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45

[신화의 세계] 거미의 신(Spider Goddess, Uttu)

[신화의 세계] 거미의 신(Spider Goddess, Uttu) 태양의 신 우투(Utu)와는 다른 신이다.수메르 신화에서 직조의 여신으로 등장한다.  거미의 상징 거미는 가만히 먹이를 기다리다 잡아채서 먹는 간교하고 게으른 곤충?으로 비유된다. 하지만 긍정적인 관점으로 해석하면 뜻밖의 의미들을 찾아낼 수 있다. 먼저는 창조적 능력이다. 거미는 자신의 몸에서 거미줄을 뿜어내어 줄을 만든다. 즉 창조적 능력을 가진 존재이다. 두 번째는 침착성과 인내심이다. 거미줄을 짜기 위해 거미는 하루 종일 끊임없이 움직인다. 그 일은 단순하면서도 복잡하다. 이러한 거미의 창조적이고 부지런함은 여성성과 잘 어울린다. 아이를 출생하고 부지런하게 무엇인가를 인내심을 가지고 성취해 나가는 것은 여성이다. 우투는 수메르어로 '..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3. 5. 29.

[성경과 신화] 인어는 여성이 아닌 남성이었다.

[성경과 신화] 인어는 여성이 아닌 남성이었다. 안데르센 때문에 인어는 공주이다. 그러니 당연히 여성으로 생각한다. 인어공주니까. 남자라면 인어왕자일 것이다. 그런데 언제부터 인어공주를 생각하면 못 이룬 사랑이나 전설, 신화, 미모의 여성 등을 생각하는 것일까? 인어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심어준 건 첫 번째가 안데르센이고 두 번째는 디즈니 영화이다. 디즈니 영화에 등장하는 인어공주는 어리고 예쁘고 긴 생머리다. 날씬하기까지 하다. 무엇하나 부족한 것이 없어 보인다. 그러한 인어공주의 인상들은 어디서부터 생겨난 것일까? 고대 사람들은 인어를 믿었을까? 아니면 안데르센에 의해 갑자기 창작된 것일까? 인어이기 전에 먼저 사람과 물고기의 반인반어의 개념으로 생각해 보자. 반은 사람이고 반은 짐승이거나 다른 동물..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4. 8.

[성경의 신들] 달의 신 난나(Nana), 수엔(Suen), 신(Sin)

[성경의 신들] 달의 신 난나(Nana), 수엔(Suen), 신(Sin) 성경 속에서 달은 중요한 상징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달의 신을 숭배했다는 이야기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달의 신은 아브라함이 갈대아 우르에서 나와 머물렀던 하란의 신이며, 바벨론의 중요한 신 중의 하나이다. 메소포타미아 문명 속에서 달의 신의 개념과 위치를 정리해보자. 달신의 수메르어는 ‘난나(Nana)’이다. 남성 신이며 아누에 이어 최고신이 된 닙푸르의 주신 엔릴의 아들이다. 우리는 대개 달신을 여성신으로 알고 있지만 이것은 후대에 신이 바뀌면서 일어난 것이며 원래는 태양은 여성신이고, 달신은 남성신이다. 수메르의 『엔릴과 닌릴』 신화의 기록에 의하면 닌릴이 닙푸르 근처 강에서 목욕을 하고 있었다. 엔릴이 목욕하는 닌릴을 ..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4. 8.

[성경과 신화] 계절의 여신 호라이(그리스 신화)

[성경과 신화] 계절의 여신 호라이(그리스 신화) 호라이(Ὧραι)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시간의 여신이다. 계절이 규칙적으로 움직이도록 통제한다. 호라이는 제우스와 테미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계절의 질서뿐 아니라 식물이나 꽃의 생장을 주장한다. 인간사회의 질서를 맡기도 한다. 천계와 지상을 연결하는 구름의 문을 지키는 역할도 맡는다. 단수가 아닌 복수형으로 사용될 때 '그녀'는 '그녀들'이 된다. 그녀들은 아름답고 우아하여 헤라와 아프로디테의 시녀로 등장하기도 한다. 호라이에 대한 소개는 적지 않은 곳에서 다르게 등장하여 혼란을 야기시킨다. 아마도 이러한 다양성은 호라이가 특정한 신이 아닌 범신론적 성향이 짙고, 자연을 인격화 시킨 것으로 보인다. 아래는 그리스 문헌에 등장하는 호라이를 정리한 것이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3. 28.

[성경의신들] 염소의 신 판(Pan)과 사티로스(Satyr Σάτυρος)

[성경의신들] 염소의 신 판(Pan)과 사티로스(Satyr Σάτυρος) 성경 안에서 짐승이나 가축은 종종 우상숭배와 긴밀이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여로보암이 벧엘과 단에 세운 송아지가 대표적이다. 이집트의 경우는 개구리나 고양이등도 신으로 섬겼다. 오늘 소개할 우상은 염소이다. 구약 성경에서 염소가 등장하나 싶지만 실제로 레위기에 한 번 등장한다. 레위기 17:7 그들은 전에 음란하게 섬기던 숫염소에게 다시 제사하지 말 것이니라 이는 그들이 대대로 지킬 영원한 규례니라 성경에 등장하는 염소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염소 신 판(Pan)과 동일한 신은 아니지만 동일한 맥락을 가진 신으로 보인다. 우상 판은 라멕의 검은 노래와 닮은 점이 많다.[성경인물 라멕은 이글을 참고 바람] 염소는 히브리어로 사..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3. 27.

