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성경의세계/성막의 기능과 상징7

[성막론] 에덴 동산의 교제 상징성, 성막, 신약의 그리스도인

에덴 동산의 교제 상징성과 성막, 그리스도 안의 회복에덴 동산은 창조의 아름다움을 담은 이상적 정원이었지만, 단지 공간이 아니라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친밀한 교제의 장이었습니다. 하나님은 사람을 창조하시고, 그를 에덴에 두셨으며, 동행하셨습니다. 창세기 3장 8절은 "여호와 하나님이 동산에 거니시는 소리"를 아담과 하와가 들었다고 기록합니다. 이는 단순한 묘사가 아니라, 하나님이 인간과 일상적으로 교제하셨다는 상징입니다. 그러나 타락 이후 그 교제는 단절되었고, 인간은 에덴에서 쫓겨나게 됩니다. 그 이후의 성경 역사는, 단절된 교제가 어떻게 회복되는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글에서는 에덴의 교제 상징성이 어떻게 성막에서 부분적으로 회복되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하게 성취되며, 신자의 삶 속에 다시.. 성경의세계/성막의 기능과 상징 2025. 7. 17.

[성막론] 에덴 동산의 구조와 성전의 공간적 상징성

에덴 동산의 구조와 성전의 공간적 상징성에덴 동산은 창조 이야기의 한 장면이 아니라, 성경 전체에 흐르는 구속사의 출발점이며, 성전 신학의 원형이 되는 장소입니다. 성경은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친밀한 교제를 공간 속에 담아내는 방식으로 전개되며, 그 공간이 바로 에덴, 성막, 성전, 그리고 새 예루살렘입니다. 본 글에서는 에덴 동산이 어떻게 성전으로서의 구조를 가지며, 그 구조가 광야의 성막과 솔로몬의 성전과 어떻게 유사한지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삼중 구조(세 구역 구조)에덴 동산은 히브리어로 "에덴(עֵדֶן)"이라 하며, 하나님께서 동쪽에 특별히 조성하신 정원입니다(창세기 2:8). 창세기 2장과 3장을 종합하면, 에덴은 세 개의 구획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에덴 외곽 지역, 동산(가.. 성경의세계/성막의 기능과 상징 2025. 7. 17.

[성막론] 하나님의 성전으로서의 에덴 동산

하나님의 성전으로서의 에덴 동산성전으로서의 에덴 동산의 의미를 파악해 보려고 합니다. 광야의 성막 비교하며 에덴동산이 가진 성막으로서의 성징성을 정리해 보았습니다.에덴 동산은 단지 창조의 서막이나 인간의 기원지로 머무르지 않습니다. 그것은 창세기 서두에서 드러난 하나님의 집, 곧 하나님의 성전으로 해석될 수 있는 깊은 상징성과 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성전은 하나님의 임재가 머무는 거룩한 처소입니다. 성경 전체를 관통하는 "임마누엘"의 신학을 따라가 보면, 하나님은 처음부터 사람과 함께 거하시기를 원하셨고, 그 첫 장소가 에덴이었습니다.에덴 동산의 성전적 구조 (공간의 구별과 질서)에덴 동산(에덴, עֶדֵן)은 창세기 2장에서 동쪽에 위치한 장소로 설명됩니다(창 2:8). 이는 출애굽기에서 성막과 성전.. 성경의세계/성막의 기능과 상징 2025. 7. 17.

