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성경의신들31

[성경의신들] 염소의 신 판(Pan)과 사티로스(Satyr Σάτυρος)

[성경의신들] 염소의 신 판(Pan)과 사티로스(Satyr Σάτυρος) 성경 안에서 짐승이나 가축은 종종 우상숭배와 긴밀이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여로보암이 벧엘과 단에 세운 송아지가 대표적이다. 이집트의 경우는 개구리나 고양이등도 신으로 섬겼다. 오늘 소개할 우상은 염소이다. 구약 성경에서 염소가 등장하나 싶지만 실제로 레위기에 한 번 등장한다. 레위기 17:7 그들은 전에 음란하게 섬기던 숫염소에게 다시 제사하지 말 것이니라 이는 그들이 대대로 지킬 영원한 규례니라 성경에 등장하는 염소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염소 신 판(Pan)과 동일한 신은 아니지만 동일한 맥락을 가진 신으로 보인다. 우상 판은 라멕의 검은 노래와 닮은 점이 많다.[성경인물 라멕은 이글을 참고 바람] 염소는 히브리어로 사..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3. 27.

애굽의 오벨리스크(Obelisk)는 어디로 갔는가?

애굽의 오벨리스크(Obelisk)는 어디로 갔는가?ὀβελίσκος 오벨리스크는 4각 돌기둥이다.꼭대기는 피라미드처럼 모가 나있다. 오벨리스크는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지만 애굽에서만이 거대한 돌을 깎아 만들었다. 오벨리스크는 전쟁이나 왕의 위업을 과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보이지만 정확하지 않다. 일부의 학자들은 애굽의 태양신인 라와 호루스와 깊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하지만 명확한 근거는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 태양신을 상징하는 이집트의 오벨리스크는 이집트 멸망 이후 많은 곳으로 옮겨 간다. 수백톤에 이르는 거대한 오벨리스크를 어떻게 옮겨 갔는지 이해할 수 없지만 세계 곳곳으로 흩어져 나갔다. 이집트 9개이탈리아 11개프랑스 1개터키 1개영국 4개미국 1대현재까지 남아있는 이집트 오벨리스크는..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3. 15.

[성경의신들] 돌기둥, 주상(柱狀), 오벨리스크

[성경의 신들] 돌기둥, 주상(柱狀), 오벨리스크 전혀 우상과 상관없어 보이지만 실제로 하나님께서 바알과 같은 우상으로 여기는 우상이 있습니다. 바로 돌기둥, 오벨리스크입니다. 일단 성경에 기록된 주상에 대한 구절들을 몇 개 찾아봅시다. 다른 구절들은 문서 하단에 있습니다. 출애굽기 23:24 너는 그들의 신을 경배하지 말며 섬기지 말며 그들의 행위를 본받지 말고 그것들을 다 깨뜨리며 그들의 주상을 부수고신명기 16:22 자기를 위하여 주상을 세우지 말라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미워하시느니라열왕기하 18:4 그가 여러 산당들을 제거하며 주상을 깨뜨리며 아세라 목상을 찍으며 모세가 만들었던 놋뱀을 이스라엘 자손이 이때까지 향하여 분향하므로 그것을 부수고 느후스단이라 일컬었더라열왕기하 3:2 그가 여호와 보시..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3. 15.

[성경의 신들] 누스카(Nuska) 누스쿠(Nusku)

[성경의 신들] 누스카(Nuska)Nuska는 앗수르와 바벨론에서는 하늘을 상징한다. 또한 지상의 불을 상징한다. 불은 고대 세계에서 문명을 가져오고 새로운 기술을 진보하는 도구이다. 불의 신이라한 의미는 문명의 신이란 뜻이다. 보호의 신이기도 하다. 그에게 제물을 드리는 자들을 보호한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3. 13.

[성경의 신들] 니루타(Ninurta)

[성경의 신들] 니루타(Ninurta) 니루타는 메소포타미아 신이다. 수메르 신화에서 전해져 내려온 신으로 보인다. 종종 마르둑과 동일시 된다. 마르둑이 페니키아로 넘어가면서 바알로 바뀐 것이다. 니루타는 봄의 천둥과 비바람을 몰고오는 신이다. 농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신이다. 그는 봄철에 홍수를 일으키며, 쟁기의 신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전쟁의 신이되었다. 마르둑도 초기에는 농업의 신이었다. [성경의 신들 마르둑]그는 양손에 삼지창을 들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초기 바알과 하다드에서 쉽게 발견된다.하다드의 모습. 한 손에는 도끼는한 손에는 삼지창을 들고있다.앗수르의 하다드. 그 역시 삼지창과 도끼를 들고 있다. 머리에 뿔리 달린 모습은 점점 황소의 이미지로 변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삼..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3. 4.

