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장별설교122 레위기 15장 유출병 레위기 15장 유출병 레위기 15장 구조 (고든 웬함 『NICOT 레위기』 부흥과 개혁사, 214) 1절 서론 2-18절 남성의 유출 2-12절 장기간 유출 13-15절 제사로 정결하게 됨 16-17절 일시적 유출 18절 일시적 유출과 성관계 19-30절 여성의 유출 19-23절 일시적 유출(월경) 24절 일시적 유출과 성관계 25-27절 장기간 유출 28-30절 제사로 정결하게 됨 31절 율법의 목적 32-33절 요약 레위기 15장 강해 레위기 15장은 유출병에 관한 것입니다. 2-18절까지는 남성의 유출을 다루고, 19-30절까지는 여성의 유출을 다룹니다. 유출병은 이전의 짐승들의 부정과 피부병보다 좀더 강한 부정을 시사합니다. 그들이 입었던 옷과 누웠던 침대까지도 부정하게 봅니다. 그러나 아이러니한.. 모세오경강해 2020. 12. 15. 더보기 ›› 레위기 13장 피부병 레위기 13장 피부병 레위기 13장은 피부병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첫 번째 검사는 일반 피부병입니다. 환자는 먼저 진찰을 받고 한 주 동안 격리 후 다시 받습니다. 그래서 그것이 더 진행되지 않으면 정하도 인정을 받게 됩니다. 두 번째는 나병에 인데 현재의 나병은 아닙니다. 이것은 번역상 편의대로 한 것입니다. 생살이 있으면 부정하다고 하는데(14절) 이것은 부어오른 염증을 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세 번째는 종기에 관한 것입니다. 역시 일주일 동안 격리되어 관찰합니다. 격리 45-46절 격리 [레]13:45 나병 환자는 옷을 찢고 머리를 풀며 윗입술을 가리고 외치기를 부정하다 부정하다 할 것이요 [레]13:46 병 있는 날 동안은 늘 부정할 것이라 그가 부정한즉 혼자 살되 진영 밖에서 살지니라 이스라엘.. 모세오경강해 2020. 12. 11. 더보기 ›› 레위기 9장 아론의 첫제사 레위기 9장 아론의 첫제사 [본문읽기] 아론이 첫 제사를 드리다 9:1 여덟째 날에 모세가 아론과 그의 아들들과 이스라엘 장로들을 불러다가 9:2 아론에게 이르되 속죄제를 위하여 흠 없는 송아지를 가져오고 번제를 위하여 흠 없는 숫양을 여호와 앞에 가져다 드리고 9:3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기를 너희는 속죄제를 위하여 숫염소를 가져오고 또 번제를 위하여 일 년 되고 흠 없는 송아지와 어린 양을 가져오고 9:4 또 화목제를 위하여 여호와 앞에 드릴 수소와 숫양을 가져오고 또 기름 섞은 소제물을 가져오라 하라 오늘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나타나실 것임이니라 하매 9:5 그들이 모세가 명령한 모든 것을 회막 앞으로 가져오고 온 회중이 나아와 여호와 앞에 선지라 9:6 모세가 이르되 이는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모세오경강해 2020. 12. 7. 더보기 ›› 레위기 4장 속죄제 레위기 4장 속죄제 레위기 4장은 속죄제입니다. 5대 제사 중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죄와 관련이 있는 죄사입니다. 속죄제의 히브리어 '하타트'는 '과녁에서 벗어나다' '죄를 짓다' '속죄하다' '씼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속죄라는 단어보다는 '씻다'라는 주제에 더 집중하여 '정결제'로 불러야 한다는 의견이 많어 지고 있습니다. 호칭이야 어떻든 중요한 것은 속죄제의 본질을 자신이 지은 죄를 제물에게 전가시킴으로 자신의 죄는 사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떨 때 드리는가? 1) 고의적인 죄를 사함 받기 위해 2) 부지중에 지은 죄까지 포함하여 3) 성별의식, 위임과 임직, 또는 제단을 거룩하게 할 때 드립니다. 4) 중요한 날과 절기에 드리기도 하빈다. 어떤 사람이 드리는가? 4장에서 .. 모세오경강해 2020. 12. 2. 더보기 ›› 레위기 3장 화목제 레위기 3장 화목제 레위기 3장은 화목제에 관한 내용입니다. 화목제는 레위기 3장과 7:11-36에서 두 번 언급됩니다 화목제의 히브리어는 '제바흐 쉐라밈'이란 단어인데 '동물을 살육하다' '죽이다' '제사 드리다'라는 뜻을 가진 '자바흐'라는 단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뜻은 '완전한' '공평한' '정의로운'이란 뜻입니다. 쉐라밈이란 단어는 우리가 잘 아는 샬롬이란 단에서 왔을 것으로 학자들을 추측하고 있습니다. 실제롤 샬롬과 쉴람은 단어가 똑 같고 단지 모음이 달라 다르게 읽을 뿐입니다. 화목제의 제목을 소, 양, 염소의 제물을 드립니다. 불로 드리는 화제이며, 전부를 드리는 번제는 아닙니다. 일부만 드리고 나머지는 제사자가 제사장과 나눠 먹는 교제의 식탁을 갖습니다. 7장에서 언급되지만 화목제는 고백.. 모세오경강해 2020. 11. 30. 더보기 ›› 출애굽기 40장 성막이 완성되다. 출애굽기 40장 성막이 완성되다. 