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524

시편 1편 2절 묵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는 삶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는 삶시편 1편 2절은 복 있는 사람이 어떤 삶을 살아가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말씀입니다.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시 1:2). 이 구절은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이 무엇인지, 그리고 참된 복이 어디에서 오는지를 가르쳐 줍니다.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다시편 1편 2절은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라는 표현으로 시작됩니다. 여기서 "오직"(히브리어: "כִּי אִם", 키 임)은 강한 대조를 나타냅니다. 앞선 1절에서 악인의 길을 따르지 않는 복 있는 사람이 소개되었다면, 이제 그들이 무엇을 따르는지에 대해 강조하는 것입니다. "율법"(히브리어: "תוֹרָה", 토라)은 단순히 법적인 규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가.. 구약시가서 2025. 3. 19.

시편 1편 1절 묵상 복 있는 사람의 길

복 있는 사람의 길시편 1편 1절은 성경 전체에서 복된 삶의 시작을 가르쳐 주는 중요한 말씀입니다. "복 있는 사람은 악인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시 1:1). 이 구절은 복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를 설명하며,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삶의 방향을 제시합니다. 복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시편 1편은 "복 있는 사람"(히브리어: "אַשְׁרֵי הָאִישׁ", 아쉬레이 하이쉬)이라는 표현으로 시작됩니다. 여기서 "복"(히브리어: "אַשְׁרֵי", 아쉬레이)은 단순한 물질적 축복이나 행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단어는 깊은 만족감과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에서 오는 영적인 기쁨을 의미합니다. 즉, 복 있는 사람은 단순히 세상의 성공을 거둔 사람.. 구약시가서 2025. 3. 19.

이사야 40장 11절 묵상 온유한 목자 되신 하나님

온유한 목자 되신 하나님이사야 40장 11절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을 어떻게 돌보시는지를 아름답게 묘사하는 말씀입니다. "그는 목자 같이 양 무리를 먹이시며 어린 양을 그 팔로 모아 품에 안으시며 젖 먹이는 암컷들을 온순히 인도하시리로다"(사 40:11). 이 구절은 하나님의 사랑과 보호하심을 목자의 이미지로 설명하며, 특별히 연약한 자들을 향한 하나님의 따뜻한 손길을 강조합니다. 하나님의은혜를 기억하고 말씀에 순종하는 삶을 통해 영광 돌리기 원합니다.  온유한 목자 되신 하나님이사야 40장 11절은 하나님을 "목자"로 묘사합니다. 구약에서 하나님은 종종 목자의 이미지로 나타납니다. 시편 23편에서 다윗은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으리로다"(시 23:1)라고 고백합니다. 또한, 에스겔 .. 구약선지서 2025. 3. 19.

요나서 강해 8) 요나서 전체 강해

순종과 긍휼의 신앙요나서는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하나님의 긍휼이 얼마나 넓은지를 보여주는 책입니다. 요나는 하나님의 명령을 거부하고 도망쳤으나, 결국 하나님의 계획에서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그는 물고기 뱃속에서 극적인 회개를 경험했고, 하나님의 뜻을 수행하기 위해 니느웨로 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요나는 여전히 하나님의 긍휼을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했습니다. 그는 하나님께서 니느웨를 용서하신 것을 보고 화를 내며 불평했습니다. 이러한 요나의 모습은 우리 자신의 신앙을 돌아보게 합니다. 우리는 하나님께 순종하는 삶을 살아야 하지만, 때로는 우리의 감정과 고집이 하나님의 뜻을 앞설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불순종할 때 징계하시지만, 다시 순종할 기회를 주십니다. 또한, 하나.. 구약선지서 2025. 3. 18.

요나서 강해 7) 4:10-11 입장 바꿔 생각해봐

하나님의 선하심과 우리의 태도하나님의 선하심은 우리의 이해를 초월하며, 그분의 계획은 항상 옳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종종 하나님의 뜻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우리 자신의 기준으로 하나님의 행동을 평가하려 합니다. 요나서는 이런 인간의 한계를 분명하게 보여줍니다. 요나는 하나님의 긍휼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기중심적인 태도를 보이며 하나님께 불만을 품었습니다(요나 4:1). 요나는 니느웨의 멸망을 기대했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기는 했지만, 결국 하나님께서 니느웨를 용서하시자 오히려 화를 내며 분노했습니다(요나 4:2). 그는 자신이 수고하지도 않았고, 가꾸지도 않았던 박넝쿨이 시든 것에는 크게 아쉬워하면서도,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수많은 니느웨 사람들의 생명은 소중히 여기지 않았습니다(요나.. 구약선지서 2025. 3. 18.

