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교회사113

기독론(Christology) 주제별 교리 목록

📘 기독론(Christology) 주제별 교리 목록1. 그리스도의 선재성 (Pre-existence of Christ)예수 그리스도는 태초 이전부터 성부와 함께 계셨으며, 창조 이전부터 존재하신 삼위일체의 제2위격입니다.요 1:1–3, 요 17:5 등에서 “태초에 계셨다”고 증언합니다.2. 성육신 (Incarnation)하나님의 아들이 인간의 본성을 취하여 사람으로 오심.‘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요 1:14).신성과 인성을 혼합 없이, 변형 없이, 분리 없이, 구별 없이 하나로 결합하신 사건 (칼케돈 신조, 451년).3. 그리스도의 인격 (The Person of Christ)예수님은 **완전한 하나님(vera Deus)**이시며 동시에 **완전한 인간(vera Homo)**이십니.. 교회사/신학과교리 2025. 6. 7.

계시론(Revelation)의 주제별 교리 목록

📘 계시론(Revelation)의 주제별 교리 목록1. 정경론 (Canon of Scripture)정경(Canon)은 성경으로서 인정받은 책들의 목록을 의미하며, 하나님의 계시로 간주되는 경전의 경계선을 말합니다.구약은 유대 공동체와 예수님이 사용한 히브리 성경(39권), 신약은 사도성과 정통성, 교회적 수용을 바탕으로 27권으로 확정되었습니다.정경의 기준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① 사도성 (apostolicity)② 정통성 (orthodoxy)③ 보편성 (catholicity)④ 영적 권위성경 정경은 계시의 객관성과 종결성을 보장합니다 (계 22:18–19).2. 계시의 개념 (Revelation)계시는 하나님께서 피조물에게 자기를 나타내시는 모든 행위를 포함합니다.인간은 하나님을 스스로 알 수 없으므.. 교회사/신학과교리 2025. 6. 7.

[조직신학 기초] 신론 (Theology Proper)의 교리 주제 목록

📘 하나님론 (Theology Proper)의 교리 주제 목록1. 하나님의 존재 (The Existence of God)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철학적, 신학적 논증우주론적 증명 (Cosmological Argument)목적론적 증명 (Teleological Argument)존재론적 증명 (Ontological Argument)도덕론적 증명 (Moral Argument)무신론(Atheism), 불가지론(Agnosticism), 범신론(Pantheism)과의 차이2. 하나님의 계시 (Revelation of God)일반계시 (General Revelation): 자연, 역사, 양심을 통해 드러나는 하나님특별계시 (Special Revelation): 성경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계시계시의 점진성: 구약 → .. 교회사/신학과교리 2025. 6. 7.

주제별 성경 교리 목록

성경의 교리(Doctrine) 주제별 성경 교리 목록 1. 하나님론 (신론, Theology Proper)하나님의 존재, 속성, 삼위일체, 사역 등을 다룸관련 구절: 창 1:1 / 출 3:14 / 신 6:4 / 사 6:3 / 마 28:19 / 고후 13:132. 성경론 (Bibliology)성경의 영감, 무오성, 권위, 유익성 등관련 구절: 딤후 3:16–17 / 벧후 1:20–21 / 시 119편3. 기독론 (Christology)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성육신, 속죄, 부활, 재림 등관련 구절: 요 1:1,14 / 빌 2:6–11 / 히 1:3 / 롬 5:8 / 고전 15:3–44. 성령론 (Pneumatology)성령의 인격성, 사역, 은사, 성화, 충만 등관련 구절: 요 14:26 / 행 .. 교회사/신학과교리 2025. 6. 7.

[신학용어] 아그라파(Agrapha)

[신학용어] 아그라파(Agrapha) 아그라파는 로마의 군인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가 아니다. 아그라파는 성경에 기록되지 않은 예수의 말씀을 기록한 것이다. 주로 외경에 전해지는 예수의 말씀들이다. 그러나 그것들이 참인지는 알 수 없다. 외경에 기록된 아그라파는 영지주의자들과 같이 이단들이 자신들의 논리를 주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 것들이다. 등에 기록되어 있다.성경화 작업이 이루어지면서 교회 안에서 허용되지만 경전으로 인정되지 않은 많은 자료들을 아그라파로 분류한다. 신약외전이라 말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흔치 않은 용어다.  아그라파(Agrapha)란?아그라파(Agrapha)는 헬라어로 "기록되지 않은 것들"을 의미하며, 신약 성경에 기록되지 않았지만 예수님의 말씀이나 행적으로 전해지는 내용을.. 교회사 2025. 2. 12.

