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우상19

성경의 우상에 관한 참고 도서와 문헌들

성경의 우상에 관한 참고 도서와 문헌들 성경에 나오는 우상 연구에 관련된 참고 도서와 논문 등을 찾아 묶었습니다. 성경에는 많은 우상들이 존재합니다. 저마다 특징과 성격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구약에서는 바알과 아세라에 대한 경고가 가장 많습니다. 그러나 다곤 신의 경우는 언급만 될 뿐 주의를 주지 않습니다. 성경이 바라보는 우상에 대한 강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곳에서는 성경에 나오는 우상에 관련된 도서들과 논문 등을 소개합니다. 성경에 등장하는 우상 목록과 구분은 [성경의 의 우상 목록표]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은 계속 수정되고 증보됩니다.] 한민수 『고대 근동과 성경의 우상』, 서울:CLC 2018 패트릭 D. 밀러 『고대 근동과 이스라엘 종교(The Reli..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9. 9. 16.

[성경의 신들] 황금 송아지

[성경의 신들] 황금 송아지 성경에는 몇 번 등장하지 않지만 성경 전반에 흐르는 정신을 지배하는 신이다. 고대 근동에서 가장 널리 퍼진 신은 ‘송아지’ 우상이다. 송아지는 메소포타미아, 가나안, 이집트와 에게 해 지역에서 주요 신으로 섬겨졌다. 비록 의도한 것은 아니었지만 미국의 월스트리트에 있는 ‘돌진하는 황송(Charging Bull)’도 송아지가 아니던가. 이 송아지는 원래 아르투로 디 모디카(Arturo Di Modica)라는 이탈리아계 미국인이 1987년 주식 대폭락 이후 의기소침해진 미국인들의 힘을 북돋우려고 1989년 크리스마스 때 뉴욕 증권거래소 앞에 이 조각을 가져다 놓은 것이었다. 그러나 그 후 미국 경제가 성장을 지속하자 상징처럼 자리하게 된 것이다. [출처: 중앙일보] 인도에서 송아..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9. 7. 21.

[성경의 신들] 그리스 신화의 대지와 농업의 신들

[성경의 신들] 그리스 신화의 대지와 농업의 신들 그리스 신들은 성경의 신들과 직간접으로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신약의 시대로 들어가면 에베소의 아데미는 사도행전에 직접 언급됩니다. 사람들이 신을 섬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는 신들의 세계를 단지 미신의 영역으로 치불할 것이 아니라 사람의 삶과 정체성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습니다. 가이아(Gaea) : 대지의 여신가이아는 여신이다. 어머니, 대지의 여신, 샘물을 주관하는 여신이다. 모든 지역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 대지의 신은 여성이며, 하늘의 신은 남성이다 그러나 더욱 고대로 가면 하늘도 여신이었음이 속속 드러난다. 어느 시기에 남성 우월주의가 등장하면서 하늘에서 땅으로 다시, 창조주에서 악녀로 변화되어 갔다. 이러한 정황 수메르 신화에 내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9. 16.

[성경의 신들] 8. 탐무즈(Tammuz) 담무스, 담무지

[성경의 신들] 탐무즈(Tammuz)탐무즈는 에스겔서에 등장하는 죽은 자를 위한 기도로서 표현된다. 탐무즈의 기원은 양치기의 신 두무지드에 있다.겔 8:14 그가 또 나를 데리고 여호와의 전으로 들어가는 북문에 이르시기로 보니 거기에 여인들이 앉아 담무스를 위하여 애곡하더라대지의 여신 이슈타르(인니나)가 식물을 주관하는 형제 탐무즈를 사랑한다. 탐무즈는 천상의 나무인 에리다 나무 아래서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도록 가축을 천상과 지상의 짐승들을 햇빛으로부터 보호한다. 이슈타르는 그를 사랑하게된다. 탐무즈는 우월감에 사로잡혀 남성의 힘을 보여주고가 멧돼지 사냥을 나가지만 맷돼지의 어금니에 받혀 죽고 만다. 신이 이렇게 허망하게 죽을 수 있다는 것이 우습다. 그는 죽음의 세계를 다스리는 이슈타르의 자매 에레슈..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2. 2.

