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전서의 구조
반응형
고린도전서의 구조
고린도전서를 구조를 분석한 것입니다. 저의 개인적인 관점에 의해 임의적으로 구분한 것이니 다른 사람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중요한 사건과 주제를 중심으로 구분했습니다.
간략한 구조
1. 서론 (1장 1-9절)
- 발신자와 수신자 소개 및 문안 인사
- 감사와 고린도 교회에 대한 하나님의 은혜 강조
2. 교회의 분열 문제와 권면 (1장 10절 - 4장)
1장 10절 - 4장
- 교회의 분열에 대한 지적
- 십자가의 복음과 하나님의 지혜
- 전도자로서의 바울의 자세
- 사역자의 역할과 교회의 기초가 그리스도임을 설명
3. 윤리적 문제와 교회 내 갈등 (5장 - 6장)
5장
- 교회의 성적 타락 문제와 음행자의 추방 명령
6장
- 성도들 간의 소송 문제
- 음행에 대한 경고 및 성령이 거하시는 성전으로서의 성도의 몸
4. 결혼과 가정 생활 (7장)
- 결혼, 독신, 이혼에 관한 교훈
- 결혼과 부부의 의무에 대한 가르침
5. 우상 제물과 자유의 절제 (8장 - 10장)
8장
- 우상에게 바친 제물을 먹는 문제에 대한 권면
9장
- 자유와 절제에 대한 바울의 모범
10장
- 이스라엘의 과거 실패로부터 배울 교훈과 우상 숭배 경고
6. 공적 예배와 교회 질서 (11장 - 14장)
11장
- 예배에서의 여성의 자세
- 성만찬의 올바른 실행
12장 - 14장
- 은사의 다양성과 교회의 통일성
- 사랑의 절대적 중요성(13장, 사랑장)
- 예언과 방언에 대한 교훈 및 공적 예배의 질서
7. 부활의 교리 (15장)
- 그리스도의 부활과 성도의 부활 확신
- 부활로 인한 성도의 궁극적 승리
8. 끝맺는 인사 및 교회 생활에 대한 지침 (16장)
-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연보 방법
- 바울의 사역 계획 및 인사
고린도전서 세밀한 구조 분석
I. 서론 (1:1-9)
- 1:1-3: 바울과 소스데네의 인사 및 발신자·수신자 명기
- 1:4-9: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감사와 고린도 교회의 소명 재확인
II. 교회의 분열과 십자가의 지혜 (1:10-4:21)
1. 교회 분열 문제 제기 (1:10-17)
- 1:10: 분열을 멈추고 하나가 되라는 권면
- 1:11-12: 고린도 교회의 파벌 상황 설명 (바울파, 아볼로파, 게바파, 그리스도파)
- 1:13-17: 바울이 강조하는 십자가의 중심성
2. 하나님의 지혜와 십자가의 도 (1:18-2:16)
- 1:18-31: 세상의 지혜와 십자가의 어리석음 대조
- 2:1-5: 바울의 전도 방식 – 인간의 지혜가 아닌 성령의 능력 의존
- 2:6-16: 하나님의 깊은 지혜는 성령으로만 깨달음
3. 영적 성숙과 사역자의 역할 (3:1-4:21)
- 3:1-9: 육적 성숙의 부족 – 교회 내 분쟁의 원인
- 3:10-17: 그리스도 위에 세워야 하는 교회 기초
- 3:18-23: 인간의 지혜와 하나님의 지혜 대조
- 4:1-5: 사역자는 하나님의 비밀을 맡은 자로서 충성할 의무
- 4:6-13: 사도들의 고난과 낮아짐 – 영적 지도자의 본보기
- 4:14-21: 권면과 바울의 권위 강조
III. 윤리적 문제들과 교회 생활 규범 (5:1-6:20)
1. 음행 문제와 징계의 필요성 (5:1-13)
- 5:1-5: 근친상간 문제와 죄에 대한 엄중한 조치 필요성
- 5:6-8: 교회의 거룩함을 지키기 위한 누룩 비유
- 5:9-13: 교회 내 범죄자와 외부인들에 대한 바울의 지침
