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5265 [성경의 숫자상징] 1일 하나 [성경의 숫자상징] 1일 하나독립적인 수1은 하나이다. 1은 완전수이다. 부족하지도 않고 더이상 추가할 필요도 없는 완전한 수이다. 1은 신화 속에서도 신에게 적용될 때가 많다. 유일하신 하나님하나님은 한 분이시다. 하나님은 유일하신 분으로 그 어떤 것과 비교할 수없는 존재이다. 하나님이 한 분이란 말은 유일한 이유와 근원, 목적이심을 말하며, 강력함 능력을 뜻할 때도 사용된다.신 6:4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유일한 여호와이시니부족한 숫자성경에서 1이 인간으로 사용될 때는 전혀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아담이 홀로 있을 때 하나님은 부족하다 선언하신다. 즉 인간은 짝을 이룰 때 완전해 진다. 인간은 만남으로 2가 1이 된다. 그러므로 1은 다시 완전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인간에..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4. 6. 8. 더보기 ›› [성경의 숫자상징] 5 다섯 [성경의 숫자상징] 5 다섯 모세오경 성경에 5가 있을까? 있다. 먼저 모세의 책이 5권으로 모세오경으로 불린다. 이런 의미에서 5는 완전수로 보아도 무방하다. 하지만 7과는 다른 의미이다. 오순절 / 희년완전수로서의 5는 7곱인 49일 다음날에 오는 오순절과 연관있다. 오순절은 7주 다음오는 첫날로 새로운 시작인 동시에, 완전을 뜻한다. 희년이 되면 모든 것이 제자로 돌아간다. 재창조의 시간이다. 오순절 날 성령 강림은 이전 세대가 끝이나고 새로운 세대의 시작을 의미했다. 성경에는 다양한 완전수가 손재한다. 1을 하나님을 나타내기에 완전수보다는 유일하신 뜻한다. 그 외에 5, 7, 10 등이 완전수에 들어간다. 신약에서는 삼위일체 개념이 들어가서 3이 추가되지만 구약에서 완전을 나타내는 가장 작은 수..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4. 6. 8. 더보기 ›› [성경의 숫자 상징] 6, 여섯 [성경의 숫자 상징] 6, 여섯 6일의 창조 창조에서 6일은 행동이 시간이다. 하나님은 6일 동안 창조하신다. 하지만 창조의 완성은 +1이 되는 7일째 시간이다. 6일 동안은 인간의 시간이다. 수고하고 땀 흘리고 노력해야 할 시간이다. 구약에서 6일은 일을 해도 되는 시간이다. 하지만 마지막 7일째 되는 시간은 안식해야 한다. 욕망과 탐욕이 멈추는 시간이다. 하지만 6일 동은 열심히 세상을 살아가야 한다. 666 성경에서 6육은 사람의 수다. 6과 관련된 가장 유명한 구절은 요한계시록 3:18이다. 계 13:18 지혜가 여기 있으니 총명한 자는 그 짐승의 수를 세어 보라 그것은 사람의 수니 그의 수는 육백육십육이니라 계시록 안에서 육은 미완성의 수이자 사람의 수, 짐승의 수이다. 육의 세 번인 육육육은 ..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4. 6. 8. 더보기 ›› [성경의 숫자상징] 둘,2,쌍 [성경의 숫자상징] 둘, 2, 쌍두 사람이 한 몸 성경에서 2는 짝이다. 짝을 이루는 가장 작은 수이다. 짝을 이룰 경우 2는 1이 된다. 즉 한쌍이 된다. 그런 의미에서 2는 완전수이다. 하나님은 인간을 창조하실 때, 동물을 창조하실 남과 여로 창조하셨다. 둘은 하나가 되어 새로운 가족을 구성하고, 새로운 세대를 만든다. 두 증인증인은 2명 이상이어야 한다. 한 명의 증인은 받지 않았다. 한 증인으로는 부족하다. 얼마든지 조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증인은 최소한 둘이어야 한다. 대개 두 세 사람의 증언으로 확장한다.신 19:15 사람의 모든 악에 관하여 또한 모든 죄에 관하여는 한 증인으로만 정할 것이 아니요 두 증인의 입으로나 또는 세 증인의 입으로 그 사건을 확정할 것이며마 18:16 만일 ..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4. 6. 8. 더보기 ›› 성경의 숫자 상징 성경의 숫자 상징성경에 나타난 다양한 숫자들의 상징과 의미를 정리한 것입니다. 성경은 다양한 숫자가 사용됩니다. 이러한 숫자는 다양한 의미를 포함합니다. 그렇다고 너무 과도한 의미를 부여해서는 안됩니다. 성경 해석을 위한 참조용으로 사용해야합니다. 물론 어떤 숫자는 절대적이 의미를 갖기도 합니다. 성경 해석을 할때는 맥락이 무척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숫자와 간략한 소개만으로 정리합니다. 각 숫자를 클릭하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서술 내용은 평서문으로 합니다. 1 하나1은 완전수이자 하나를 뜻한다. 유대인들은 하나님을 한분으로 보아 하나님을 나타내는 숫자로 보았다. 하나님은 오직 한 분이시며, 유일하신 분이시다. 유대인들이 삼위일체를 불경건하게 보는 이유도 유일신 사상에서 나왔다.