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교회사/신학과교리33
조직신학에서 본 특별계시
성경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자기 계시특별계시(Special Revelation)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드러내신 계시입니다. 일반계시가 자연, 역사, 양심을 통해 보편적으로 주어졌다면, 특별계시는 성경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주어진 구속적인 계시입니다. 이 계시는 구원에 필요한 진리를 밝히며, 신자에게 믿음과 순종을 요구합니다. 본 글에서는 보수적인 조직신학의 입장에서 특별계시의 개념, 필요성, 구성, 권위, 그리스도 중심성을 자세히 살펴보며, 교인들에게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고자 합니다.특별계시의 개념과 목적특별계시는 하나님께서 구체적인 언어와 사건을 통해 자신의 뜻과 구원의 계획을 드러내시는 방식입니다. 이는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하나님의 인격적인 자기 계시..조직신학에서 본 일반계시
조직신학에서 본 일반계시: 자연, 역사, 양심을 통한 하나님의 드러나심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존재와 성품을 사람들에게 드러내시기 위해 계시하십니다. 조직신학에서는 이를 두 가지로 나누는데, 바로 일반계시와 특별계시입니다. 본 글에서는 일반계시, 즉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주어진 하나님의 계시에 대해 다룹니다. 자연, 역사, 양심을 통해 하나님께서 어떻게 자신을 나타내셨는지 성경과 보수적 신학의 틀 안에서 깊이 있게 살펴보고자 합니다.일반계시란 무엇인가일반계시(General Revelation)는 하나님께서 모든 인류에게 공통적으로 알리신 계시로서, 인간의 이성과 감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하나님의 존재와 성품을 포함합니다. 이는 특정 집단이나 시대, 개인에게만 주어진 것이 아니라, 모든 피조물에게 드러난..[조직신학 기초] 하나님의 존재증명
조직신학에서 본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철학적, 신학적 논증기독교 신앙의 핵심은 살아 계신 하나님의 존재를 믿는 데 있습니다. 하지만 세속화된 시대 속에서 많은 이들이 하나님의 존재를 의심하거나 부정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에 대해 조직신학은 다양한 철학적, 신학적 논증을 통해 하나님의 존재를 변증합니다. 대표적으로 우주론적 증명, 목적론적 증명, 존재론적 증명, 도덕론적 증명이 있으며, 이 네 가지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철학자들과 신학자들이 깊이 다룬 논증입니다. 본 글에서는 이 네 가지 논증을 보수적인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설명하며, 교인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친절하게 안내합니다.우주론적 증명: 존재의 원인을 묻는 논증우주론적 증명(Cosmological Argument)은 세상 만물이 존재하게 된..조직신학에서 본 유신론과 무신론, 불가지론, 범신론의 차이
조직신학에서 본 유신론과 무신론, 불가지론, 범신론의 차이조직신학의 관점에서 유신론은 하나님을 인격적 존재로 믿고, 성경을 통한 하나님의 계시를 받아들이며,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를 인정하는 신앙 체계입니다. 반면 무신론, 불가지론, 범신론은 하나님에 대한 개념 자체를 부정하거나 왜곡된 방식으로 이해합니다. 본 글에서는 이 세 가지 입장과 유신론 사이의 본질적인 차이를 조직신학적으로 살펴보고, 성경과 교리 중심으로 친절하게 비교 설명합니다.유신론: 성경적 신관의 토대기독교 유신론은 하나님을 초월적이며 인격적인 존재로 믿습니다. 하나님은 세상을 창조하시고, 역사 속에 개입하시며, 구속의 역사를 주관하시는 분입니다. 창세기 1:1에서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고 말씀하며, 이는 기독교 신앙의 핵심..종말론 (Eschatology) 교리 주제별 목록
📘 종말론 (Eschatology) 교리 주제별 목록1. 종말론의 성격과 중요성종말론은 단지 '끝'이 아니라 ‘완성’을 뜻함 (telos)구속사의 절정이며, 현재 신자의 정체성과 소망을 규정하는 신학“이미”와 “아직”의 긴장 속에 살아가는 신자의 현실을 조명2. 개인 종말론 (Personal Eschatology)죽음: 죄의 결과이자 생명의 끝(히 9:27)죽음 이후 상태: 영혼은 즉시 낙원 또는 지옥에 있음 (눅 16:22–23 / 고후 5:8)중간 상태: 부활 전까지의 영혼의 상태, 육체의 부활을 기다림3. 그리스도의 재림 (Second Coming of Christ)가시적이고 육체적인 재림: 동일한 예수께서 다시 오심 (행 1:11)한 번의 단회적 사건: 비밀 재림이나 이중 재림은 비성경적전 우주..교회론 (Ecclesiology) 교리 주제별 목록