[성경과 신화] 태양신과 날개

[성경과 신화] 태양신과 날개 기이한 일이기는 하지만 상징의 세계로 들어가면 현대인들이 이해하기 힘든 조합들이 엮어져 있는 것을 발견한다. 그 중의 하나가 태양신과 날개와의 연관성이다. 고대 수메르와 앗수르, 바벨론 등의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은 대부분 날개를 가지고 있다. 심지어 다곤신이나 마르둑 등에서도 날개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필자가 이전에 에서 다루었던 많은 부분도 태양신과 연관이 있다. 그런데 왜 태양신은 날개로 표현되는 것일까? 날개는 태양신 뿐 아니라 자유와 신성 등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태양신을 날개로 표현하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그럼에도 태양신과 날개와의 관계는 좀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집트의 신 이시스와 수메르의 쉐두(Shedu)는 날개를 가지고 있다. 이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3. 17.

애굽의 오벨리스크(Obelisk)는 어디로 갔는가?

애굽의 오벨리스크(Obelisk)는 어디로 갔는가?ὀβελίσκος 오벨리스크는 4각 돌기둥이다.꼭대기는 피라미드처럼 모가 나있다. 오벨리스크는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지만 애굽에서만이 거대한 돌을 깎아 만들었다. 오벨리스크는 전쟁이나 왕의 위업을 과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보이지만 정확하지 않다. 일부의 학자들은 애굽의 태양신인 라와 호루스와 깊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하지만 명확한 근거는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 태양신을 상징하는 이집트의 오벨리스크는 이집트 멸망 이후 많은 곳으로 옮겨 간다. 수백톤에 이르는 거대한 오벨리스크를 어떻게 옮겨 갔는지 이해할 수 없지만 세계 곳곳으로 흩어져 나갔다. 이집트 9개이탈리아 11개프랑스 1개터키 1개영국 4개미국 1대현재까지 남아있는 이집트 오벨리스크는..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3. 15.

[성경의신들] 돌기둥, 주상(柱狀), 오벨리스크

[성경의 신들] 돌기둥, 주상(柱狀), 오벨리스크 전혀 우상과 상관없어 보이지만 실제로 하나님께서 바알과 같은 우상으로 여기는 우상이 있습니다. 바로 돌기둥, 오벨리스크입니다. 일단 성경에 기록된 주상에 대한 구절들을 몇 개 찾아봅시다. 다른 구절들은 문서 하단에 있습니다. 출애굽기 23:24 너는 그들의 신을 경배하지 말며 섬기지 말며 그들의 행위를 본받지 말고 그것들을 다 깨뜨리며 그들의 주상을 부수고신명기 16:22 자기를 위하여 주상을 세우지 말라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미워하시느니라열왕기하 18:4 그가 여러 산당들을 제거하며 주상을 깨뜨리며 아세라 목상을 찍으며 모세가 만들었던 놋뱀을 이스라엘 자손이 이때까지 향하여 분향하므로 그것을 부수고 느후스단이라 일컬었더라열왕기하 3:2 그가 여호와 보시..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3. 15.

수메르의 신 목록

수메르의 신 목록 수메르는 인류 최초의 문명으로 알려져 있다. 현대 고고학의 발전으로 인해 신화로만 알려진 많은 사건과 이야기들이 실제였음이 하나씩 증명되고 있습니 고대문명과 신화를 연구하다보면 결국에는 수메르 문명으로 갈 수 밖에 없다. 그리스-로마 신화도 앗수르와 아카디아, 그 이전 수메르 문명으로 가야한다. 수메르 신화를 연구하다보면 성경 속 문화와 배경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수메르 신들의 계보 1) 2) 3)은 세대를 뜻한다. 1)은 1세대이다. +는 부부 사이를 말한다. = 은 자녀를 말한다.두투르 + 엔키 = 게쉬틴안나두루트와 엔키는 부부 사이고, 그들의 자녀는 게쉬틴안나란 뜻이다. 닌(Nin), 인(in)은 여성신을 뜻하는 접두어이다. 아눈 아키는 신들의 최고 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5..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3. 14.

[성경의 신들] 누스카(Nuska) 누스쿠(Nusku)

[성경의 신들] 누스카(Nuska)Nuska는 앗수르와 바벨론에서는 하늘을 상징한다. 또한 지상의 불을 상징한다. 불은 고대 세계에서 문명을 가져오고 새로운 기술을 진보하는 도구이다. 불의 신이라한 의미는 문명의 신이란 뜻이다. 보호의 신이기도 하다. 그에게 제물을 드리는 자들을 보호한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3. 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