성경에 나오는 성전 또는 성막의 역사와 종류

성경에 나오는 성전 또는 성막의 역사와 종류성막과 성전의 차이성막은 출애굽 때 모세에의해 만들어진 동물의 가죽으로 된 것을 말한다. 성전은 솔로몬에 의해 돌과 나무로 지어진 건축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막은 단 한 번, 단 하나만 존재하고, 성막을 솔로몬 이후 몇 번에 걸쳐 지어지고 개축된다. 성막은 텐트이기 때문에 이동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광대를 지날 때 하나님의 구름이 움직이면 레위인들은 성막을 거두어 뒷따라 간다. 구름이 멈춘 곳에 다시 성막을 설치한다. 그러나 성정은 건축물이기 때문에 움직일 수 없다. 또한 굳이 움직일 필요가 없다. 누군가는 성막이 진짜이고 성전은 가짜. 인간의 손에 의해 억지로 고정된? 것으로 보지만 성경을 잘못 이해한 것이다. 광야 시대는 옮겨 다녀야 했기에 성막이어야.. 성경의세계/성막의 기능과 상징 2025. 7. 17.

[성막의 구조와 상징] 2. 성막의 기본 구조

[성막의 기능과 상징] 2. 성막의 기본 구조이제 성막의 기본 구조를 알아보자. 성막은 성막의 뜰과 성막으로 구분된다. 성막은 다시 성소와 지성소로 구분된다. 성막을 동쪽을 향하고 있으며, 입구도 동쪽이다. 히브리인들에게 동쪽은 앞쪽이다. 오른쪽은 남편이며, 왼쪽은 북쪽이다. 서쪽은 뒤편이며 망각의 장소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 동쪽은 죽음의 땅이며, 서쪽은 생명의 바람이 불어오는 곳이다. 동쪽은 저주받은 곳이며, 하나님께서 싫어하는 장소이다.[이 부분에서 대해서는 필자의 성경의 동서남북>을 참고 바람] 문을 열고 들어가면 성막뜰의 앞 자리에는 번제단이 자리한다. 번제단 뒤로는 물두멍이 있고, 그 뒤로 성막이 자리한다. 성막은 성소와 지성소로 나뉜다. 지성소는 촛대, 떡상, 향단이 있다. 성소와 지성.. 성경의세계/성막의 기능과 상징 2025. 7. 17.

[성막의 기능과 상징] 1. 하나님의 임재로서의 성전 상징

1. 하나님의 임재로서의 성전 상징 종교 없는 민족은 없다. 아무리 과학이 발달하고 문명이 발달해도 사람들은 신을 섬긴다. 아직도 적지 않은 사람들이 곧 종교가 사라질 것이라고 장담하지만, 그런 이야기는 수천 년 전에도 했다. 그러나 종교가 사라진 시대는 단 한 번도 없다. 종교는 언제나 인간과 함께 했다. 인간이 신을 섬길 때는 언제나 신을 만나는 특별한 장소가 필요하다. 인간들은 특정한 장소에서 신을 만났다. 거대한 반석이나 나무, 강, 특이하게 생긴 구조물들이 그렇다. 사람들은 어떤 특정한 장소에서 신을 잘 만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곳에서 신과 만날 수 있는 신전을 지었다. 불교가 처음 신라에 들어왔을 때 깊은 깨달음이나 꿈을 통해 부처를 만났던 곳에 절이 세워진다. 이슬람과 기독교 등 어떤 종.. 성경의세계/성막의 기능과 상징 2020. 4. 5.

[성막의 기능과 상징] 들어가면서

성막의 기능과 상징 들어가면서 성막은 성경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주제이다. 에덴동산은 성막의 모형이자 성경 전체를 뚫는 구속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에덴동산 중앙에는 생명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가 있다.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는 그 어떤 피조물에게도 허락되지 않는 금단의 열매이다. 금지의 계명은 계명을 주신 하나님과 계명을 지켜야 하는 사람의 관계를 명징하게 보여준다. 하나님은 온 세상을 창조하실 때 성전을 형상화한 것이다. 지성소는 대제사장만 일 년에 단 한 번만 들어가는 거룩한 장소이고, 성소는 순번을 따라 제사장이 직무를 감당하기 위해 들어간다. 그에 비해 성전 뜰은 레위인들과 이스라엘 사람들이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흠있는 사람이나 부정한 사람, 이방인들은 들어갈 수 없다. 이.. 성경의세계/성막의 기능과 상징 2020. 4.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