드디어 성막이 완성되었습니다. 출애굽기의 마지막 장면이자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장이다. 1. 모든 기구를 거룩하게 하다. 가정 먼저 한 일은 성막의 모든 기구들을 제 자리에 두고 관유를 발라 거룩하게 하는 것입니다. 9절에 보니 관유는 성막의 모든 것에 바릅니다. 법궤, 향단, 떡상, 등대에 바릅니다. 10절에서는 뜰에 있는 번제단과 물두멍(11절)에도 바릅니다. 아론에게는 기름을 부어 거룩하게 합니다.(13절) 아론의 아들들인 제사장들에게 역시 관유를 붓습니다.(15절) 관유는 성령을 상징합니다. 하나님의 사역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준비되어야 할 것이 바로 성령의 임재입니다. 우리는 종종 일을 우선시 하지만 순서가 바꿨습니다. 목회는 성도의 영혼을 챙기고,.. 모세오경강해 2020. 11. 26. 더보기 ›› 출애굽기 32장 금송아지 사건 출애굽기 32장 금송아지 사건 출애굽기 32장은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율법을 주신 가운데 일어난 이스라엘의 반역사건입니다.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이상한 행동을 하는 이스라엘을 통해 우리의 모습을 발견합니다. 1-14절 황금송아지 사건과 모세의 중보기도 15-29절 깨어진 언약과 레위지파의 헌신 30-35절 모세의 중보기도 우리는 출애굽기 32장에서 극도로 분노하고 계시는 하나님을 발견합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향하여 그들을 진멸하겠다고 선언하십니다.(10절) 그러나 모세는 그렇게 하지 말라고 기도합니다. 우리는 이곳에서 두 가지 교훈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나는 하나님의 진노와 모세의 기도이고, 다른 하나는 레위지파의 헌신입니다. 1. 하나님의 진노 하나님은 왜 이렇게까지 진노하실까요? 우리는 이.. 모세오경강해 2020. 11. 17. 더보기 ›› 출애굽기 31장 브살렐과 오홀리압 출애굽기 31장 브살렐과 오홀리압 출애굽기 31장은 마지막 조언입니다. 지금까지 모든 말씀은 하나님께서 모세를 시내산 꼭대기에서 하신 말씀입니다. 32장으로 넘어가면 시내산 아래에서 금송아지를 섬기는 일이 일어납니다. 금송아지 사건은 내일 살펴보고, 오늘은 31장의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1-11절 회막 기구를 만드는 브살렐과 오홀리압 12-17절 안식일에 대한 규정 18절 증거판 1. 1-11절 회막 기구를 만드는 브살렐과 오홀리압 1-11절에서는 회막 기구를 만드는 두 사람을 소개합니다. 한 명은 유다지파 훌의 손자요 우리의 아들인 브살렐이고, 다른 한 명은 단지파 아히사막의 아들 오홀리압입니다. 하나님은 이 두사람을 지명하여 부르고 그들로 하여금 성막의 기구들을 만들도록 명령합니다. 그런데 이들에게.. 모세오경강해 2020. 11. 16. 더보기 ›› 출애굽기 27장 제단과 성막의 뜰 출애굽기 27장 제단과 성막의 뜰 27장은 제단과 성막 뜰에 대한 내용입니다. 성막 바깥으로는 뜰이 있고, 그 뜰을 주위로 칸막이가 둘러 쳐 있습니다. 칸막이 안을 성막의 뜰이라고 부릅니다. 그 안에는 가장 앞에 번제단이 있고, 그 다음 물두멍이 있습니다.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려면 제물을 잡고 번제단에 태워 드립니다. 번제단은 우리의 모든 것을 드리는 공간입니다. 번제단 제단의 특징 성막처럼 정사각형이고, 네 곳에 뿔이 있습니다. 정사각형은 동서남북, 즉 온 세상을 뜻하며, 뿔은 힘과 능력을 상징합니다. 특이한 것은 제단은 금이 아닌 놋으로 덧씌워진다는 것입니다. 놋은 강력한 힘과 능력을 뜻합니다. 계시록1장에서 교회를 사이를 거니시는 주님의 발이 놋입니다. [계]1:15 그의 발은 풀무불에 단련한 빛난.. 모세오경강해 2020. 11. 11. 더보기 ›› 출애굽기 19장 시내산에 도착하다. 출애굽기 19장 시내산에 도착하다. 드디어 시내산에 도착했습니다. 1절 말씀에 보니 3개월이 되던 날입니다. 20장은 십계명이 주어집니다. 출애굽기 19장을 통해 하나님의 음성 듣기를 원합니다. 1. 이스라엘의 정체성 첫번째는 이스라엘이 누구인가에 대한 것입니다. 4-6절에서 설명합니다. [출]19:4 내가 애굽 사람에게 어떻게 행하였음과 내가 어떻게 독수리 날개로 너희를 업어 내게로 인도하였음을 너희가 보았느니라 [출]19:5 세계가 다 내게 속하였나니 너희가 내 말을 잘 듣고 내 언약을 지키면 너희는 모든 민족 중에서 내 소유가 되겠고 [출]19:6 너희가 내게 대하여 제사장 나라가 되며 거룩한 백성이 되리라 너는 이 말을 이스라엘 자손에게 전할지니라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소유이다. 즉 하나님께 속한 .. 모세오경강해 2020. 11. 10. 더보기 ›› 728x90 이전 1 2 3 4 5 6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