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46

루터, Martin Luther

루터, Martin Luther 마르틴 루터, 1483년에 태어나 1546년에 하나님의 품에 안겼다. 아마도 교회 역사상 가장 유명한 몇 사람 중의 한 명일 것이다. 성경시대를 넘어 어거스틴과 안셀름, 토마스 아퀴나스, 그리고 루터가 아닐까? 시대적으로 보면 그렇다. 1517년 10월 31일. 쿠텐베르크 성당 문에 95개조를 붙여 종교개혁의 불씨를 당겼다. 그러나 비평적 자료에 의하면 성당문을 아니라고 한다. 자, 이제 루터의 이야기를 시작해보자.*이 글은 완성된 글이 아니면 계속하여 수정 증보됩니다. 1. 생애1483년 독일의 작센안할트 주 아이슬레벤에서 한 아이가 태어난다. 그의 이름은 교회사에 길이남을 마르틴 루터이다. 아버지는 한스 루터(Hans Luther)이며, 어머니는 마가레테 린데만(Mar..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8. 12. 5.

[청교도인물] 토마스 왓슨

[청교도인물] 토마스 왓슨 일반적으로 토마스 왓슨에 대해 알려진 사실은 아래와 같다. 알라딘의 저자파일에서 가져온 것이다. 토머스 왓슨17세기의 저명한 설교자로, ‘청교도의 산실’이라고 불리는 케임브리지 임마누엘 칼리지를 졸업한 뒤 1646년에 성 바울 교회와 런던 윌브룩에 있는 성 스데반 교회에서 16년 동안 목회하며 훌륭한 설교자의 반열에 올랐다. 1651년에 이른바 ‘러브의 음모’ 에 가담한 죄로 몇 달 동안 감옥에 갇혔고, 1662년에 통일령이 발효되면서 강단에서 내쫓겼지만, 말씀을 듣기 위해 모여든 사람들과 개인적으로 교제하며 쉬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던 중 건강이 악화되어 사역을 중단하고 지내다가 1686년, 기도하는 중에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생전에 웨스트민스터 회의에서 소요리문답..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8. 11. 23.

[종교개혁사 인물]

[종교개혁사 인물] 종교개혁에 관련된 인물 목록입니다.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인물을 중심으로 엮었습니다. 최종글이 아니면 계속하여 수정 증보됩니다. 기본적으로 위키백과 사전을 참조하여 수정 증보 되었음을 밝힙니다. 1. 종교개혁 이전 존 위클리프(John Wycliffe, 1320년경 ~ 1384년) 존 위클리프(John Wycliffe, 1320년경 ~ 1384년)는 영국의 기독교 신학자이며 종교개혁가이다. 옥스퍼드 대학을 졸업하였으며, 1374년 교황이 납세 문제로 영국왕 에드워드 3세를 불러들였을 때 위클리프도 사절단으로 따라갔다. 그 후 교구장이 되어 로마 교황청의 부패를 탄핵하기 시작하였다. 교황 그레고리우스 11세로부터 이단이라는 비난을 받았으나, 계속해서 교황의 권력과 로마 가톨릭교회의 ..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8. 11. 13.

[중세인물] 보나벤투라(Sanctus Bonaventura; 1218? - 1274,7,15)

[중세인물] 보나벤투라(Sanctus Bonaventura; 1218? - 1274,7,15) 토마스 아퀴나스와 동료중세 신비주의자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8. 9. 29.

[중세인물]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66-1308)

[중세인물]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66-1308)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66년~1308년)는 영국 스코틀랜드의 스콜라 철학자이다. 로마 가톨릭교회의 복자이며 '영민한 박사'(Doctor Subtilis)라고 불렸다. 주요작품으로 'Opus oxoniense'와 'Opus parisiense' 2부로 구성된 명제집 주석서가 있다. 기독교인으로 프란체스코회(작은형제회)에 입회하고 옥스퍼드에서 배웠으며, 학업을 마친 다음에는 그곳에서 교편을 잡았고, 1305년부터는 파리에서 가르쳤으며, 1308년 쾰른에서 사망하였다. 그는 옥스퍼드에서 일어난 새로운 자연 연구의 영향과 프란체스코회의 신학적 노선 아래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을 받아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에 반대하고 중세..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8. 4. 24.