요나서 강해 6) 4:1-11 요나의 불만과 박넝쿨 교훈

하나님의 긍휼과 인간의 편협함 (요나 4:1-11)하나님의 긍휼은 인간의 이해를 초월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하면서도 때로는 그 사랑이 나에게만 적용되기를 바라는 이기적인 모습을 보일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니느웨를 용서하시고 그들에게 긍휼을 베푸셨을 때, 요나는 이를 받아들이지 못했습니다. 그는 하나님이 원수 같은 니느웨 사람들까지 용서하시는 것을 보며 화를 내고 낙담했습니다(요나 4:1). 요나의 모습은 우리가 신앙생활을 하면서도 여전히 갖고 있는 인간적인 한계와 편협함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요나서는 단순히 니느웨의 회개와 구원의 이야기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오히려 4장은 하나님과 요나 사이에서 벌어지는 대화를 통해, 하나님의 긍휼이 얼마나 깊고 넓은지를 강조하며, 동시에 인간의 이기적.. 구약선지서 2025. 3. 18.

요나서 강해 5) 3:5-10

회개의 능력 (요나 3:5-10)니느웨 사람들은 요나의 메시지를 듣고 회개하였고, 하나님은 그들을 용서하셨습니다. 이는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원 역사 속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우리는 이 본문을 통해 하나님께서 회개하는 자를 어떻게 대하시는지를 살펴볼 것이며, 또한 요나서 전체의 맥락 속에서 니느웨의 회개가 갖는 영적인 의미를 분석하고자 합니다. 하나님께서 요나에게 니느웨로 가서 심판을 선포하라고 명령하셨을 때, 요나는 하나님의 뜻을 거부하고 다시스로 도망쳤습니다(요나 1:3). 이는 요나가 니느웨 사람들을 미워하고 그들에게 하나님의 용서가 주어지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큰 폭풍을 보내시고, 결국 물고기의 뱃속에서 요나가 회개하게 하셨습니다(요나 2:1.. 구약선지서 2025. 3. 18.

요나서 강해 4) 3:1-4 두번째 사명과 순종

요나서 세 번째 강해입니다. 요나는 물고기 뱃속에서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다고 다시 육지로 올라 두 번째 소명을 받습니다. 두 번째 소명을 받은 요나는 어떻게 할까요? 니느웨로 향하는 요나의 마음은 어떤 마음일까요? 본문으로 들어가 봅시다.순종의 중요성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실패할 때에도 다시 기회를 주시는 분이십니다. 요나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거부하고 도망쳤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를 포기하지 않으셨습니다. 하나님은 요나를 다시 부르셨고, 이번에는 요나가 순종합니다. 순종은 단순히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깨닫고 기꺼이 나아가는 태도입니다. 우리는 종종 하나님의 뜻을 알면서도 망설이고 도망치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끝까지 우리를 기다리시며 다시 기회를 주십니다. 요나의 순종을 통해 하.. 구약선지서 2025. 3. 18.

요나서 강해 3) 2:1-10 물고기 뱃속에서의 기도

물고기 뱃속에서의 회개와 기도요나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거부하고 도망쳤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그를 포기하지 않으셨습니다. 하나님은 그를 다시 부르시기 위해 풍랑을 보내셨고, 결국 요나는 물고기 뱃속이라는 절망적인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하지만 바로 그곳에서 요나는 하나님께 부르짖으며 회개하고 기도합니다. 이는 단순한 두려움에서 비롯된 기도가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자신의 죄를 깊이 인정하고 돌이키는 기도였습니다. 요나의 기도는 우리에게도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인생에서 절망적인 상황에 놓일 때, 우리는 하나님을 원망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나아가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회개를 받으시고 다시 회복의 길로 인도하시는 분이십니다. 절망 속에서 하나님을 찾다 (요나 2:1-2)"요나가 물고기 뱃속에.. 구약선지서 2025. 3. 18.

요나서 강해2) 1:4-17 요나의 도망과 징계

요나서 두 번째 시간입니다. 소명을 받은 요나는 니느웨로 향하지 않고 반대편인 다시스로 향합니다. 하나님은 막지 않고 내버려 두시지만 폭풍을 보내심으로 자연을 통해 요나가 스스로 깨닫게 하십니다. 하나님의 징계와 회복의 과정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잘못된 길을 갈 때 이를 바로잡기 위해 징계를 사용하십니다. 징계는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이며, 단순한 처벌이 아니라 우리를 회복시키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섭리입니다. 요나서 1장 4-17절은 하나님께서 불순종하는 요나를 다루시는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요나는 하나님의 명령을 거부하고 다시스로 도망갔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를 포기하지 않으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폭풍을 보내셔서 요나를 붙잡으셨고, 결국 그를 다시 사명으로 인도하셨습니다. 이 장면은 단순한 사건이 아니.. 구약선지서 2025. 3.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