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상징42

[성경의 상징] 용(뱀) 드레곤 dragon

[성경의 상징] 용(뱀) 드레곤 dragon 성경에 용이 나올까? 성경에 뱀만 나온다고 생각하지만 아니다. 시편에도 나오고 요한계시록에 보면 용이 등장한다. 용이 등장하는 성경 구절을 보자. 요한계시록 외에 시편 두 번 등장한다. 시편 74:13 주께서 주의 능력으로 바다를 나누시고 물 가운데 용들의 머리를 깨뜨리셨으며 시편 148:7 너희 용들과 바다여 땅에서 여호와를 찬양하라 시편에서 등장하는 용들은 두 가지 의미를 함께 가진다. 74:13에서는 하나님을 대적하는 존재이고, 148:7에서는 단지 피조물로서 등장한다. 그 다음 등장하는 곳은 요한게시록이다. 약 12번 정도 등장한다. 계시록에서 용은 사단으로서 용이다. 계 12:9 큰 용이 내쫓기니 옛 뱀 곧 마귀라고도 하고 사탄이라고도 하며 온 천하를..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19. 3. 20.

신화학, 비교종교학 학자 및 역사

신화학, 비교종교학 학자 및 역사 [신화]-서양, 유럽 신화이윤기 웅징지직하우스닐 게이먼 나무의 철학아폴로도로스 도서출판 숲찰스 스콰이어 항소자리 2009.5 -우리나라 신화신동흔 한겨레출판 2004.9 -그외신화 [신화와 이론, 가설] 삼기능 가설 12세기 스웨덴의 태피스트리.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오딘, 토르, 프레이이다. 그들은 각각 정치종교적 권력자, 군사력을 맡은 전사, 생산력을 맡은 평민을 대변한다.삼기능 가설(프랑스어: fonctions tripartites)은 인도유럽조어 사회의 종교, 신화에서 나타나는 삼신일체를 세 가지 사회계급—성직자, 전사, 평민(농·상·공업자)—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프랑스 신화학자 조르주 뒤메질이 1929년 저서 Flamen-Brahman과 Mitra-Varun..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8. 12. 15.

[성경의 상징] 뱀

[성경의 상징] 뱀 *이 글은 완성된 글이 아니면 계속하여 수정 증보됩니다. 뱀을 좋아하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 보기에도 흉측하지만 뱀을 혐오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독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뱀이 독이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뱀은 여전히 독을 가진 동물로 인식된다. 뱀의 다양한 상징들 1. 신화 속의 뱀 인간을 타락하게 한 뱀, 악의 상징으로서의 뱀, 그러나 다른 한 편으로 악은 지혜이기도 하다. 필자는 여기서 신화적인 뱀의 의미를 조금 살핀 뒤 성경에 나타난 뱀을 추적해 보고자한다. 뱀에 대한 신화들은 결코 나쁘지 않다. 대개 뱀은 불명의 상징이며, 다산과 풍요를 상징한다. 김신명숙 에서그녀는 성경의 창세기에 등장하는 선악나무와 이브의 이야기에 뱀과 나무와 여성을 신성시했던 여신신앙이 담겨 ..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18. 11. 16.

뱀 지팡이 퀘뤼케이온(Caduceus)

[성경의 상징] 뱀 지팡이 퀘뤼케이온(Caduceus) (Caduceus-Rod of Hermes) *이 글은 완성된 것이 아니며, 계속하여 수정 증보됩니다. Rod of Hermes 케뤼케이온(kerykeion), 라틴어로는 카두케오스(caduceus) 퀘리케이온의 가장 오래된 표식은 수메르의 신 닝기시지다(Ningishzida)에서 유래했다고 믿는다. 남쪽 과수원 지역 우르 근교에 있던 도시 기시반다의 수호신이다. 지하세계의 유력자로 왕관 전달자의 직책을 맡았지만, 이름이 '생산력이 왕성한 나무 신'(Lord Productive Tree)을 뜻하는 것으로 보아 원래는 나무의 신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원래 뱀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던 점으로 보아 나무 중에서도 특히 칭칭 감기는 나무뿌리의 신이었던 듯하다...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18. 11. 15.

크노소스 궁전과 뱀을 든 여신

크노소스 궁전과 뱀을 든 여신 크노소스(Knossos) 궁전에서 발견된 뱀의 여신(snake goddess)[출처 : 위키백과] 뱀과 여성의 상관성신화의 세계를 들여다보면 여성들이 종종 뱀을 붙잡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크레타 섬의 크노소스 궁전에서 발견된 여신 또한 두 마리의 뱀을 손에 쥐고 있다. 여성들이 혐오하는 동물인 뱀을 왜 잡고 있을까? 뱀은 죽음과 부활을 상징한다. 뱀은 허물을 벗고 다시 살아난다. 마치 달이 죽었다가 한 달만에 다시 재 모습을 갖는 것과 같다. 여성의 월경은 달의 주기와 동일한다. 여성은 삶과 죽음, 하늘과 땅을 연결한다. 그래서 종종 나무와 뱀, 그리고 여성이 함께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미노아 문명은 여성들이 지배하던 시기다. 크노소스는 궁전이자 성소이다. 제주신보..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18. 11. 10.