2. 성도들 간의 소송 문제 (6:1-11)
- 6:1-8: 성도들 간 법정 다툼 금지
- 6:9-11: 죄로부터 구원받은 자의 새로운 신분
3. 몸의 거룩함과 음행 경고 (6:12-20)
- 6:12-14: 몸의 자유에 대한 바른 이해
- 6:15-20: 몸은 성령의 전으로서 거룩하게 지켜야 함
IV. 결혼과 독신에 대한 교훈 (7:1-40)
- 7:1-7: 부부의 관계와 성적 의무
- 7:8-16: 미혼자와 이혼에 대한 권면
- 7:17-24: 각자 부르심에 따라 살라는 교훈
- 7:25-40: 독신과 재혼에 대한 지침
V. 우상 제물과 자유의 절제 (8:1-11:1)
1. 우상 제물에 대한 문제 제기 (8:1-13)
- 8:1-6: 지식과 사랑의 균형 강조
- 8:7-13: 형제의 양심을 고려하여 행동할 것
2. 사도의 권리와 자유의 절제 (9:1-27)
- 9:1-14: 바울의 사도권과 권리 주장
- 9:15-27: 스스로 권리를 포기하고 복음에 헌신하는 바울의 모범
3. 이스라엘의 경고와 우상 숭배 문제 (10:1-22)
- 10:1-13: 이스라엘의 실패 사례에서 배울 교훈
- 10:14-22: 우상 숭배를 피하라는 경고
4. 자유의 바른 사용 (10:23-11:1)
- 10:23-33: 모든 것이 유익하지는 않다 – 공동체를 위한 행동 기준
- 11:1: 바울의 모범을 따르라는 권면
VI. 공적 예배와 교회의 질서 (11:2-14:40)
1. 예배에서 남성과 여성의 역할 (11:2-16)
- 11:2-6: 남성과 여성의 예배 시 머리 덮는 것에 대한 지침
- 11:7-16: 창조 질서를 근거로 한 권위와 순종의 관계
2. 성만찬의 올바른 실행 (11:17-34)
- 11:17-22: 성만찬에서의 무질서 지적
- 11:23-26: 성만찬의 제정과 의미
- 11:27-34: 성만찬에 참여할 때의 경건한 자세
3. 영적 은사와 교회의 통일성 (12:1-31)
- 12:1-11: 다양한 은사와 성령의 일치
- 12:12-31: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의 기능적 다양성
4. 사랑의 우월성 (13:1-13)
- 13:1-3: 사랑이 없는 은사의 무가치성
- 13:4-7: 사랑의 특성 설명
- 13:8-13: 은사와 믿음·소망·사랑의 지속성 비교
5. 예언과 방언의 질서 (14:1-40)
- 14:1-25: 예언과 방언의 은사 비교
- 14:26-40: 공적 예배에서 질서 유지와 은사 사용 규범
VII. 부활에 관한 교훈 (15:1-58)
1. 그리스도의 부활과 복음의 핵심 (15:1-11)
- 15:1-4: 복음의 핵심으로서의 부활
- 15:5-11: 부활의 목격자들
2. 부활의 신학적 의미 (15:12-34)
- 15:12-19: 부활이 없으면 헛된 믿음
- 15:20-28: 그리스도의 부활과 통치
- 15:29-34: 부활의 소망이 삶에 미치는 영향
3. 부활의 몸과 궁극적 승리 (15:35-58)
- 15:35-49: 부활 몸의 특성
- 15:50-58: 죽음을 이긴 승리
VIII. 결론과 끝맺음 (16:1-24)
1.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연보 (16:1-4)
- 연보의 방법과 실행 지침
2. 바울의 방문 계획과 동역자들 (16:5-18)
- 바울과 동역자들의 사역 계획
3. 마지막 권면과 인사 (16:19-24)
- 교회들과의 인사 및 축복
고린도전서 세밀한 구조 분석
I. 서론 (1:1-9)
- 1:1-3: 바울과 소스데네의 인사 및 발신자·수신자 명기
- 1:4-9: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감사와 고린도 교회의 소명 재확인