교회와 성당의 차이

교회와 성당의 차이교회와 성당은 모두 기독교 신앙 공동체의 예배와 모임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이 두 단어는 기원과 사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엄밀하게 교회와 성당은 같은 의미이지만 한국에서는 다른 종교에서 사용함으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개신교에서는 '교회당'을 줄여 그냥 '교회'라고 부르고, 가톨릭(천주교)에서는 교회라는 표현보다는 '성당'이라고 표현한 거룩성을 강조합니다. 이제 상황 속에서 의미가 달라진 두 단어를 좀더 포괄적으로 살펴 봅시다.  1. 교회란 무엇인가?1.1 교회의 원래 의미교회(敎會)라는 단어는 성경의 그리스어 ‘에클레시아(ἐκκλησία)’에서 유래했습니다.'에클레시아'는 원래 ‘불러 모은 공동체’라는 뜻으로, 특정한 건물이 아니..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25. 2. 11.

서방교회와 동방교회 차이점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란 무엇인가?서방교회(Western Church)와 동방교회(Eastern Church)는 기독교가 역사적으로 발전한 지역적, 문화적, 신학적 차이에 따라 구분된 두 주요 전통을 의미합니다. 이 둘은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서로 다른 문화권과 언어적 배경에서 발전했으며, 오늘날까지 신학, 전례(예배 방식), 교회 운영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모두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고, 삼위일체(Trinity) 신앙을 고백하는 기독교에 속합니다.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이렇습니다.서방교회는 현재의 천주교, 즉 로마가톨릭을 말하며, 동방교회는 정교회는 동방정교회, 또는 러시아 정교회를 말합니다. 다 같은 말입니다. 사도행전에서 시작된 초대교회가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가면서 로마..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25. 2. 11.

천주교와 가톨릭 교회 차이가 있나요?

천주교와 가톨릭 교회는 같은 것일까요?천주교와 가톨릭 교회는 본질적으로 같은 종교를 말합니다. 다만 용어의 배경과 사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천주교는 한자이고, 가톨릭은 라틴어에서 왔습니다. 이 둘이 어떻게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용어의 기원천주교(天主敎)‘천주교’라는 용어는 중국에서 선교하던 예수회(가톨릭 선교단체) 선교사들이 만들어낸 한자어입니다. 여기서 ‘천주(天主)’는 ‘하늘의 주인’, 즉 하나님을 의미합니다. 이 단어는 당시 중국 문화권에서 유교적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에게 하나님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한국에도 이 표현이 전해져 가톨릭 신앙을 ‘천주교’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가톨릭(Catholic)가톨릭은 그리스어 '카톨리코스(Katholikos).. 교회사 2025. 2. 11.

크리스트교와 기독교 같은점, 차이점

크리스트교와 기독교오늘은 우리가 헷갈려 하는 '크리스트교'와 '기독교'의 용어 차이를 아아 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는 동일한 말입니다. 하지만 처음 정착하는 단계에서 통로가 달았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오늘은 교회에서 목사님이 강의하듯  성도들에게 두 용어의 차이를 설교하는 형식으로 문서를 작성해 봤습니다. 교인 여러분, 혹시 ‘크리스트교’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혹은 ‘기독교’와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오늘은 이 두 용어에 대해 함께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크리스트교와 기독교는 본질적으로 같은 종교를 의미합니다. 예수 그리스도(Jesus Christ)를 믿고 따르는 신앙 공동체를 가리키며, 언어적 차이에서 비롯된 표현.. 교회사 2025. 2. 11.

국내의 장로교 교단의 순위(출석인원)

대한민국 장로교 교단 순위대한민국에는 다양한 장로교 교단이 존재하며, 그 수는 2018년 기준으로 최소 286개에 달합니다. 이러한 교단들은 신학적 입장과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장로교 교단의 수가 많은 이유는 신학적 견해 차이, 교회 운영 방식의 이견, 역사적 사건 등으로 인한 분열과 재통합의 과정을 거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분열의 역사는 한국 장로교회의 복잡한 교단 지형을 형성하였습니다. 각 교단은 독특한 신학적 입장과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교인 수와 교회 수는 교단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과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장로교 교단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교단들은 한국 장로교회의 풍부한 신학적 전통과 역동.. 교회사/인물.교회사.신학 2025. 2.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