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5285

요한계시록 10장

요한계시록 10장 10:1 내가 또 보니 힘 센 다른 천사가 구름을 입고 하늘에서 내려오는데 그 머리 위에 무지개가 있고 그 얼굴은 해 같고 그 발은 불기둥 같으며10:2 그 손에는 펴 놓인 작은 두루마리를 들고 그 오른 발은 바다를 밟고 왼 발은 땅을 밟고10:3 사자가 부르짖는 것 같이 큰 소리로 외치니 그가 외칠 때에 일곱 우레가 그 소리를 내어 말하더라10:4 일곱 우레가 말을 할 때에 내가 기록하려고 하다가 곧 들으니 하늘에서 소리가 나서 말하기를 일곱 우레가 말한 것을 인봉하고 기록하지 말라 하더라10:5 내가 본 바 바다와 땅을 밟고 서 있는 천사가 하늘을 향하여 오른손을 들고10:6 세세토록 살아 계신 이 곧 하늘과 그 가운데에 있는 물건이며 땅과 그 가운데에 있는 물건이며 바다와 그 가운.. 신약서신서 2020. 7. 9.

요한계시록 9장

요한계시록 9장 9:1 다섯째 천사가 나팔을 불매 내가 보니 하늘에서 땅에 떨어진 별 하나가 있는데 그가 무저갱의 열쇠를 받았더라9:2 그가 무저갱을 여니 그 구멍에서 큰 화덕의 연기 같은 연기가 올라오매 해와 공기가 그 구멍의 연기로 말미암아 어두워지며9:3 또 황충이 연기 가운데로부터 땅 위에 나오매 그들이 땅에 있는 전갈의 권세와 같은 권세를 받았더라9:4 그들에게 이르시되 땅의 풀이나 푸른 것이나 각종 수목은 해하지 말고 오직 이마에 하나님의 인침을 받지 아니한 사람들만 해하라 하시더라9:5 그러나 그들을 죽이지는 못하게 하시고 다섯 달 동안 괴롭게만 하게 하시는데 그 괴롭게 함은 전갈이 사람을 쏠 때에 괴롭게 함과 같더라9:6 그 날에는 사람들이 죽기를 구하여도 죽지 못하고 죽고 싶으나 죽음이 .. 신약서신서 2020. 7. 9.

사진 잘 찍는 법

사진 잘 찍는 법이곳의 사진들은 제가 가지고 있는 갤력시 S7 폰카메라로 찍은 사진들입니다. 1. 피사체사진은 해석이다. 의도하든 하지 않든 보이는 대로 찍는다. 보이는 대로는 객관성을 담보한 절대시각이 아니다. 철저히 주관적이고 작가의 관점과 경험, 의도가 고스란히 담긴다. 작가가 피사체를 존중한다면, 사진은 여지 없이 작가의 존중감을 담어낸다. 작가가 냉혹하고 속물적 존재라면 피사체는 철저히 소외당하고 수단으로 전락된다. 사진을 보는 독자는 자신도 모르게 피사체를 경멸한다. 작가는 사진으로 말한다.2. 존재 규명작가는 피사체와 교감해야 한다. 어떤 각도에서, 얼마의 거리에서 찍어야 피사체의 존재가 부각될 수 있는지를 고민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진가는 자신이 사람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사람이 .. 일상이야기 2020. 7. 7.

친구를 위한 복음 / 서창희 / 생명의말씀사

친구를 위한 복음서창희 / 생명의말씀사 기억의 지배, 복음의 지배 스무 살의 청년, 그는 티 없이 맑아 보인다. 그런데 누군가 자신을 의심하거나 신뢰 받지 못할 때 분노가 폭발했다. 사람들은 고개를 절래 절래 흔들며 그는 떠났다. 초등학교 시절, 반의 지적 장애인 친구가 추행을 당했다. 선생님을 범인을 찾기 시작했다. 추행을 당한 학생에게 반 친구들의 사진을 보여주었다. 지적장애인 친구는 티 없이 맑아 보이는 그 친구를 주목했다. 선생님은 교실에 감금하고 밤새 집에 가지 못하게 했다. 결국 그는 자신이 했다고 허위자백을 하고 말았다. 그 후로 친구들과 선생님들에게 범죄자로 낙인이 찍혔다. 티 없이 맑아 보이는 그 청년은 누군가 자신을 의심할 때 분노가 폭발했고, 격하게 반응했다. 그 청년은 초등학교 시절.. Book 2020. 7. 7.

좌고우면(左顧右眄)

좌고우면(左顧右眄) 좌고우면은 이쪽저쪽을 돌아본다는 뜻이다.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망설인다는 뜻이다.비슷한 말로는 좌고우시, 좌면우고, 좌우고시, 좌첨우고 등이 있다.좌고우면은 여오계중서의 일부에서 유래되었다. 여오계중서는 위나라 조조의 아들 조식이 조가의 장인 오계중에게 보낸 편지다. 유방의 명신이었던 호하와 조참마저 그대에 미치지 못하고 한무제의 명장이었던 흉노를 정발한 위청과 곽거병 또한 그대와 어깰ㄹ 나란히 할 수 없다. 왼쪽을 돌아보고 오른쪽을 살펴도 그대와 견줄만한 사람이 없다.워낙 출중한 인물이었기에 누구도 견줄만한 사람이 없다는 뜻이다. 그러나 후에 사람들은 좌우를 불필요하게 살핌으로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우유부단함으로 변형시켜 사용하게 된다. 좌고우면 활용 예시 문장사람이 계획을 세웠다면.. 일상이야기/팡......세 2020. 7. 7.