[성경의 신들] 하다드(god hadad)

[성경의 신들] 하다드(god hadad) 인터넷에서 하다드(god hadad)를 검색하면 적지 않은 사이트에서 바알을 보여준다. 하닷은 우가릿어이고, 아카드어로는 하다드이다. 폭과 비의 신이며 가나안에서 바알로 불린다. 테슘, 피다르, 바알스본 등으로 불린다. 가나안 바알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메소포타미아 고대 문명 속에서는 하다드는 머리에 뿔리 달린 황소 모양을 하고 있다. 황소는 하다드를 상징하는 동물이었다. 하다드는 머리에 황소와 같은 뿔이 있고, 망치(도끼)와 번개를 들고 다녔다. 그리스 신화에서 하다드는 제우스로 변이 되어 등장한다. 로마의 신 목성 주피터이다. 이집트에서는 아문(Amun)으로 불린다. 하다드에 대한 숭배는 고대 바빌로니아 (B.C 1895-1595) 시대 때부터로 보인다. 메소..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2. 17.

[성경의 신들] 모트,얌, 리워야단

[성경의 신들] 모트,얌, 리워야단 리워야단을 우상이나 괴물, 또는 신으로 여기기에는 모호함감이 없지 않다. 하지만 성경 밖에서는 확실히 신적 존재이다. 못과 얌, 또는 리워야단으로 불리는 괴물이며 신인 존재를 알아보자. 1. 명칭 얌은 영어로 Yam 또는 Yamm로 표기한다. 얌은 고대 셈어에서 바다를 뜻한다. 바다와 강, 혼돈의 신이다. 평온한 바다가 아니라 원시적 바다이며, 사람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원시 바다를 뜻한다. 얌의 또 다른 이름은 나하르(Nahar)인데 하천이란 뜻이다. 고대 세계에서 바다는 인간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미지와 두려움의 공간이자 대상이었다. 바다를 대상으로 인신제물을 드린 이유는 이러한 바다가 화를 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우리나라의 심청전에 등장하는 심청이도..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2. 16.

[성경의 신들] 레판(Remphan)

[성경의신들] 레판(Remphan) 레판(Remphan)은 오직 한 곳에 등장한다. 일곱집사 중의 한 명인 스데반이 산헤드린 공의회 앞에서 변론하면서 언급한 신다.(행 7:43) 고대 이스라엘 민족이 레판신을 숭배했다고 비판한다. 이 부분은 70인경 성경에서 아모스 5:26,27을 인용한 듯 하다. 70인경에서는 가이완을 레판으로 번역했다. 레판은 이집트 신인 셉의 다른 이름인 레파(Repa, Repha)와 닮아 있어 동일한 신이 아닌가 추측한다. [사도행전 7:43] 몰록의 장막과 신 레판의 별을 받들었음이여 이것은 너희가 절하고자 하여 만든 형상이로다 내가 너희를 바벨론 밖으로 옮기리라 함과 같으니라 스데반은 숭배하기위해 만든 신의 '별'이라고 말한다. 레판은 별의 모양을 한 신의 형상으로 보인다. ..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1. 20.

[성경의 신들] 죽음의 신 모트(Mot [môtu])

[성경의 신들] 죽음의 신 모트(Mot [môtu]) 우가릿 문헌에 등장한다. 모트는 엘의 아들이다. 폭풍의 신인과 바알의 형제이자 경쟁자 또는 대적자이다. 불과 건기의 신이다. 하닷(바알)이 전령에게 준 지시에 따라 미레이라는 도시에 있다. 음부(땅 속)은 그의 왕좌가 있는 곳이다. 너는 신성한 죽음에 가까이 갈 수 없다. 그의 입술의 어린양처럼 만든 그를 쉬게 하겠다. 바알이 왕위에 오르자 모트가 도전한다. 바알은 모트을 정복하려 지하세계로 내려간다. 그러나 모트에게 죽임을 당한다. 이때 아스다롯이 남편인 바알을 구하기 위해 지하로 내려간다. 아스다롯에 의해 조건적으로 바알이 부활한다. 하지만 겨울에만 잠깐 바알이 지상 세계를 지배하게 된다. 결국 모트는 여름을 지배하고, 바알은 겨울을 지배한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1. 20.

[성경의 신들] 니스록(Nisroch) 누스쿠(Nusku)

[성경의 신들] 니스록(Nisroch) 헬라어 Νεσεραχ 아람어 ܢܝܼܫܪܵܟ݂ 니스록(Nisroch)은 앗수르의 신이다. 산헤립이 니스록 묘에서 경배하다 두 아들에게 암살된다는 이야기가 성경에 기록되어 있다.(왕하 19:39, 사 37:38) 구약 성경에 니스록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다른 어느 곳에도 동일한 이름이 등장하지 않는다. 학자들은 달신의 아들이며, 하늘의 신인 누스쿠(Nusku)가 동일한 신이라고 생각한다. 요세푸스는 니스록을 '다곤( dagan)'신으로 말한다. 더 공부해야 알겠지만 현재로서 니스록은 수메르의 여러 신 중의 중요한 한 신이었고, 그것이 팔레스타인으로 나가면서 다곤 신으로 변형되었을 가능성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성경의 신들, 다곤을 참고 바람] 앗수르 왕의 섬기는 신이라..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9. 9.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