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성경의세계486

[성경의 음식] 벌꿀(HONEY)

[성경의 음식] 벌꿀(HONEY) 꿀은 성경 안에서 매우 독특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한국 개신교인들을 꿀은 곧 하나님의 말씀이란 생각이 떠오를 정도록 익숙한 조합니다. 성경 안에서 꿀은 상징적 존재이긴 하지만 실제적 귀한 먹을거리였습니다. 고대 세계에서 단 것이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죠. 모든 음식에 설탕이 들어가는 요즘 시대와 고대 세계는 사뭇 달랐습니다. 꿀에 대한 생각은 우리나라와 그리 다르지 않은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성경 속에서 꿀은 어떤 존재인지 그 표현들을 찾아봅시다. 꿀의 일반적인 특징꿀은 벌이 꽃의 꿀샘에서 채집한 꿀을 가공하여 만든 천연 감미료로, 다양한 영양소와 효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주성분은 포도당과 과당 같은 단당류로, 빠르게 에너지원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비타민 C.. 성경의세계/성경의 음식 2024. 12. 20.

성경의 음식

성경의 음식 성경에는 다양한 음식들이등장합니다. 가장 빈번한 것은 우유와 버터, 그리고 빵이다. 세 가지는 거의 주식처럼 사용된 것들입니다. 그 외의 다른 음식들은 없을까요? 음식과 음식에 관련된 상징들을 다룹니다. 여기서는 간단한 목록을 제시하고, 각 음식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읽을 수 있습니다. 과일로 만든 음식감람(신8:8)건포도(삼상25:18)건포도로 만든 과자(대상16:3)계피(겔27:19).과자(민11:8)무화과 뭉치(삼상25:18).사과(아2:5)살구열매(민17:8)생포도(민6:3)석류(아4:3)석류즙(아8:2). 향기로운 술 곧 석류즙으로...참외(민11:5)포도껍찔(민6:4)포도씨(민6:4)포도주(삼상25:18).포도주로 된 초(민6:3)포도즙(민6:3) 곡물고운 가루에 .. 성경의세계/성경의 음식 2024. 12. 20.

바늘귀는 무엇일까?

성경의 '바늘귀'에 대한 연구성경에서 '바늘귀'라는 표현이 등장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도대체 바늘귀가 무엇인가 생각하고 찾았지만 실패했습니다. 하지만 바늘귀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는 명확합니다. 그것은 매우 좁고 작아 그곳으로 들어가기 힘든 개구멍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예수님은 바늘과 하나님의 나라를 비유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바늘귀의 의미를 좀더 구체적으로 찾아 정리해 봤습니다. 1. '바늘귀' 표현이 등장하는 성경 구절'바늘귀'라는 표현은 신약성경에서 등장하며, 가장 잘 알려진 구절은 마태복음 19장 24절, 마가복음 10장 25절, 누가복음 18장 25절에 기록되어 있습니다.마태복음 19:24“다시 너희에게 말하노니, 낙타가 바늘귀로 들어가는 것이 부자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4. 12. 19.

[색깔 상징] 성경 속 노란색/황금색의 상징

성경 속 노란색/황금색의 상징성경에서 노란색과 황금색은 하나님의 영광, 신성, 순결, 영원성을 상징하며, 성경 전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징적 색깔입니다. 특히 황금은 성전, 성막, 천국, 그리고 하나님의 나라를 묘사하는 데 자주 사용되며, 물질적인 부를 넘어선 신학적, 영적 의미를 전달합니다. 성경 속 노란색과 황금색의 의미를 구약과 신약의 다양한 맥락에서 살펴보고, 이 상징이 현대 그리스도인들에게 주는 교훈을 더욱 깊이 탐구하겠습니다. 1. 노란색/황금색의 상징적 의미1.1 하나님의 영광과 임재황금은 성경에서 하나님의 영광과 임재를 나타냅니다. 황금의 빛나는 성질은 하나님의 완전함과 초월성을 반영합니다. 구약에서 성막과 성전의 많은 부분이 황금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은, 하나님의 임재가 있는 장소가 ..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4. 12. 19.

성경 흰색 하얀색 상징

성경 속 흰색(백색)의 상징흰색(백색)은 성경에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가지며, 정결, 의로움, 빛, 하나님의 영광 등을 나타냅니다. 구약과 신약 전반에 걸쳐 흰색은 하나님의 속성과 구원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이글에서는 성경에서 흰색이 갖는 상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관련 구절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1. 흰색의 상징적 의미1.1 정결과 순결가장 먼저 흰색은 성경에서 정결함과 순결의 상징으로 사용됩니다. 죄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와 하나님 앞에서의 깨끗한 마음을 의미합니다. 흰옷은 정결한 삶을 살아가는 하나님의 백성을 상징하며, 이는 죄 사함을 통해 얻어지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상대적으로 죄는 검거나 붉은 색으로 나타냅니다.이사야 1:18“너희 죄가 주홍 같을지라도 눈과 같이 희..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4. 12. 19.

