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45

[성경의 신들] 그리스 신화의 대지와 농업의 신들

[성경의 신들] 그리스 신화의 대지와 농업의 신들 그리스 신들은 성경의 신들과 직간접으로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신약의 시대로 들어가면 에베소의 아데미는 사도행전에 직접 언급됩니다. 사람들이 신을 섬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는 신들의 세계를 단지 미신의 영역으로 치불할 것이 아니라 사람의 삶과 정체성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습니다. 가이아(Gaea) : 대지의 여신가이아는 여신이다. 어머니, 대지의 여신, 샘물을 주관하는 여신이다. 모든 지역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 대지의 신은 여성이며, 하늘의 신은 남성이다 그러나 더욱 고대로 가면 하늘도 여신이었음이 속속 드러난다. 어느 시기에 남성 우월주의가 등장하면서 하늘에서 땅으로 다시, 창조주에서 악녀로 변화되어 갔다. 이러한 정황 수메르 신화에 내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9. 16.

인면조

인면조人面鳥, human-headed bird 인면조는 사람의 얼굴을 한 새이다. 동양과 서양에 등장하는데 우리나라 신화에도 등장한다. 용처럼 서양에서는 두려움과 배척의 대상이지만 동양에서는 복을 불러오는 존재이다. 하피, 세이렌도 안면조이다. 고구려 벽화에 자주 등장하는 삼족오(三足烏) 세발을 까진 까마귀다. 삼족오는 고구려뿐 아니라 동아시아 지역에서 태양 속에 사는 전설의 새다. 덕흥리 무녕왕릉 고분에 나오는 인면조 ‘만세’ 불교에서는칼라빈카(कलविङ्क) 또는 가릉빈가가 인면조이다. 극락정토에 사는 불로불사의 새다. 가릉빈가는 우리나라에는 잘 나타나지 않지만 중국과 일본 불교 안에서는 중요한 존재다. 특히 일본 불교에서는 고대세계에서부터 깊이 뿌리 내린 새이다. 동물의 물과 사람의 얼굴을 한 조상..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2. 11.

수메르 신화와 노아의 홍수

수메르 신화와 노아의 홍수성경에 기록된 대홍수 사건은 성경 밖에도 수없이 기록되어 있다. 중국의 신화, 인디언의 전설, 그리고 우리나라 고대 신화에도 기록되어 있다. 성경 외 홍수에 관련된 자료들을 모았보았습니다.홍수는 창세기 신학에 의하면 반창조이다. 하나님은 물 속에서 땅(에레츠)를 불러 내신다. 마른 땅에 에덴 동산을 세우시고 사람들이 살 수 있도록 하셨다. 창조는 물(모호함)에서 땅(정교함)으로 나아가고, 부재에서 충만으로 향한다. 이러한 창조의 순서는 구속사적이다. 셋째날의 물에서 땅을 불러낸 사건은 출애굽 때 홍해의 물 속에 감추어진 땅(마른땅이다)을 불러 내심으로 이스라엘의 구속을 이루신다. 요단강 도하 사건도 동일하다. 여호수아 2:10 이는 너희가 애굽에서 나올 때에 여호와께서 너희 앞에..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2. 2.

[성경의 신들] 8. 탐무즈(Tammuz) 담무스, 담무지

[성경의 신들] 탐무즈(Tammuz)탐무즈는 에스겔서에 등장하는 죽은 자를 위한 기도로서 표현된다. 탐무즈의 기원은 양치기의 신 두무지드에 있다.겔 8:14 그가 또 나를 데리고 여호와의 전으로 들어가는 북문에 이르시기로 보니 거기에 여인들이 앉아 담무스를 위하여 애곡하더라대지의 여신 이슈타르(인니나)가 식물을 주관하는 형제 탐무즈를 사랑한다. 탐무즈는 천상의 나무인 에리다 나무 아래서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도록 가축을 천상과 지상의 짐승들을 햇빛으로부터 보호한다. 이슈타르는 그를 사랑하게된다. 탐무즈는 우월감에 사로잡혀 남성의 힘을 보여주고가 멧돼지 사냥을 나가지만 맷돼지의 어금니에 받혀 죽고 만다. 신이 이렇게 허망하게 죽을 수 있다는 것이 우습다. 그는 죽음의 세계를 다스리는 이슈타르의 자매 에레슈..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2. 2.

[성경의 신들] 7. 그모스(Chemosh), 몰렉, 밀곰(Milcom)

[성경의 신들] 7. 그모스(Chemosh) 그모스와 몰렉은 다른 듯 같은 신이다. 성경에서 모압 족속이 섬기는 신이며 유아인신제사를 드린다. 모압사람을 '그모스의 사람들'이라고 부른다. 다른 신들이 음란하고 음탕했다면 그모스는 잔인하고 포악하다. 그모스의 뜻은 정확하지 않으나 '파괴자'로 보인다. 그모스(히브리어 케모쉬)는 마르둑의 단어가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그모스는 여성신으로 섬긴 곳도 있고, 남성 신으로 섬긴 곳도 있다. 지역에 따라 다른 성을 가진 것으로 보아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변형된 것이 분명하다. 그모스가 이스타르와 부부로 나오는 것도 있을 것을 볼 때 마르둑의 변형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모암 족속들에게 그모스가 페니키아의 바알과 같이 숭배 되었다는 점도 합리적 의심을 가능케 한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2. 1.