📘 교회론 (Ecclesiology) 교리 주제별 목록1. 교회의 정의 (Definition of the Church)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성도들의 공동체이며,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구속받은 백성의 총체입니다.신약적 개념: ἐκκλησία (ecclesia, ‘불러냄을 받은 자들’) – 마 16:18 / 엡 1:22–232. 교회의 기원 (Origin of the Church)창세 전 하나님의 계획 속에 존재했으며, 역사적으로는 성령 강림(Pentecost) 이후 공식 출범됨 (행 2장).그러나 구약의 이스라엘도 언약 공동체로서의 교회로 이해될 수 있음 (행 7:38)3. 교회의 본질과 속성 (Nature and Attributes of the Church)전통적으로 다음 네 가지 속성..구원론 (Soteriology) 교리 주제별 목록
📘 구원론 (Soteriology) 교리 주제별 목록 구원의 서정(Ordo Salutis)이란 구원받는 개인 안에서 성령께서 적용하시는 구원의 순서를 말합니다. 이는 시간적 순서가 아니라 논리적 구조로, 하나님이 택하신 자에게 구속의 은혜를 어떻게 점진적으로 전달하고 적용하시는지를 설명합니다. 전통적 개혁주의에서는 효과적 부르심 → 중생 → 회심(회개와 믿음) → 칭의 → 양자 → 성화 → 견인 → 영화의 순서를 따릅니다. 이는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와 인간의 책임적 반응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밝히며, 성경적 구원 이해를 체계화하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1. 구원의 계획 (Eternal Decree / Counsel of Redemption)삼위 하나님 간의 구속 언약(Covenant of Redempti..인간론 (Anthropology) 교리 주제별 목록
📘 인간론 (Anthropology) 교리 주제별 목록1. 인간 창조의 기원 (Origin of Man)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존재입니다 (창 1:26–27).창조의 주체는 하나님, 방법은 직접적 창조이며, 인간은 창조 질서의 절정.진화론이나 유물론적 인간관과 구별됨: 인간은 우연한 산물이 아님.2. 하나님의 형상 (Imago Dei)‘하나님의 형상’은 인간이 하나님을 닮은 존재라는 의미로, 지성, 의지, 도덕성, 관계성 등을 포함합니다.창 1:26–28 / 엡 4:24 / 골 3:10타락 후 손상되었지만 완전히 소멸된 것은 아님. 구속 안에서 회복됨.3. 인간의 본성 구성 (Constitution of Human Nature)전통적 세 견해:이분설(Dichotomy): 영(spirit)과 육..성령론(Pneumatology) 교리 주제별 목록
📘 성령론(Pneumatology) 교리 주제별 목록1. 성령의 위격(Personhood of the Holy Spirit)성령은 단순한 힘이나 영향력이 아니라 인격(Person)을 지닌 삼위일체 하나님의 제3위격입니다.지성(고전 2:10–11), 감정(엡 4:30), 의지(고전 12:11)를 가진 분으로서 성경은 인격적 호칭과 행위를 사용합니다.2. 성령의 신성(Deity of the Holy Spirit)성령은 하나님과 동등한 본질을 지닌 하나님 자신입니다.창조에 참여(창 1:2), 부활에 참여(롬 8:11), 하나님의 속성 소유(전지, 전능 등).마 28:19의 삼위일체 공식(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은 성령의 신성을 명시함.3. 삼위일체 안에서의 성령의 위상(Relation within ..죄론 (Hamartiology) 교리 주제별 목록
📘 죄론 (Hamartiology) 교리 주제별 목록1. 죄의 정의 (Definition of Sin)죄란 하나님의 율법에 대한 불순종이며, 하나님의 영광에 도달하지 못하는 모든 상태, 행위, 성향을 포함합니다(요일 3:4 / 롬 3:23).능동적 범죄(act)뿐 아니라, **소극적 결핍(lack)**도 죄에 포함됩니다.성경은 죄를 “불법”(anomia), “과녁에서 벗어남”(hamartia), “패역”, “악행”, “불경건” 등 다양한 용어로 표현합니다.2. 죄의 기원 (Origin of Sin)죄는 하나님의 창조 안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피조물의 자유로운 의지에서 유래한 도덕적 반역입니다.인간 세계의 죄는 아담의 타락을 통해 들어왔습니다 (창 3장, 롬 5:12).사탄의 타락(사 14장, 겔 28장..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