성경에서 촛대의 상징적 의미

성경에서 촛대의 상징적 의미촛대는 성경에서 매우 상징적이고 중요한 주제로 등장하며, 주로 하나님의 임재, 교회, 그리고 성도의 사명을 상징합니다. 성경은 구약과 신약을 통해 촛대를 다양한 맥락에서 언급하며, 이를 통해 하나님의 뜻과 그의 백성과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본 리포트에서는 촛대의 상징적 의미를 구약과 신약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촛대가 어떻게 하나님의 계획을 나타내는지를 정리해 봤습니다. 1. 구약에서의 촛대1.1 성막의 금촛대 (출애굽기 25:31-40)출애굽기에서 금촛대는 성막 안의 중요한 성물로 등장합니다. 하나님은 모세에게 금으로 만든 일곱 가지 가지가 있는 촛대를 만들도록 명령하셨습니다. 이 촛대는 성소 안에서 빛을 비추는 역할을 했으며,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 간의 관계를 상징합니다..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4. 11. 21.

[성경의 상징] 바람(루아흐, 프뉴마)

[성경의 상징] 바람(루아흐, 프뉴마) 성경 속에서 바람처럼 흥미롭고 각양각색을 지닌 상징도 드물 것이다. 특히 레반트 지역은 바람이 많은 곳이기 때문에 바람은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다. 번역되는 과정 속에서 바람은 다른 의미로 의역되거나 오역되면서 원어의 맛을 제대로 살리지 못할 때가 많다. 성경 속에서 바람은 일반인이 아는 것보다 풍성하고 다양하다.  1. 신화 속의 바람과 바람 신들 단군 신화에도 환웅이 신단수 아래로 내려올 때 우사(雨師)와 운사(雲師), 풍백(風伯)이란 세 신하를 데리고 온다. 세 신은 농사와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가나안의 바알이 갖는 특징들을 고루 가지고 있다. 바람이란 히브리어 ‘루아흐’와 헬라어 ‘프뉴마’는 발성상 목에서 바람을 내뿜어 낸다. 구약에서 ‘..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4. 11. 16.

성경이 말하는 어린아이의 믿음이란?

어린아이의 믿음성경은 몇 곳에서 어린아이와 같지 아니하면 천국에 들어갈 수 없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모두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님의 말씀입니다. 도대체 '어린아이와 같이'라는 뜻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오늘은 그 부분을 조금 심도 있게 들어 가려고 합니다. 먼저 성경에서 "어린아이의 믿음"은 단순함, 순수함, 신뢰, 겸손과 같은 특성을 강조하며,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마음 자세로 묘사됩니다. 어린아이의 믿음은 자기 의존이 아닌 하나님께 온전히 의지하는 태도로, 인간의 교만이나 복잡한 사고 대신 순전한 순종과 신뢰를 상징합니다. 성경에서 어린아이의 믿음과 관련된 주요 구절과 의미를 정리하겠습니다. 1. 어린아이와 같이 되어야 함예수님은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려면 어린아이와 같은 마음을 가..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4. 11. 15.

가족과 가정의 차이

"가족"과 "가정"은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쓰는 단어이지만, 그 의미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두 단어는 같은 맥락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엄밀히 말해 각기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예시와 함께 각각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1. 가족 (Family)"가족"은 주로 혈연, 결혼, 입양 등을 통해 연결된 사람들로 이루어집니다. 가족은 구성원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개념이며, 그 관계는 법적, 생물학적, 혹은 감정적 유대에 기초합니다. 가족은 부모와 자녀가 함께하는 핵가족부터, 조부모와 삼촌, 이모, 사촌 등 여러 세대를 포함하는 확대가족까지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예시핵가족: 부모와 자녀가 함께 사는 집을 상상해 봅시다. 부모는 자녀에게 교육과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고,..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4. 11. 15.

성경 속의 일부다처제

성경에서는 일부다처제성경의 많은 신앙의 인물들은 일부다처제 가정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대의 그리스도인들은 일부다처제가 비성경적이라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왜 일부다처제가 비성경이고, 배워서는 안되는 제도인지를 성경 속에서 답을 찾아 봅시다. 성경에서는 일부다처제가 여러 인물의 삶 속에서 묘사되고 있으며, 특히 구약의 시대에 걸쳐 나타납니다. 이들 이야기에서 일부다처제가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결혼 제도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당대의 문화적 배경 속에서 허용되고 심지어 법으로 인정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결혼 방식은 종종 가족 내 갈등과 문제를 초래하며, 하나님의 이상적인 결혼 관점에서 벗어난 것으로 묘사됩니다. 아래는 성경에 나타난 주요 일부다처제 사례와 관련 구절들입니다. 1. 라멕 - 최초의..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4. 11.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