간략한 수메르의 역사와 수메르 신들

간략한 수메르의 역사 구약 성경을 깊이 알고자 한다면 수메르 문명을 빠뜨릴 수 없습니다. 바알신화 등 고대 수메르 지역에서 시작되어 변형된 우상과 신화는 고대근동 지역을 지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수메르의 역사는 바벨론(구)이 들어서기 전까지의 역사를 말합니다. 수메르의 역사는 도시 국가형태로 발전합니다. 기원전 29세기 초기 왕조를 시작으로 역사적 기록들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26세기 경인 라가시기부터 고고학 자료들 많이 발견됩니다. 아마 26세기 전후가 수메르 역사에 가장 왕성한 시기로 보입니다. 24세기 아카드 제국이 쳐들어와 고대 수메르는 막을 내립니다. 그러나 구티인이 아카드를 몰아내고 잠시 수메르 인들이 장악합니다. 다시 바벨론(구)에 의해 멸망 당하고 수메르 문명은 막을 내립니다. 크게 구분..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2. 1.

용과 드래곤

용과 드래곤 성경에 나타나지 않지만 용과 드래곤은 동서양 전설과 신화에 중요한 존재이다. 다곤신과 혹자는 다곤신과 연결된 것이 아닌지 조심스럽게 추측하지만 확실치가 않다. 용과 드래곤은 다르다. 용은 동양에서 일컫는 용어이고, 드래곤은 서양 호칭이다. 동양에서 용은 신처럼 숭배되지만 서양에서 드래곤은 인간의 세계를 파괴하는 악한 존재이다. 용의 한자어 :龍 드래곤 : dragon 서양의 드래곤.서양의 드래곤은 짐승과 비슷한다. 네 발이 있고 날개가 있다. 날개 끝에 갈퀴가 있어 박쥐를 닮았다. 머리에 뿔리 있고, 생긴 것은 공룡과 비슷하다. 지역과 시대마다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대체로 큰 틀은 동일하다.용과 싸우는 기사들 성 게오르기우스, 라파엘로가 그린 그림에 보면 한 여인이 기도하고 기사가 용(괴물..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2. 1.

[성경의 신들] 6. 티아마트(Tiamat)

[성경의 신들] 6. 티아마트(Tiamat) 티아마트는 성경에 언급되지 않는다. 마르둑의 어머니이며 혼돈의 신이고, 풍요와 미의 신이면서 동시에 용이며 악한 파괴의 신이다. 난해하고 복잡한 신화의 이야기는 아래에 자세히 설명해보자. 티아마트를 건너뛸 수 없는 이유는 그녀가 나중에 갈라져 한쪽은 하늘 위의 물, 즉 비가 되고, 한쪽은 하늘 아래 물 즉 바다와 강, 지하수가 된다. 두개골은 가루가 되어 하늘의 별이 되고, 그녀의 침은 구름이 되어 하늘에 떠 다닌다. 두 개의 유방은 큰 산이 되고, 눈물은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의 기원이 된다. 이 기묘한 이야기는 티아마트를 통해 세상에 창조되었음을 말해 준다. 티아마트와 마르둑. 마르둑이 티아마트에게 입김을 불어넣어 몸을 터뜨린다. 티아마트는 수메르 문명에 ..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2. 1.

[성경의 문자] 수메르 쐐기문자(설형문자)

[성경의 문자] 수메르 쐐기문자(설형문자) 구약의 신들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고대언어를 배워야 한다. 문법적인 것까지 알수 없으나 읽고 해석하는 수준은 되어야 한다. 문자의 역사를 보면 대체로 비슷하다. 가장 먼저는 표시나 그림이다. 그리고 상형문자로 진화한다. 상형문자는 그림의 형이지만 문자이다. 그 다음은 표의문자로, 그 다음은 표음문자로 진화한다.표어 문자-그림문자-상형문자-표의문자표음문자수메르의 쐐기문자수메르어와 한국어의 유사점은 수메르어 전공자인 히브리대학의 조철수 박사의 주장이다. 그는 히브리대학의 앗시리아어 교수이다. 그는 '수메르어-고어국어 문법 범례 대조분석'이란 논문까지 발표했다. 내용을 추려보면 이렇다. 수메르어의 특징수메르어는 교착언어를 사용한다. '은' '는' '이' '가..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1. 31.

[성경의 신들] 5. 다곤(Dagon)과 인어

[성경의 신들] 5. 다곤(Dagon) 오늘은 블레셋 민족이 섬겼던 다곤신에 대해 알아보자. 성경 속에서 다곤은 큰 의미를 갖지는 않지만 자주 등장하는 신이다. 블레셋 민족이 에게해의 해양 민족이라는 설이 정석으로 받아드려지는 만큼 다곤신은 농사와 바다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곤신처럼 다이나믹하고 흥미진진한 신도 없는 듯하다. 수메르에서 그리스, 그리고 최근 동화에까지 다양한 얼굴로 우리 가까이 있다. 다곤신이 성경에 기록된 곳은 몇 곳이 되지 않는다. 한 곳은 블레셋 사람들이 여호와의 궤를 다곤신전 안에 둘때와 사울의 갑옷을 가져가 다곤 신전에 둔다. 내용도 비슷하고 시기도 비슷하다. 전쟁 후 전리품을 자신들의 신전에 두는 것은 상대편 신을 굴복시키는 것이며 포로로 삼았다는 상징적 행위다. 일단 ..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18. 1.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