나님이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존재임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은 과거, 현재, 미래라는 인간의 시간 질서 속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그 시간의 창조자이자 주관자이십니다. 이러한 영원성은 단지 존재의 기간만을 말하지 않고, 하나님의 존재 방식 자체를 의미합니다. 시간 속에 국한된 인간과 달리, 하나님은 항상 현재로 존재하시는(tota simul) 전존재적(ontological) 존재이십니다.하나님의 영원성 교리는 고..하나님의 비공유적 속성
비공유적 속성하나님의 속성은 하나님이 누구신지를 설명하는 중요한 신학적 개념으로 하나님만 가지고 계시는 속성을 말합니다. 조직신학에서는 하나님의 속성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는데, 바로 공유적 속성과 비공유적 속성입니다. 공유적 속성은 일부가 피조물에게도 유사한 방식으로 나뉘어 주어지는 특성이라면, 비공유적 속성은 오직 하나님만이 가지시며 어떤 피조물도 가질 수 없는 고유한 속성을 말합니다. 이 글에서는 자존성, 무한성, 불변성, 영원성, 전지, 전능, 무소부재라는 일곱 가지 하나님의 비공유적 속성을 보수적인 교리의 틀 안에서 성경적으로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하나님의 자존성: 하나님은 스스로 존재하신다자존성(aseity)은 하나님께서 그 어떤 외부적 원인이나 조건 없이 스스로 존재하신다는 의미입니다..하나님의 존재 방식
하나님의 본성과 속성에 대한 조직신학적 고찰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은 단순히 그분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분이 어떤 분이신지를 바로 아는 것입니다. 조직신학은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존재 방식, 곧 하나님의 본질과 속성에 대해 깊이 있게 설명합니다. 본 글에서는 보수적인 개혁신학의 입장에서 하나님의 존재 방식 중 다섯 가지 중심적인 교리를 살펴보려 합니다. 이 다섯 가지는 하나님의 영이심, 자존성, 단순성, 불변성, 무한성이며, 이들은 하나님의 절대성과 유일성을 설명하는 기초가 됩니다. 각 항목은 성경 말씀에 뿌리를 두고, 신자들이 하나님을 더욱 바르게 경외하며 신앙생활하도록 돕는 진리입니다.하나님의 영이심: 물질이 아닌 인격적 존재요한복음 4장 24절에서 예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영이..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다양한 칭호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다양한 칭호: 이름의 신학성경에서 하나님의 이름은 단순한 식별 수단이 아니라, 하나님의 성품과 사역, 언약과 구속을 계시하는 중요한 신학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자신을 여러 이름과 호칭으로 계시하셨으며, 이는 그분의 인격과 역사, 백성과의 관계 속에서 각기 다른 맥락으로 드러났습니다. 본 글에서는 대표적인 하나님의 이름들인 엘(El), 엘로힘(Elohim), 야훼(YHWH), 아도나이(Adonai), 엘 샤다이(El Shaddai)를 중심으로, 각 이름의 의미와 사용 맥락, 신학적 함의를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합니다.엘(El): 하나님의 고대적 칭호'엘'(El)은 성경에서 하나님을 지칭하는 가장 기본적인 명칭 중 하나입니다. 이는 히브리어로 '신'(god)을 뜻..'이름의 신학': 하나님의 계시와 언약의 상징
성경 속에 나타나는 '이름의 신학': 하나님의 계시와 언약의 상징성경은 단지 인물과 사건의 기록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속사적 계시가 담긴 말씀입니다. 그 중에서도 '이름'은 단순한 호칭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성경에 등장하는 하나님의 이름, 인물들의 이름, 지명의 이름들은 모두 깊은 신학적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하나님의 성품과 역사, 인간에 대한 목적을 드러냅니다. 본 글에서는 성경에 나타나는 이름의 신학을 보수적인 교리의 관점에서 깊이 있게 살펴보고, 이름이 가진 계시적, 언약적, 예언적 의미를 자세히 설명하고자 합니다.하나님의 이름: 존재와 성품의 계시하나님의 이름은 단지 부르기 위한 호칭이 아니라, 그분의 본질과 성품, 구속의 역사를 나타내는 계시입니다. 하나님께서 자신을 어떻게 불리길 원하시는..하나님의 계시의 목적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구속사의 전달하나님의 계시는 단지 신비하거나 지적인 정보 전달이 목적이 아닙니다. 조직신학에서 계시는 하나님 자신을 인격적으로 드러내는 행위이며, 그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이 하나님을 바르게 알고, 그분과 올바른 관계를 맺도록 하며, 나아가 구속의 은혜를 받아들이게 하는 데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보수적인 교리의 관점에서 하나님의 계시가 갖는 목적에 대해,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구속사의 전달이라는 두 중심축을 따라 깊이 있게 설명합니다.하나님을 아는 지식으로서의 계시성경은 지식으로서의 하나님 인식이 단순한 정보의 습득이 아닌, 생명을 주는 인격적 관계임을 밝힙니다. 계시는 단지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에 대한 철학적 지식 전달이 아니라, 하나님을 '아는'(히브리어로 "야다"는 친밀한 관계..조직신학에서 본 계시의 점진성
구약에서 신약으로 계시의 심화하나님의 계시는 일회적이고 단번에 완성된 것이 아니라, 성경 전체를 통하여 점진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이 개혁주의 조직신학의 중요한 교리입니다. 이를 '계시의 점진성'(progressive revelation)이라고 부릅니다. 하나님께서는 처음부터 구속사의 전모를 한 번에 드러내지 않으시고, 시대를 따라, 인물을 따라, 역사와 사건을 통해 점차 구체적이고 풍성하게 자신을 계시하셨습니다. 그 정점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본 글에서는 구약에서 신약에 이르기까지의 계시의 심화를 살펴보며, 그 신학적 의미와 교리적 중요성을 자세히 설명합니다.계시의 점진성의 개념계시의 점진성이란 하나님의 자기 계시가 시간의 흐름을 따라 점차적으로 깊어지고 넓어졌다는 사실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조직신학에서 본 특별계시
성경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자기 계시특별계시(Special Revelation)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드러내신 계시입니다. 일반계시가 자연, 역사, 양심을 통해 보편적으로 주어졌다면, 특별계시는 성경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주어진 구속적인 계시입니다. 이 계시는 구원에 필요한 진리를 밝히며, 신자에게 믿음과 순종을 요구합니다. 본 글에서는 보수적인 조직신학의 입장에서 특별계시의 개념, 필요성, 구성, 권위, 그리스도 중심성을 자세히 살펴보며, 교인들에게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고자 합니다.특별계시의 개념과 목적특별계시는 하나님께서 구체적인 언어와 사건을 통해 자신의 뜻과 구원의 계획을 드러내시는 방식입니다. 이는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하나님의 인격적인 자기 계시..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