[성경의 상징] 빛(Light)

[성경의 상징-빛]http://392766.tistory.com/3939 빛은 그 어떤 피조물보다 가장 포괄적이며 중요한 하나님의 상징물이다. 성경 속에 나타난 빛을 잘 들여다보면 하나님의 존재적 속성을 이해할 수 있다. 성경은 빛을 통해 하나님을 은유하고 비유한다. 때로는 하나님 자신이 빛이시며, 예수님 또한 빛이시며, 생명과 회복에 관련된 수많은 의미들을 갖는다. 창세기 1:1을 창조가 아닌 서론으로 이해한다면 빛은 최초의 피물이 된다. 또한 계시록 마지막 부분에서 하나님은 빛으로서 온 세상에 비추신다. 성경은 빛으로 시작으로 빛으로 마무리한다. 1. 피조물로서의 빛 빛은 피조물이다. 하나님은 빛을 창조하셨다. 창세기 1:3-5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빛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18. 5. 28.

성경의 나무,식물, 물건 상징 관련 도서 목록

성경의 나무,식물, 물건 상징 관련 도서 목록 유인식 CLC(기독교문서선교회) | 1978-04-01 CLC(기독교문서선교회) | 1979-03-01 성경에 나타난 나무 비유를 모은 책이다. 가지고 있으면 매우 유용하다. 그런데 78년 출간인데 아직도 팔리고 있다는 것이 신기하다. 동물 비유 역시 동물의 비유를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성경을 풀어낸 방법 중의 하나가 '상징'이다. 상징을 통해 성경의 무엇을 말하려는 알수 있도록 꾸몄다. 성경의 각종 나무비유 - 유인식/CLC(기독교문서선교회) 성경의 각종 동물비유 - 유인식/CLC(기독교문서선교회) 중고로 구입해 읽어보니 자료가 너무나 오래되었고, 학문적 깊어가 거의 없는 책이다. 성경의 동식물에 관련된 내용을 설교 형식으로 만든 것이다. 그다지 ..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8. 5. 19.

용과 드래곤

용과 드래곤 성경에 나타나지 않지만 용과 드래곤은 동서양 전설과 신화에 중요한 존재이다. 다곤신과 혹자는 다곤신과 연결된 것이 아닌지 조심스럽게 추측하지만 확실치가 않다. 용과 드래곤은 다르다. 용은 동양에서 일컫는 용어이고, 드래곤은 서양 호칭이다. 동양에서 용은 신처럼 숭배되지만 서양에서 드래곤은 인간의 세계를 파괴하는 악한 존재이다. 용의 한자어 :龍 드래곤 : dragon 서양의 드래곤.서양의 드래곤은 짐승과 비슷한다. 네 발이 있고 날개가 있다. 날개 끝에 갈퀴가 있어 박쥐를 닮았다. 머리에 뿔리 있고, 생긴 것은 공룡과 비슷하다. 지역과 시대마다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대체로 큰 틀은 동일하다.용과 싸우는 기사들 성 게오르기우스, 라파엘로가 그린 그림에 보면 한 여인이 기도하고 기사가 용(괴물..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2. 1.

[성경의 상징] 하늘

[성경의 상징] 하늘, 천상 1. 용어히브리어: 샤마임헬라어: 우라노스 구약에서 하늘은 복수형인 샤마임으로 기록되어 있다. 어떤 학자들은 복수형은 히브리인들의 하늘관을 말해준다고 한다. 그들에게 하늘은 한 개가 아니다. 바울은 삼층천이란 표현을 통해 3개에서 많게는 7개라고 한다. 성경의 하늘은 하나님이 계신 곳이다. 초월과 무궁, 영원, 절대타자성을 상징한다. 인간이 범접할 수 없는 공간이며, 신들이 있는 곳이다. 하나님은 하늘님, 하느님으로 곧바로 부른다. 즉 하늘은 하나님 자체로 인식하기도 한다. 하늘에 계신 하나님이 노했다는 표현보다는 '하늘이 노했다'는 표현이 자연스러운 이유가 그것이다. 하늘에 대한 숭배는 어느 나라 민족을 막론하고 없는 곳이 없다. 약간 협소한 표현이기는 하나 위대한 신은 하..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18. 1. 23.

[성경의 상징들] 가리개

[성경의 상징들] 가리개성경에서 정확하게 표현하지는 않지만 몇 곳에서여성들이 자신의 얼굴을 가린다는 표현이 나온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고린도 전서에 나오는 바울이 말한 여성이다. 희미하지만 리브가가 이삭을 만날 때도 자신을 가린다. 성경 속에서 여성은 자신의 몸을 가리고 드러내지 않은 것을 명예로 여긴다.우리나라에 전해진 여성의 얼굴 가리개들이다.너울(羅兀)순흥안씨 너울 쓰개치마 / 장옷아랍에서는 히잡을 사용한다. 보수적 사회일수록 히잡이 다르다. 얼굴과 머리를 완전히 가리는 차드리와 니캅이있고, 눈만 공개하는 부르카, 머리와 이마를 가리는 아미라, 얼굴과 이마를 공개하는 차도르가 있다. 가장 보수적인 파키스탄의 일부 지역에서는 차드리가 사용된다. 이란 이라크, 바레인등 에서는 가장 개방적인 얼굴과 이..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18. 1.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