[성경의 음식] 떡 또는 빵(bread)

[성경의 음식] 떡 또는 빵(bread) 떡과 빵은 만드는 과정이 상당히 다르다. 모든 빵이 동일한 과정을 거치지 않지만 대체로 빵은 효모를 넣어 발효 시킨다. 그러나 떡은 쌀을 빻아 찐 것이다. 빵이 밀를 사용한 반면 떡은 쌀을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성경을 번역함에 있어서 떡은 그리 옳은 번역은 아니다. 초기의 번역들은 예외 없이 ‘떡’으로 번역했다. 아마다 한국교회 초기에 빵은 일반인들에게 개념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떡’으로 번역했을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 번역된 성경들도 여전히 ‘빵’이 아닌 ‘떡’으로 번역하고 있어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이 부분은 성경 번역의 문제이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논외하면 떡과 빵이란 단어를 혼용해 사용할 것이다. 다만 성경 원문은 떡이 아닌 빵 또는 .. 성경의세계/성경의 음식 2020. 7. 6.

사람들이 독서하지 않는 이유

사람들이 독서하지 않는 이유 이북의 시대입니다. 출판사들은 사정이 좋지 않다고 아우성입니다. 종이책의 거의 팔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책이 팔리지 않는 많은 이유를 대지만 이유는 딱 하나입니다. 굳이 책을 읽을 필요가 없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출판사 관련되신 분들은 "왜 책을 사지 않습니까?" 묻습니다. 그럼 일반인들은 이렇게 질문합니다."책을 왜 사야하죠?" 즉 일반인들이 보기에 책을 사야할 이유가 없습니다. 책 속에 길이 있다. 책을 읽어야 교양이 된다. 취업에 필요하다. 책은 재밌다. 등등등을 이야기하지만 굳이 읽을 필요는 없습니다. 그럼 사람들은 정말 책을 읽지 않을까요? 아니요. 많이 읽습니다. 다만 읽는 방식이 달라진 것입니다. 예전엔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매체가 한정되었습니다. 신문,.. Book 2020. 7. 5.

요한계시록 8장

요한계시록 8장 요한계시록 8장은 두루마리의 마지막 인인 일곱 번째 인을 떼는 것과 새로운 재앙의 시작인 일곱의 나팔이 시작됩니다. 8장에는 네 번째 나팔이 불리고, 9장에서 다섯 번째, 여섯 번째 나팔이 불립니다. 마지막 일곱 번째 나팔은 11:15에서 등장합니다. 일곱 번째 나팔이 불리고 진노의 일곱 대접이 16장에서 소개됩니다. 8장을 살펴 보겠습니다. 1-5절 일곱 번째 인을 떼다. 일곱 번째 인을 뗄 때는 특이한 사건이 일어나지 않고 하늘이 반시간 동안 고요합니다. 요한이 주의하여 보니 일곱 천사가 일곱 나팔을 받습니다. 일곱 번째 인은 새로운 사건의 시작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이제 일곱 나팔 재앙이 시작됩니다. 구약에서 나팔을 불 때는 크게 두 종류입니다. 하나는 축제 때 나팔을 붑니다. .. 신약서신서 2020. 7. 3.

일곱 별은 무엇인가?

일곱 별은 무엇인가?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일곱 별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요한계시록은 고난 받는 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위로의 편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교회를 방치한 것이 아니라 보호하고 붙들고 계시며, 종국에 교회가 승리할 것을 알리기 위해 기록한 것입니다. 요한계시록을 읽을 때는 항상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읽어야하고, 해석해야 합니다. 1. 일반적 의미에서 별 별은 하늘에 떠 있는 항성(恒星)이다. 즉 스스로 빛을 내는 존재이다. 이집트 신화에서 별은 세계의 기원을 향해 떠오르는 힘이다. 우주의 창문이며 하늘에 들어가는 통로이다. 별은 항상 하늘에 떠 있으며, 계절별로-지구의 공전에 의해 약간의 자리가 이동하지만 언제나 제 자리에 있다. 별 자지를 통해 방향을 잡았다. 그..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0. 7. 2.

요한계시록 7장

요한계시록 7장 요한계시록 7장은 여섯 번째 인과 일곱 번째 인의 막간(幕間)의 이야기입니다. 이곳에는 이단들이 자신들이라고 주장하는 십사만 사천 명에 대한 이야기가 언급되고 있으며, 그들이 누군가에 대해 설명합니다. 도대체 십사만사천 명이 누구이기에 이단들이 그렇게 좋아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1-8절 십사만 사천 명 1-4절에서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종들을 인치신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그들의 숫자가 십사만 사천이라고 말합니다.(4절) 이제 십사만 사천 명의 정체를 알아 보겠습니다. 1절에 보면 네 천사가 땅 네 모퉁이에 서 있습니다. 또한 그들이 땅의 사방의 바람을 붙잡아 땅이나 바다, 어디에도 불지 못하게 합니다. 이것은 사방 또는 네 바람은 땅의 전체를 말합니다. 네 천사들이 ‘땅에 네 .. 신약서신서 2020. 7.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