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요한복음80

요한복음에 나타난 7가지 ‘나는 이다’(에고 에이미)

요한복음에 나타난 7가지 ‘나는 이다’(에고 에이미)  요한복음의 공관 복음서와 다르게 예수님이 누구신가에 집중한다. 7가지의 기적이나 다른 복음서에 비해 과하게 많은 설교 등은 이것을 반영한다. 또한 신학적 표현 중의 하나님 ‘나는 나다’(에고 에이미)가 빈번하게 사용된다. 정확하게 ‘나는~이다’ 형태를 띤 구절은 7번 사용된다. 7은 완전수이며, 충만수다. 요한은 의도적으로 7번 에고 에이미를 넣음으로 구약의 하나님을 그리스도로 대체하고 있다.성경의 숫자 상징 7(일곱) 1. 나는 생명의 떡이다.(6:35) Ἐγώ εἰμι ὁ ἄρτος τῆς ζωῆς 요 6:35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는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요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이 표현은 오병.. 신약복음서 2025. 2. 11.

요한복음 7:14-24 권위 있는 가르침

요한복음 7:14-24 권위 있는 가르침예수님은 초막절 중간에 성전에 들어가 사람들을 가르칩니다. 사람들은 정식적으로 배우지 않았지만 권위 있게 가르는 것에 놀랍니다. 예수님은 유대인들에게 모세를 존중한다 하면서 율법을 지키지 않는 가식을 폭로합니다.[본문]7:14 이미 명절의 중간이 되어 예수께서 성전에 올라가사 가르치시니7:15 유대인들이 놀랍게 여겨 이르되 이 사람은 배우지 아니하였거늘 어떻게 글을 아느냐 하니7:16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 교훈은 내 것이 아니요 나를 보내신 이의 것이니라7:17 사람이 하나님의 뜻을 행하려 하면 이 교훈이 하나님께로부터 왔는지 내가 스스로 말함인지 알리라7:18 스스로 말하는 자는 자기 영광만 구하되 보내신 이의 영광을 구하는 자는 참되니 그 속에 불의가 .. 신약복음서 2025. 2. 8.

요한복음 4장 23절

요한복음 4장 23절 요한복음 4장 23절은 예수님께서 사마리아 여인과의 대화 중에 하신 말씀으로, 예배에 대한 중요한 신학적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이 찾으시는 참된 예배자가 누구인지, 참된 예배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구절로서 매우 깊은 신학적, 영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요한복음 4:23 (개역개정) “아버지께 참되게 예배하는 자들은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때라. 아버지께서는 자기에게 이렇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1. 본문의 배경이 구절은 예수님이 수가라는 사마리아 마을에서 우물가에서 만난 사마리아 여인과 나눈 대화의 일부분입니다. 사마리아 여인은 사마리아 사람들과 유대인들 사이의 갈등 속에서, 어디서 예배해야 하느냐는 질문을 던집니다. 그녀는 사.. 신약복음서 2024. 10. 7.

요한복음이 로마식 시간을 사용했다는 증거들

요한복음의 로마식 시간 사용 비교분석 요한복음에서 사용된 시간 체계가 로마식 시간일 가능성에 대한 주장은 특히 예수님의 재판과 십자가 사건에서 나타난 시간 기록과 관련이 있습니다. 요한복음과 다른 공관복음서(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사이에서 예수님의 십자가 처형 시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가 요한복음이 로마식 시간 체계를 사용했다고 보는 견해입니다.1. 예수님의 재판과 처형 시간 기록요한복음과 마가복음에서 예수님이 빌라도 앞에 서신 시간과 십자가에 못 박히신 시간에 대한 기록이 다소 차이를 보입니다. 이 차이를 두 시간 체계의 차이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요한복음 19:14 – 로마식 시간 계산 가능성요한복음 19:14에서는 예수님이 빌라도 앞에 서신 시간이 제..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4. 10. 7.

요한복음 3장 31절 원어 신학적 분석 및 묵상

요한복음 3장 31절“위에서 오시는 이는 만물 위에 계시고, 땅에서 난 이는 땅에 속하여 땅에 속한 것을 말하느니라. 하늘에서 오시는 이는 만물 위에 계시나니” (개정개역판)이 구절은 예수님의 하늘로부터의 기원과 그분의 권위가 인간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예수님의 신적 기원과 그분의 사역의 탁월함을 설명합니다. 예수님의 신성을 강조하는 요한복음의 가장 핵심적인 구절 중의 하나입니다. 이 구절을 좀더 깊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위에서 오시는 이는" (Ὁ ἄνωθεν ἐρχόμενος) Ὁ ἄνωθεν (ho anōthen)여기서 ἄνωθεν은 "위에서" 또는 "하늘로부터"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이 단어는 요한복음에서 매우 중요한 신학적 의미를 갖고 있으며, 예.. 신약복음서 2024. 10. 7.

