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보서 1:26-27 강해, 참된 경건은
참된 경건, 혀와 사랑과 거룩으로 드러납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우리는 신앙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되묻게 하는 매우 간결하면서도 깊은 말씀 앞에 섭니다. 야고보서 1장 26절과 27절은 참된 경건이 단지 종교적 형식이나 외형적 헌신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서 시작되어 말과 행실, 삶 전체에 드러나는 것임을 가르쳐 줍니다. 본문은 유대적 경건의 전통 속에서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된 구속사적 경건의 모습을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으며, 실천 없는 신앙의 공허함을 경고합니다.
1. 혀를 제어하지 못하는 경건은 헛것입니다 (1:26)
"누구든지 스스로 경건하다 생각하며 자기 혀를 제어하지 아니하고 자기 마음을 속이면 이 사람의 경건은 헛것이라" (1:26)
야고보는 외형적으로는 신앙인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실천되지 않는 경건에 대해 경고합니다. '경건하다 생각하며'(δοκεῖ θρῆσκος εἶναι, dokei thrēskos einai)는 스스로 종교적으로 의롭다고 여기는 태도를 뜻합니다. 여기서 '경건'(θρῆσκος, thrēskos)은 예배, 제사, 의식 등 외적인 신앙 활동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이 단어는 신약에서 이곳 야고보서에만 나오며, 고대 헬라 사회에서도 제의적, 종교적 행위를 뜻하는 기술적 용어였습니다.
하지만 그런 자가 '자기 혀를 제어하지 아니하고'(μὴ χαλιναγωγῶν γλῶσσαν αὐτοῦ, mē chalinagōgōn glōssan autou) 있다면, 그것은 진짜 경건이 아니라 스스로를 속이는 것이라 말합니다. '제어하다'라는 단어는 말고삐를 단단히 쥐는 것을 의미하는 'χαλιναγωγέω'에서 유래하였으며, 이는 말의 입에 재갈을 물리는 행위를 가리킵니다. 말의 통제를 강조하는 이 단어는 야고보서 3장에서 다시 등장하며, 혀를 제어하지 못하는 자는 자기 온 몸도 통제하지 못하는 자라고 경고합니다.
야고보는 이와 같은 경건이 '헛것'(ματαία, mataia), 즉 무가치하고 헛된 것이라고 단언합니다. 이는 전도서에서 자주 나오는 단어이며, 구약적 사고에서 '헛됨'은 본질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칼빈은 이 구절에 대해 “참된 경건은 반드시 혀의 열매로 나타나며, 혀는 인간의 내면을 비추는 거울과 같다”고 주해하였습니다. 교부 아우구스티누스 또한 “입으로 나오는 말은 마음에 충만한 것을 드러낸다”고 하며, 언어와 신앙의 불가분성을 강조했습니다.
말씀은 명확합니다. 말이 통제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이 얼마나 예배에 열심이고 기도에 열심일지라도 그것은 경건의 모양만 있을 뿐, 그 속은 공허합니다. 우리의 혀가 성령의 통제를 받지 않는다면, 우리의 신앙생활도 외형적인 껍데기에 불과할 수 있습니다.
2. 참된 경건은 고아와 과부를 돌보는 사랑입니다 (1:27上)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정결하고 더러움이 없는 경건은 곧 고아와 과부를 그 환난 중에 돌보는 것" (1:27上)
야고보는 이제 참된 경건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먼저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παρὰ τῷ θεῷ καὶ πατρὶ, para tō Theō kai patri)라는 표현은 하나님께서 인정하시고 받으시는 경건을 뜻합니다. 다시 말해, 이 말씀은 인간 중심의 경건이 아니라, 하나님 중심의 경건을 정의합니다.
참된 경건은 첫째, '고아와 과부를 환난 중에 돌보는 것'(ἐπισκέπτεσθαι, episkeptesthai)입니다. 이 동사는 단순히 방문하는 것을 넘어, 돌보고 책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약에서 하나님은 고아와 과부의 하나님으로 자주 소개되며(신 10:18), 그들을 돌보는 것이 율법의 중요한 명령이었습니다(사 1:17). 예수님 또한 마태복음 25장에서 가장 작은 자를 섬기는 것이 곧 주님 자신을 섬기는 것이라 하셨습니다.
