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전서 13장 강해 1) 왜 사랑이 필요한가?
고린도전서 13장의 위치와 특징, 배경: 사랑의 본질과 중요성
고린도전서 13장의 문맥적 위치
고린도전서 13장은 신약 성경에서 가장 아름답고 심오한 장으로, 흔히 ‘사랑장(愛의 장)’으로 불립니다. 그러나 이 장은 단순히 사랑의 미덕만을 강조하는 낭만적 시나 도덕적 가르침이 아닙니다. 이 장은 고린도전서 12장과 14장 사이에 있으며, 교회 내의 은사 문제와 질서를 다루는 흐름 속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만연한 은사 경쟁과 분열을 바로잡기 위해 사랑을 강조하며, 은사와 사역의 근본이 되는 가치로서 사랑의 절대적 중요성을 설파하고 있습니다.
고린도전서 13장의 특징
고린도전서 13장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1-3절: 사랑이 없는 은사의 무의미함을 설명
- 4-7절: 사랑의 속성과 행위에 대한 묘사
- 8-13절: 사랑의 영속성과 은사의 유한성을 비교
바울은 이 장에서 사랑을 추상적 개념으로 설명하지 않고, 구체적 행동과 태도를 통해 설명합니다. 이는 당시 고린도 교회가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한 직접적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입니다.
고린도전서의 전체 배경과 교회 문제
고린도 교회는 사도 바울이 제2차 전도 여행 중에 고린도에 설립한 교회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신자들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고린도는 로마 제국 내에서도 경제적으로 번영한 항구 도시로, 다양한 철학적 사상과 종교적 풍조가 혼합된 곳이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교회는 여러 문제를 겪고 있었습니다.
고린도 교회는 은사 경쟁, 분열, 성적 타락, 신앙적 혼란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었으며, 바울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 편지를 썼습니다. 특히 12장에서는 교회 내에서 성령의 은사들이 각기 다르게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성도들이 서로 우월성을 주장하며 분열하는 모습을 지적합니다. 바울은 이를 통해 성령이 주신 은사의 목적이 서로를 세우고 연합시키는 데 있음을 강조합니다.
은사와 사랑의 관계
고린도전서 12장에서는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서로 다른 은사를 통해 협력해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성령께서 각 사람에게 다양한 은사를 주셨지만, 이 은사들은 공동체의 유익을 위해 사용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고린도 교회는 은사를 서로 비교하며 다투었고, 특히 방언이나 예언과 같은 은사를 두고 경쟁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바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은사의 본질적 목적을 상기시키며, 사랑이야말로 모든 은사보다 더 크고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13장에서 바울은 은사들이 일시적이고 제한적인 반면, 사랑은 영원히 지속되는 가치라고 말합니다. 그는 아무리 뛰어난 은사를 가졌다 해도 사랑이 없으면 그것이 무의미하다고 선언합니다(13:1-3). 은사가 교회 내에서 혼란을 일으키고 오용될 수 있지만, 사랑은 오히려 모든 은사를 바르게 사용하게 하고, 공동체를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합니다.
하나님의 사랑되심과 사랑의 영속성
바울이 강조하는 사랑의 본질은 단순히 인간적인 사랑이 아니라,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신적 사랑(아가페)을 의미합니다. 성경은 하나님 자신이 사랑이시라고 선언합니다(요일 4:8). 이 사랑은 무조건적이고, 변함이 없으며, 인간의 연약함과 죄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지속되는 사랑입니다.
바울은 13장에서 이러한 하나님의 사랑이 은사들보다 우위에 있음을 강조합니다. 은사들은 제한적이고 특정한 상황에서 필요에 따라 주어지지만, 사랑은 하나님 나라에서 영원히 지속될 것입니다. 예언이나 방언과 같은 은사는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지만, 사랑은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영원히 남는 덕목입니다. 바울은 믿음과 소망도 중요하지만, 그중에서도 사랑이 가장 큰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설명합니다.
고린도전서 13장의 신학적 의미
고린도전서 13장은 단순히 교회의 문제 해결을 넘어 기독교 신앙의 핵심인 사랑의 본질을 밝히고 있습니다. 바울은 사랑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사랑의 우월성
바울은 "사랑이 없으면 나는 아무것도 아니다"(13:2)라고 선언하며, 어떤 위대한 은사나 지식도 사랑 없이는 무의미하다고 강조합니다. 그는 사랑이야말로 모든 신앙적 덕목의 기초임을 밝힙니다.
고린도전서 13장은 사랑의 절대적 우월성을 강조하며, 신앙의 핵심 덕목으로 제시합니다. 바울은 은사나 지식, 믿음과 소망이 사랑 없이는 무의미하다고 선언합니다. 사랑은 모든 은사의 기초이며, 은사를 초월하는 영원한 가치로서 강조됩니다. 믿음과 소망이 장차 하나님의 나라가 완성될 때 사라지지만, 사랑은 하나님의 성품으로서 영원히 지속됩니다.
사랑은 공동체의 화목과 연합을 이루는 필수 덕목이며, 성도 간의 갈등과 경쟁을 극복하는 힘입니다. 에베소서 4장 15절에서 바울은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말하며"라고 가르치며, 사랑이 성숙한 신앙인의 삶을 인도하는 길임을 밝힙니다. 결국 사랑은 신앙의 완성이며, 하나님의 성품을 닮아가는 삶의 중심입니다.
