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재림5

성경에서 ‘여름’ 상징과 영적 교훈

성경에서 ‘여름’성경에서 ‘여름’은 추수와 결실, 심판과 준비의 계절로 나타난다. 여름은 풍성한 수확과 함께 더위와 건조함이 극심한 계절로, 성경 속에서 여름의 이미지는 신앙인의 결실을 위한 준비, 시험, 심판, 그리고 영적 경각심을 상징한다. 여름의 영적 의미는 우리의 삶과 신앙에서 열매를 맺고 결실을 준비하는 중요한 교훈을 제공한다. 팔레스타인의 여름은 우리나라와 반대로 건기이다.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다. 그래서 아침에 내리는 이슬을 모아 먹는다. 그래서 성경 안에서는 이슬이 축복의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일반적으로 팔레스타인의 초여름은 초수기이며, 여름 안에 무화과를 비롯한 다양한 과일들을 수확하기에 추수의 시간이며, 종말론적 의미를 동시에 갖는다.  1. 여름의 계절적 의미와 상징성경에서 여름은..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4. 11. 8.

[성경 상징] 도둑

성경 속의 도둑성경에서 도둑의 비유와 상징은 예수님의 재림, 영적 경각심, 그리고 도둑질에 대한 경고와 교훈을 전달하는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집니다. 도둑은 십계명도 등장할 만큼 사회적으로 해로운 존재이기도 합니다. 성경은 도둑에 대한 특징을 이용하여 상징과 비유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도둑과 관련된 주요 성경 구절과 비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1. 예수님의 재림도둑의 비유는 예수님의 재림이 갑작스럽게 이루어질 것임을 강조하며, 믿는 자들이 항상 깨어 있어야 함을 경고합니다.마태복음 24:42-44 (개정개역):"그러므로 깨어 있으라 어느 날에 너희 주가 임할는지 알지 못함이니라. 이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만일 집 주인이 도둑이 어느 경점에 올 줄을 알았더라면 깨어 있어 그 집을 뚫지 못하게 하였으..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4. 7. 17.

[주제성구] 재림과 종말, 휴거

[주제성구] 재림과 종말, 휴거 성경은 끊임없이 종말과 재림에 대해 반복하고 강조합니다. 그리스도인의 생활 방식은 종말론적이어야 합니다. 날마다 주님의 오심을 기대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하지만 종말의 때는 미혹과 배교가 넘쳐날 것이며, 거짓 그리스도가 일어난다고 성경은 경고합니다. 이제 종말에 대한 다양한 사건들을 성경구절을 통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종말은 있습니다. 가장 먼저 고려할 것은 종말은 온다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종말이 없다고 말합니다. 2. 종말의 현상들 1) 사랑이 식어짐 마 24:12 불법이 성하므로 많은 사람의 사랑이 식어지리라마 24:10 그 때에 많은 사람이 실족하게 되어 서로 잡아 주고 서로 미워하겠으며 2) 배교가 일어남 살후 2:3 누가 어떻게 하여도 너.. 주제 성구 2020. 5. 31.

[장별설교] 데살로니가후서2장

[장별설교] 데살로니가후서2장 가르침의 전통을 지키라 데살로니가후서 2장은 재림에 대한 중요한 몇 가지 사실들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긴박한 종말론에 휩쓸려있던 데살로니가교회는 재림에 대한 적지 않은 관심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바울은 길지 않지만 중요한 몇 가지 사실을 알려 줍니다. 1-12절까지는 재림에 관한 계시이고, 13-17절까지는 재림을 기다리는 바른 성도의 삶이 무엇인지 소개합니다. 1. 1-12절 재림에 관한 사실들 2. 13-재림을 기다리는 자세 1. 1-12절 재림에 관한 사실들 ㄱ. 재림과 모임에 관해(1절) 먼저 ‘주 예수 그리스도의 강림하심’과 그 앞의 모임에 관해 생각해 봅시다. 강림과 모임이 하나로 묶여 있는 것을 볼 때 모임은 이 땅에서 교회들의 모임이 아닌 것이 확실.. 구약역사서 2020. 2. 20.

[장별설교] 데살로니가후서 개요

[장별설교] 데살로니가후서 개요 데살로니가전서가 바울의 개인적인 변증을 위한 목적이 강하다면 데살로니가후서는 바울의 개인적인 이야기는 잠깐 언급할 뿐입니다. 후서는 전서에서 잠깐 언급했던 종말, 즉 주의 재림에 대한 설명을 체계적이고 깊게 설명하는데 시간을 쏟습니다. 또한 잘못된 종말론으로 인해 일상을 저버린 성도들을 권면하고 바로 잡도록 지도하려는 목적이 강하게 드러납니다. 또 다른 주제는 환난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를 설명합니다. 1. 환난과 하나님의 공의 ㄱ. 그리스도 됨의 표지로서의 고난 1장에서는 환난에 대해 다룹니다. 그런데 바울은 이 환난을 거듭난 그리스도인들의 표지로서 다룹니다. 5절에서 바울은 환난을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의 표’이며,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자로 여김을 받게 하려.. 구약역사서 2020. 2.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