[중세인물] 안셀무스(Anselm of Canterbury)

[중세인물] 안셀무스(Anselm of Canterbury) *아래의 글은 위키백과 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캔터베리의 안셀무스캔터베리의 안셈(이탈리아어:Anselmo d'Aosta, 라틴어: Anselmus Cantuariensis, Anselm of Canterbury, 1033/1034년 ~ 1109년 4월 21일) 혹은 안셀모는 이탈리아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철학자로, 1093년~1109년 영국의 캔터베리 대주교를 지냈다. 스콜라 철학의 창시자로서, 신 존재를 대상으로 한 존재론적 신의 존재 논증와 십자군에 공개로 반대한 것으로 유명하다. 생애1033년 혹 1034년에 부르고뉴 왕국의 아오스타(현재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 주)에서 귀족 가문인 아버지 곤돌포(Gondulfo)와 어머니 에르멘베르가(Er..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8. 4. 17.

[중세 인물] 토마스 아퀴나스

토마스 아퀴나스 토마스 아퀴나스는 철학자이면서 동시에 신학자입니다. 아직 철학이 신학의 시종으로 있었던 시기였기에 철학은 곧 신학이며, 신학은 곧 철학이었습니다. 이러한 학문적 상황은 중세만의 독특한 신학 체계를 만들어 냈습니다. 스콜라 철학으로 부르는 중세철학은 자연과 신학이 버무려진 형태입니다. 지난번에 살펴본 토마스 아퀴나스의 는 중세적 신학의 신학을 맛볼 수 있는 독특한 책이었습니다. 오늘 다루게 될 은 오로지 철학만을 다룬 책입니다. 은 아퀴나스의 이십 대 후반에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술 시점이 정확하지 않으나 대략 1252년에서 1254년 사이로 봅니다. 이때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연금에서 풀려나 3년간의 모호한 시간을 보낸 뒤 쾰른의 도미니코수도회에서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에게 철학을..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8. 4. 10.

중세 인물

중세 인물교회사에서 중요한 중세 인물을 소개합니다. 필자가 개신교이기 때문에 가톨릭의 관점이 아닌 개신교의 입장에서 설명하고 자료를 취합합니다. 이해 바랍니다. 중세는 그레고리가 교황이 되던 590년 부터 종교개혁이 일어날 때 까지를 말합니다. 이것은 역사는 단절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기는 나누는 문제는 여러 측면이 있지만 편리하기 때문에 나누는 것에 합의 합의합니다. 저는 그레고리 교화부터 루터가 95개조를 붙인 때까지를 중세로 정하고 중세 인물을 간략하게 정리합니다. 그레고리 교황 590년 클레르보의 베르나르(1090년 - 1153년 8월 21일)12세기에 활동한 수도자로 시토회를 창립하였으며 제2차 십자군 원정 중에 설교하였다. 로마 가톨릭의 성인. 축일은 8월 20일. 베르나르는 독일어에서 기원..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8. 2. 28.

동방 4대 교부 / 서방 4대교부

동방 4대 교부 / 서방 4대교부 동방은 비잔틴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교부들이고, 서방교부들은 안디옥과 로마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교부들이다. 동방교부들은 대부분 헬라어를 사용하고, 서방교부들은 헬라어에서 라틴어로 넘어간다. 동방 4대 교부 동방이라 말할 때는 서방과 구분되는 의미에서 동방을 뜻한다. 서방은 헬라어에서 라틴어로 넘어간다. 어거스틴(아우구스티누스)등 이 전형적인 서방교부니다. 이에비해 동방의 교부들은 헬라어를 고수했으며, 비잔틴을 중심으로 전통을 중시했던 교부들이다. 아타나시우스(295~373) 바질(또는 바실리아) (329~379) 요한 크리소스토무스(349~407) 그레고리 나지안주스(329~389) 아타나시우스(295~373) 알렉산드리아 아타나시우스로 불린다. 초기 기독교의 교리를 ..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2. 21.

[중세교회 신학자] 마이스터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

마이스터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 이 사람을 읽어 낼지 자신은 없지만 일단 몇 권의 책을 구입했다. 중세의 신학과 신비주의를 대표하는 사람이기에 건너뛸 수 없는 인물이다. 기독교 영성사와 인류 정신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13~14세기 사상가요, 신비가요, 사제요, 수도원장이요, 설교가요, 행정가요, 시인이요, 여성주의자였다. 하지만 당시 가톨릭교회는 이 걸출한 하나님의 사람과 불화하였고 마침내 이단의 딱지를 붙이고 만다. 도미니크회 소속이었던 에크하르트의 영성의 깊이와 무게를 당시 기독교회가 감당할 수 없게 되었을 때 프란치스코회 소속으로 콜로뉴 대학의 대주교였던 하인리히 폰 비르네베르크는 프란치스코회 수도사들에게 이단 심사를 맡겼고, 그들은 에크하르트의 오류 목록을 작성했다. 이에 대..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17. 12.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