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소돔5

아드마 스보임 같이 뜻과 영적 묵상

아드마(Admah) 스보임(zeboiim) 아드마와 스모임이 의미아드마와 스모임은 성경 안에서 파멸의 상징으로 소개됩니다. 각각 독립적으로 등장하지 않고 항상 소돔과 고모라와 함께 등장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것은 비슷한 지역인 동시에 동일한 운명을 지닌 지역임을 말하려는 것입니다. 아드마와 스보임은 소돔과 고모라와 같이 사해 하류에 속한 지역입니다. 창세기 아브라함과 헤어진 롯은 소돔으로 향합니다. 그런데 이곳은 전쟁이 빈번한 곳이었고, 하나님 보시기에 죄악이 가득한 곳이었습니다. 결국 소돔과 고모라는 하나님의 진노의 불로 멸망을 당합니다.(창 19장) 이때 아드마와 스보임도 함께 멸망당합니다.창세기 19:24-2919:24 여호와께서 하늘 곧 여호와께로부터 유황과 불을 소돔과 고모라에 비같이 내리사1.. 성경의세계/성서지리와 자연 2025. 2. 11.

소돔과 고모라의 영적 상징성

1. 소돔과 고모라의 상징성소돔과 고모라(Sodom and Gomorrah)는 성경에서 죄악과 심판의 상징으로 자주 언급됩니다. 이 두 도시는 창세기 19장에 기록된 하나님의 심판을 통해 완전히 멸망한 도시로, 인간의 타락과 하나님의 공의를 나타냅니다. 또한, 소돔과 고모라는 신구약 성경 전반에서 죄와 심판, 회개와 구원이라는 중요한 신앙적 교훈을 전달하는 상징으로 사용됩니다. 아래에서는 소돔과 고모라의 상징성을 주제별로 정리합니다 2. 죄악의 극치소돔과 고모라는 성경에서 죄악이 극에 달한 도시로 묘사됩니다. 성적 타락과 도덕적 부패창세기 19장에서 소돔 사람들은 천사를 상대로 동성애적 성적 폭행을 시도하며(창세기 19:4-5), 성적 타락과 도덕적 붕괴의 상징으로 등장합니다. “소돔과 고모라에 대한 부..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5. 1. 10.

소돔 사람들의 특징과 상징성

1. 소돔 사람들의 특징과 상징성소돔(Sodom)은 성경에서 타락과 심판의 상징적인 도시로 등장합니다. 창세기 19장과 성경의 여러 곳에서 언급되는 소돔 사람들의 특징과 상징성은 인간의 죄악, 하나님의 공의, 그리고 회개와 구원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돔 사람들의 특징과 그 상징성을 주제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소돔(Sodom)의 이름은 히브리어로 “סְדֹם” (Səḏōm)에서 유래하며, 그 뜻은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잇습니다. 먼저는 “불모지” 또는 “태워진 곳” 이란 뜻입니다. 소돔의 이름은 황폐하고 불모지 같은 땅을 의미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소돔과 고모라가 하나님의 심판으로 인해 불과 유황으로 멸망하여 완전히 황폐해진 상태를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창세기 1.. 성경인물/성경인물(구약) 2025. 1. 10.

창세기 13장 롯의 선택, 하나님의 선물

창세기 13장애굽에서 돌아온 아브람과 롯에게 문제가 생겼습니다. 사래의 일로 말미암아 힘들기는 했지만 많은 재물과 가축을 얻게 되었습니다. 또한 하나님께서 복을 주셔서 재산이 늘어났습니다. 그런데 이때 문제가 일어납니다. 위기의 순간에 그 사람의 정체가 드러나는 법입니다. 13장에서는 아브람과 롯이 결별하는 이야기가 소개됩니다. 롯은 이번 사건을 통해 아브람과 영원히 결별하게 되고, 결국 후에 소돔과 고모라가 망할 때 겨우 몸만 빠져나오게 됩니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였던 것일까요? 1-13절 아브람과 롯의 결별14-18절 아브람을 찾아오신 하나님 1. 1-13절 아브람과 롯의 결별(訣別) 창세기 13:1 아브람이 애굽에서 그와 그의 아내와 모든 소유와 롯과 함께 네게브로 올라가니 창세기 13:2 아브람에.. 모세오경강해 2024. 5. 20.

[성경인물연구] 아브라함(9) 롯, 소돔을 떠나다.

[성경인물연구] 아브라함(9) 롯, 소돔을 떠나다. 창세기 18-19장 우리는 롯의 일생을 살펴볼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에 안절부절 못합니다. 처음 아브라함을 따라 함께 가나안에 도착했을 때만해도 신실하지는 않았지만 복된 자리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가 부유해지자 아브라함을 떠나 요단들로 옮겼습니다. 자석이 철을 끄는 것처럼 소돔은 롯을 끌어 당겼습니다. 비롯 롯은 의로웠지만(벧 2:7) 죄를 사랑하는 마음도 강열했던 사람이었습니다. 롯이 소돔으로 빠져 들어갔던 이유는 아브라함으로부터 벗어난 것이 치명적인 이유였습니다. 아마도 롯의 처에 의해 그러한 충동이 더 강열해지지 않았는가 합당한 추측을 해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후에 보면 알겠지만 롯의 아내는 멸망하는 소돔과 고모라를 빠져 나올 때 유혹을 이기.. 성경인물/성경인물(구약) 2020. 1.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