사랑의 속성
바울은 사랑이 "오래 참고, 온유하며, 시기하지 아니하며" 등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13:4-7). 이러한 속성들은 단순한 감정적 사랑이 아닌, 실천적이고 헌신적인 사랑을 가리킵니다. 특히 당시 고린도 교회의 분열과 경쟁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덕목들입니다.
바울은 사랑이 오래 참고(μακροθυμεῖ), 온유하며(χρηστεύεται), 시기하지 않고 자랑하거나 교만하지 않으며(οὐ περπερεύεται, οὐ φυσιοῦται), 무례히 행하지 않고 자기 유익을 구하지 않으며(οὐκ ἀσχημονεῖ, οὐ ζητεῖ τὰ ἑαυτῆς), 성내지 않고 악한 것을 생각하지 않는다고 가르칩니다.
사랑은 불의를 기뻐하지 않고 진리와 함께 기뻐하며, 모든 것을 참으며 믿고 바라고 견딥니다. 이는 조건 없는 헌신적 사랑을 의미하며, 하나님의 성품을 반영하는 사랑입니다. 또한 이러한 사랑은 은사나 지식, 믿음과 소망보다도 위대한 덕목으로서, 영원히 지속되는 가치가 있습니다. 사랑은 신앙 공동체 안에서 화목과 연합을 이루고, 성도 간의 갈등을 극복하는 힘으로 작용하며, 신앙인의 삶 속에서 실천되어야 할 중심 덕목입니다.
사랑의 영속성
바울은 "예언도 폐하고 방언도 그치고 지식도 폐하리라"(13:8)고 말하며, 은사들이 일시적임을 강조합니다. 반면, 사랑은 "영원히 떨어지지 않는다"고 말하며, 사랑이야말로 하나님 나라에서 영원히 지속될 가치임을 밝힙니다. 여기서 바울은 믿음과 소망도 중요하지만, 그 중에 가장 큰 것은 사랑이라고 선언합니다(13:13). 사랑은 영원한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완전하게 성취될 것입니다.
고린도전서 13장은 사랑이 영원히 지속되는 덕목임을 강조합니다. 바울은 "사랑은 언제까지나 떨어지지 아니하되"(13장 8절)라고 선언하며, 예언, 방언, 지식과 같은 은사들은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지만 사랑은 영원히 남는다고 가르칩니다. 이는 사랑이 하나님의 본질적 성품이기 때문입니다. 요한계시록 21장 4절에서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과 곡하는 것과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니"라는 예언처럼, 하나님의 완전한 임재 안에서는 사랑만이 지속됩니다.
믿음과 소망은 이 땅에서의 신앙 여정에 필수적인 덕목이지만, 하나님의 나라가 완성될 때 그 기능을 다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사랑은 하나님의 성품 자체로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합니다. 이 사랑은 신앙 공동체 안에서 화목과 연합을 이루는 기초가 되며, 성도들이 서로를 세우고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 힘이 됩니다. 따라서 바울은 믿음과 소망보다 사랑이 더 위대하다고 강조하며, 신앙인의 삶에서 사랑을 최우선으로 삼을 것을 권면하고 있습니다.
고린도전서 13장의 현재적 적용
고린도전서 13장은 오늘날 교회와 성도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교회 안에서의 은사와 사역들이 때로는 경쟁과 분열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울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사랑이 모든 것의 기초가 되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이 장은 특히 현대 사회에서 사랑의 본질을 왜곡하는 풍조를 바로잡고, 성도들이 진정한 사랑을 실천할 수 있도록 이끕니다. 사랑은 단순히 감정적인 것이 아니라, 인내와 온유, 희생과 헌신을 동반한 행동임을 바울은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바울이 제시한 사랑의 속성들은 오늘날의 삶 속에서도 깊은 울림을 줍니다. 타인을 이해하고 용서하며, 경쟁보다는 서로를 세워주는 사랑이야말로 공동체의 성숙을 가져오는 힘입니다.
결론
고린도전서 13장은 고린도 교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은사의 오용과 경쟁을 바로잡고, 사랑의 절대적 중요성을 강조한 장입니다. 이 장은 교회가 성령의 은사를 올바르게 사용하며, 서로 사랑으로 연합할 때에만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사명을 완수할 수 있음을 가르칩니다. 바울의 메시지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깊은 울림을 주며, 사랑이 신앙과 사역의 핵심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합니다.
고린도전서 13장은 단순한 교훈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사랑을 본받고 실천하도록 부르는 하나님의 음성입니다. 이 사랑은 은사보다 더 크며, 우리 삶과 공동체에 참된 변화를 가져오는 힘입니다.
'신약서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4) 3절 사랑이 없다면(3) (0) | 2025.02.08 |
---|---|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2) 1절 사랑이 없다면 (0) | 2025.02.08 |
고린도전서의 구조 (0) | 2025.02.08 |
마태복음 14장 묵상 강해 (0) | 2025.01.22 |
요한계시록 1장 주해 및 강해 (0) | 2024.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