요한복음 3장 16절, 원어적 신학적 분석

요한복음 3장 16절요한복음 3장 16절의 원어적 분석을 통해 구절의 원의를 찾아가 보려고 합니다. 하지만 성경원을 안다고 해서 신비로운 경험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진리에 좀더 가까이 나아가려는 시도이자 노력입니다.1. 원어적 분석 ΚΑΤΑ ΙΩΑΝΝΗΝ 3:16 Greek NT: Nestle 1904Οὕτως γὰρ ἠγάπησεν ὁ Θεὸς τὸν κόσμον, ὥστε τὸν Υἱὸν τὸν μονογενῆ ἔδωκεν, ἵνα πᾶς ὁ πιστεύων εἰς αὐτὸν μὴ ἀπόληται ἀλλ’ ἔχῃ ζωὴν αἰώνιον. 1.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Οὕτως γὰρ ἠγάπησεν ὁ θεὸς τὸν κόσμον) Οὕτως (houtōs)"이처럼"이라는 단어는 그리.. 신약복음서 2024. 10. 7.

요한복음 1장 47절 참 이스라엘 사람

참 이스라엘 사람에 대한 정경신학적인 고찰요한복음 1장 47절에서 예수님께서 나다나엘을 향해 하신 말씀, "이는 참으로 이스라엘 사람이라 그 속에 간사한 것이 없도다"는 매우 중요한 신학적, 역사적, 그리고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다. 예수님은 나다나엘을 단순히 이스라엘 민족의 한 사람으로 언급하시는 것이 아니라, 그를 통해 참된 이스라엘의 의미와 정체성에 대한 중요한 신학적 진리를 드러내고 있다. 요한복음 1장 47절에서 사용된 "이스라엘 사람"이라는 표현과, 예수님이 나다나엘을 칭찬한 배경에는 깊은 신학적 함의가 담겨 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성경의 전반적인 구속사적 흐름과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적 정체성을 다루고, 예수님의 발언 속에 담긴 의미를 자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1. "이스라엘 사람"의..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4. 9. 27.

요한복음 1장 43절부터 51절 신학적 묵상

요한복음 1장 43절부터 51절 1. 본문 분석 요한복음 1장 43-44절“이튿날 예수께서 갈릴리로 나가려 하시다가 빌립을 만나 이르시되 나를 따르라 하시니 빌립은 안드레와 베드로와 한 동네 벳새다 사람이라.” 이 구절은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부르시는 장면이다. 예수님은 갈릴리 지방으로 가시는 길에 빌립을 만나고 그를 부르신다. 여기서 예수님은 간단하지만 중요한 명령을 내리신다: "나를 따르라" (헬라어: "ἀκολούθει μοι", akolouthei moi). "따르라"는 헬라어 동사 ἀκολουθέω (akoloutheō)로, 이는 "동행하다", "뒤따르다"를 의미한다. 이 부르심은 단순히 신체적으로 따라가는 것 이상의 영적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삶의 방향을 예수님께 맞추는 전적인 헌신과 순종을.. 신약복음서 2024. 9. 27.

요한복음 1장 29절 원어 주해 및 신학적 묵상

요한복음 1장 29절 1. 본문 분석요한복음 1장 29절"이튿날 요한이 예수께서 자기에게 나아오심을 보고 이르되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 요한복음 1장 29절은 신학적, 구속사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구절로, 세례 요한이 예수 그리스도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라고 선언하는 장면이다. 이 구절은 예수님의 구속 사역과 그분의 십자가에서 이루실 희생을 예표하고 있으며, 구약의 희생 제사와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이튿날"먼저, "이튿날"이라는 시간적 표현은 요한복음의 흐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요한복음 1장 19절부터 시작된 사건은 세례 요한과 예루살렘에서 온 유대인 지도자들 사이에서 일어난 대화이다. 이튿날, 즉 이 대화 후에 세례 요한은 예수님을 보고 그.. 신약복음서 2024. 9. 27.

요한복음 1장 14절 원어 신학적 주해

요한복음 1장 14절 1. 분석요한복음 1장 14절"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요한복음 1장 14절은 신약 성경 전체에서 매우 중요한 구절 중 하나이다. 이 구절은 성육신의 신비를 설명하며,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이신 동시에 사람이 되셨다는 기독교 신앙의 핵심 교리를 명료하게 선언한다. 또한 이 구절은 구약의 중요한 신학적 개념들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님의 영광과 그리스도 안에서 드러난 은혜와 진리의 충만함을 묘사한다. "말씀이 육신이 되어"먼저, "말씀이 육신이 되어"라는 표현은 헬라어로 "ὁ λόγος σὰρξ ἐγένετο" (ho logos sarx egeneto)로, 문자적으로 "말씀이 살(.. 신약복음서 2024. 9. 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