야고보는 이 전통을 계승하면서, 사랑의 실천이야말로 하나님이 받으시는 경건임을 선언합니다. 종교개혁자 루터는 이 구절을 해석하며 “사랑의 행위는 믿음의 필연적 열매이며,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의 일상이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실제로 야고보는 믿음과 행위의 관계를 일관되게 강조하며, 믿음은 반드시 사랑의 형태로 드러나야 함을 말합니다.
교부 요한 크리소스토무스는 “고아와 과부를 돌보는 자는 천사의 마음을 가진 자요, 하나님께 가까운 자”라고 하며, 이러한 섬김이야말로 하늘의 가치를 이 땅에 드러내는 것이라 말합니다.
3. 세상에 물들지 않는 거룩함을 지키라 (1:27下)
"또 자기를 지켜 세속에 물들지 아니하는 그것이니라" (1:27下)
참된 경건은 단지 사랑의 행위로 그치지 않습니다. 동시에 ‘자기를 지켜’(τηρεῖν ἑαυτὸν, tērein heauton) 세상, 곧 ‘세속’(κόσμος, kosmos)에 물들지 않는 삶을 포함합니다. 여기서 '지킨다'는 표현은 성경에서 율법을 지킬 때 자주 쓰이던 단어이며, 하나님의 말씀을 품고 사는 자의 삶을 뜻합니다.
'세속에 물들다'(ἀσπίλον, aspilon)는 문자적으로는 ‘얼룩 없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제사장들이 제사를 드릴 때 흠 없는 제물을 드려야 했던 정결의 규례를 떠오르게 합니다. 그러므로 경건한 자는 자신의 삶이 이 세상의 가치, 탐욕, 쾌락에 물들지 않도록 늘 자신을 성찰하고 돌아보아야 합니다.
칼빈은 이 부분을 해석하며 “세상에서 살아가되, 세상의 유혹에 빠지지 않는 내면의 분리야말로 성도의 정체성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종교개혁의 영성은 단지 금욕이나 은둔이 아니라, 세상 한가운데서도 거룩함을 유지하는 것이 참된 개혁이라 믿었습니다.
야고보는 행위 없는 경건을 경고하면서, 동시에 거룩함 없는 사랑 또한 온전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고아와 과부를 돌보는 사랑이 외형적 행위라면, 세속에 물들지 않는 거룩함은 내면의 정결입니다. 이 둘은 동전의 양면과 같으며, 어느 하나가 빠지면 그 신앙은 균형을 잃게 됩니다.
결론: 참된 경건은 말씀을 따라 사는 실천과 정결함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야고보는 참된 경건을 아주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모습으로 설명합니다. 경건은 혀를 절제하는 말의 절제, 고아와 과부를 돌아보는 사랑의 실천, 세상에 물들지 않는 정결한 삶으로 나타나야 합니다. 이는 모두 하나님의 말씀을 믿고 따르는 자에게 마땅한 열매이며, 구속사 속에서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아가는 여정입니다. 겉모습만 신앙인이 아니라, 삶의 모든 자리에서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며, 사랑하고 거룩하게 살아가야 진정한 경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말씀 안에서 우리 자신을 돌아보고, 참된 경건을 회복하는 복된 하루가 되시기를 소망합니다.
야고보서 1장 구조
'신약서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고보서 2:1–7 강해 가난한 자를 택하신 하나님 (0) | 2025.04.12 |
---|---|
야고보서 2장 구조분석 (0) | 2025.04.12 |
야고보서 1:19-25 강해 말씀을 듣고 실천하는 자의 복 (0) | 2025.04.12 |
야고보서 1:12-18 유혹은 어디서부터 오는가? (0) | 2025.04.12 |
야고보서 1:9-11 강해 부한 자는 낮아짐을 자랑하라 (0) | 2025.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