[성경의 신들] 7. 그모스(Chemosh), 몰렉, 밀곰(Milcom)

[성경의 신들] 7. 그모스(Chemosh) 그모스와 몰렉은 다른 듯 같은 신이다. 성경에서 모압 족속이 섬기는 신이며 유아인신제사를 드린다. 모압사람을 '그모스의 사람들'이라고 부른다. 다른 신들이 음란하고 음탕했다면 그모스는 잔인하고 포악하다. 그모스의 뜻은 정확하지 않으나 '파괴자'로 보인다. 그모스(히브리어 케모쉬)는 마르둑의 단어가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그모스는 여성신으로 섬긴 곳도 있고, 남성 신으로 섬긴 곳도 있다. 지역에 따라 다른 성을 가진 것으로 보아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변형된 것이 분명하다. 그모스가 이스타르와 부부로 나오는 것도 있을 것을 볼 때 마르둑의 변형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모암 족속들에게 그모스가 페니키아의 바알과 같이 숭배 되었다는 점도 합리적 의심을 가능케 한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2. 1.

[성경의 신들] 5. 다곤(Dagon)과 인어

[성경의 신들] 5. 다곤(Dagon) 오늘은 블레셋 민족이 섬겼던 다곤신에 대해 알아보자. 성경 속에서 다곤은 큰 의미를 갖지는 않지만 자주 등장하는 신이다. 블레셋 민족이 에게해의 해양 민족이라는 설이 정석으로 받아드려지는 만큼 다곤신은 농사와 바다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곤신처럼 다이나믹하고 흥미진진한 신도 없는 듯하다. 수메르에서 그리스, 그리고 최근 동화에까지 다양한 얼굴로 우리 가까이 있다. 다곤신이 성경에 기록된 곳은 몇 곳이 되지 않는다. 한 곳은 블레셋 사람들이 여호와의 궤를 다곤신전 안에 둘때와 사울의 갑옷을 가져가 다곤 신전에 둔다. 내용도 비슷하고 시기도 비슷하다. 전쟁 후 전리품을 자신들의 신전에 두는 것은 상대편 신을 굴복시키는 것이며 포로로 삼았다는 상징적 행위다. 일단 ..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1. 30.

[성경의 신들] 2. 바알(Baal)

[성경의 신들] 2. 바알(Baal) 성경에 나타난 우상들을 간략하게 소개합니다. 오늘은 구약 성경에서 가장 중요한 우상인 바알을 소개합니다. 바알 히브리어 (바알-בעל)이다. 영어로는 Baal로 표기한다. 이름의 뜻은 주인이다. 남성이며, 가나안 족속의 주신이며 본신이다. 이 신은 페니키아 지방에서 유래했으며, 북이스라엘 강하게 섬기던 신이다. 농사의 신이며 천둥을 잡고 있으며, 비를 내린다. 죽음과 부활을 상징한다. 여신인 아세라와 함께 숭배된다. 아세라는 종종 아스다롯으로 바뀐다. 학자들은 아세라와 아스다롯이 다른 신이지만 뿌리가 같고, 종종 같은 신으로 묘사된다고 말한다. 바알은 제단을 가지고 있으며, 아세라는 나무로 만들어진 목신이다. 아세라는 큰 나무를 깍아 만든 것이다. 산신이다. 산에 있..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1. 14.

성경 속의 신들

성경 속의 신들(gods in The Bible) *성경과 직접적으로 관련있는 우상-신들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내용은 계속 수정 증보됩니다. 고대근동 대략적 언어 구분 고대 근동은 크게 네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수메르, 아카드, 바빌론, 메소포타미아 지역인 아카드로 대표되는 동부셈어 사용지역이다. 북쪽의 소아시아 지역인 아나톨리아 지역, 지중해 동부 지역인 페이키나와 가나안 지역이며, 이곳은 북서셈어를 사용한다. 북동 아프리카 지지역인 남부셈어 지역으로 구분가능하다. [신들의 구분] 대체로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음력을 따르고 달신을 섬긴다. 이에반해 애굽과 지중해 지역은 태양신을 섬긴다. 신들을 구분할 때 나라와 지역의 신이 있다. 또한 지형에 따른 바다, 산, 달, 나무 등의 신들이 있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1. 14.

우상이란?

우상이란 무엇인가? 나의 생각의 기준, 판단의 근거, 행동하는 목적이다. 즉 삶의 이유와 힘의 원천을 결정하는 것이 우상이다. 돈 때문에 산다면 돈이 우상이다. 아들 때문에 산다면 아들이 우상이다. 친구를 위해 모든 것을 버릴 수 있다면 친구가 우상이다. 우상은 나를 종속시키며 자유를 가장한 종속을 조장한다. 우상은 속임수다. 가장 무섭고 비밀스러운 우상은 바로 '나'다. 그래서 주님은 자기-나를 부인하고 나(주님)을 따르라고 명령하신다. 자유는 주님을 따를 때 가능하다. [눅] 9:23 또 무리에게 이르시되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좇을 것이니라 BIble Note 2011. 9. 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