숫자 1의..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4. 6. 8. 더보기 ›› 여호수아 17장 강해 여호수아 17장여호수아 17장에서는 요셉 지파 중의 하나님 므낫세 지파가 분배받은 땅을 정복하는 과정과 땅이 좁아 여호수아는 찾아 더 많은 분깃을 달라고 간청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여호수아는 분배받은 땅이 좁으면 브리스 족속과 르바임 족속의 땅과 살림을 개척하라 말한다. 1-13절 므낫세 자손들의 땅 분배와 정복14-18절 더 많은 땅을 달라는 요셉 자손들 1-13절 므낫세 자손들의 땅 분배와 정복1-6절까지는 요단동편 지파이고, 7-13절까지는 내륙의 므낫세 반 지파이다. 므낫세 장자 마길, 길르앗과 바산 1절은 앞으로 전개될 길르앗 지방의 조상이 누구인지를 보여준다. 마길은 므낫세의 장자로 소개된다. 므낫세 지파 중에서 장마 미갈의 후손들로 보인다. 길르앗은 요단 동편을 말하며, 이곳에 므낫세 반 .. 구약역사서 2024. 6. 6. 더보기 ›› 여호수아 16장 강해 여호수아 16장16장은 에브라임과 므낫세 지파가 제비를 뽑는다. 이들은 요셉의 아들 에브라임과 므낫세의 후손들이다. 두 지파를 종종 요셉지파로 부르기도 한다. 요셉 지파는 북이스라엘을 대표하는 지파이기에 요셉지파는 북이스라엘 전체를 뜻하기도 한다. 에브라임이 요셉의 둘째 아들이었지만 야곱의 장자권을 에브라임에게 주며 큰 복을 받을 것이라 말한다. 실제로 므낫세는 작은 지파지만 에브라임 지파는 전체 이스라엘 중에서 가장 강력한 지파가 된다. 이러한 장점은 후에 므낫세 지파였던 기드온을 무시하게 되고, 입다를 무시하다 호되게 당하게 된다. 아마도 여호수아가 에브라임 지파였기 때문에 당시에 갈렙이 있었던 유다 지파 외에 가장 먼저 제비를 뽑고 가장 넓은 땅을 분배받게 된다. 1-4절 요셉 자손의 지경5-10절.. 구약역사서 2024. 6. 6. 더보기 ›› 여호수아 15장 강해 여호수아 15장전쟁 후 이스라엘은 각 지파별로 제비를 뽑아 땅을 분배하기 시작합니다. 이때 유대 지파 대표인 갈렙이 여호수아를 찾아와 모세와 했던 약속을 상기시키며 헤브론 산지와 주변을 달라고 합니다. 40일 동안 가나안 정탐 할 때 여호수아와 갈렙만이 들어갈 수 있다고 말함으로 모세에게 발로 밟은 땅을 주겠다는 약속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15장은 갈렙이 받은 유다 지파 땅을 세세히 소개합니다. 1-12절 서해 경계13-19절 그나스와 악사에게 준 기업20-63절 남쪽 경계 1-12절 서해 경계 유다지파의 경계는 남쪽 전부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후에 시므온 지파가 유다의 남서쪽을 분배 받지만 이들은 후에 유다 지파 안에 흡수되어 버립니다. 유다 바로 위로는 단지파고 있지만, 후에 절반.. 구약역사서 2024. 6. 6. 더보기 ›› 여호수아 14장 강해 여호수아 14장 요단 동편의 땅 분배 후에 14장부터는 요단 서편, 본 가나안 지역의 분배가 이루어집니다. 요단 서편은 르우벤과 므낫세 반 지파 외의 나머지 지파가 분배받게 됩니다. 하지만 이때 유다 지파 족장인 갈렙이 여호수아를 찾아와 제비를 뽑지 않고 모세의 약속에 근거해 자신이 직접 선택한 땅을 달라고 합니다. 그런데 그곳은 모든 이스라엘의 싫어하고 두려워했던 아낙 자손이 살던 헤브론 산지였습니다. 1-5절 요단 서편 분배될 지파들6-15절 갈렙의 부탁 1-5절 요단 서편 분배될 지파들 기업을 제비 뽑아 땅을 분배할 때는 제비를 뽑습니다. 어떤 지파가 힘이 있느냐? 누가 더 능력이 있느냐를 묻지 않습니다. 오직 제비를 통해 땅을 분배 받습니다. 성경은 제비 뽑기는 하나님의 뜻에 있음을 밝히며, .. 구약역사서 2024. 6. 6. 더보기 ›› 여호수아 13장 강해 여호수아 13장 개요와 구조 13장부터 21장까지는 땅을 분배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5장부터 12장까지는 전쟁을 통해 가나안을 취하는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이제 큰 전쟁을 끝났고, 분배하여 각 지파별로 정복해 나가야 합니다. 지파별 전쟁은 사사기에 소개됩니다. 1-7절 아직 정복하지 못한 땅8-33절 요단 동편의 땅 1-7절 아직 정복하지 못한 땅 얻을 땅이 매우 많이 남아 있도다 시간이 흐릅니다. 아무리 여호수아가 능한 장수라도 그도 늙습니다. 모세가 죽은 것처럼 여호수아도 육신의 쇠약함을 피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아직 가나안을 완전히 정복한 것이 아닙니다. 큰 전쟁은 마쳤지만 마을과 산속에 숨어 있는 적들을 완전히 파한 것이 아닙니다. 여호수아는 자신이 늙었으나 아직 해야 할 일이 있다고 말하.. 구약역사서 2024. 6. 6. 더보기 ›› 728x90 이전 1 ··· 76 77 78 79 80 81 82 ··· 5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