II. 교회의 분열과 십자가의 지혜 (1:10-4:21)
1. 교회 분열 문제 제기 (1:10-17)
- 1:10: 분열을 멈추고 하나가 되라는 권면
- 1:11-12: 고린도 교회의 파벌 상황 설명 (바울파, 아볼로파, 게바파, 그리스도파)
- 1:13-17: 바울이 강조하는 십자가의 중심성
2. 하나님의 지혜와 십자가의 도 (1:18-2:16)
- 1:18-31: 세상의 지혜와 십자가의 어리석음 대조
- 2:1-5: 바울의 전도 방식 – 인간의 지혜가 아닌 성령의 능력 의존
- 2:6-16: 하나님의 깊은 지혜는 성령으로만 깨달음
3. 영적 성숙과 사역자의 역할 (3:1-4:21)
- 3:1-9: 육적 성숙의 부족 – 교회 내 분쟁의 원인
- 3:10-17: 그리스도 위에 세워야 하는 교회 기초
- 3:18-23: 인간의 지혜와 하나님의 지혜 대조
- 4:1-5: 사역자는 하나님의 비밀을 맡은 자로서 충성할 의무
- 4:6-13: 사도들의 고난과 낮아짐 – 영적 지도자의 본보기
- 4:14-21: 권면과 바울의 권위 강조
III. 윤리적 문제들과 교회 생활 규범 (5:1-6:20)
1. 음행 문제와 징계의 필요성 (5:1-13)
- 5:1-5: 근친상간 문제와 죄에 대한 엄중한 조치 필요성
- 5:6-8: 교회의 거룩함을 지키기 위한 누룩 비유
- 5:9-13: 교회 내 범죄자와 외부인들에 대한 바울의 지침
2. 성도들 간의 소송 문제 (6:1-11)
- 6:1-8: 성도들 간 법정 다툼 금지
- 6:9-11: 죄로부터 구원받은 자의 새로운 신분
3. 몸의 거룩함과 음행 경고 (6:12-20)
- 6:12-14: 몸의 자유에 대한 바른 이해
- 6:15-20: 몸은 성령의 전으로서 거룩하게 지켜야 함
IV. 결혼과 독신에 대한 교훈 (7:1-40)
- 7:1-7: 부부의 관계와 성적 의무
- 7:8-16: 미혼자와 이혼에 대한 권면
- 7:17-24: 각자 부르심에 따라 살라는 교훈
- 7:25-40: 독신과 재혼에 대한 지침
V. 우상 제물과 자유의 절제 (8:1-11:1)
1. 우상 제물에 대한 문제 제기 (8:1-13)
- 8:1-6: 지식과 사랑의 균형 강조
- 8:7-13: 형제의 양심을 고려하여 행동할 것
2. 사도의 권리와 자유의 절제 (9:1-27)
- 9:1-14: 바울의 사도권과 권리 주장
- 9:15-27: 스스로 권리를 포기하고 복음에 헌신하는 바울의 모범
3. 이스라엘의 경고와 우상 숭배 문제 (10:1-22)
- 10:1-13: 이스라엘의 실패 사례에서 배울 교훈
- 10:14-22: 우상 숭배를 피하라는 경고
4. 자유의 바른 사용 (10:23-11:1)
- 10:23-33: 모든 것이 유익하지는 않다 – 공동체를 위한 행동 기준
- 11:1: 바울의 모범을 따르라는 권면
VI. 공적 예배와 교회의 질서 (11:2-14:40)
1. 예배에서 남성과 여성의 역할 (11:2-16)
- 11:2-6: 남성과 여성의 예배 시 머리 덮는 것에 대한 지침
- 11:7-16: 창조 질서를 근거로 한 권위와 순종의 관계
2. 성만찬의 올바른 실행 (11:17-34)
- 11:17-22: 성만찬에서의 무질서 지적
- 11:23-26: 성만찬의 제정과 의미
- 11:27-34: 성만찬에 참여할 때의 경건한 자세
3. 영적 은사와 교회의 통일성 (12:1-31)
- 12:1-11: 다양한 은사와 성령의 일치
- 12:12-31: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의 기능적 다양성
4. 사랑의 우월성 (13:1-13)
- 13:1-3: 사랑이 없는 은사의 무가치성
- 13:4-7: 사랑의 특성 설명
- 13:8-13: 은사와 믿음·소망·사랑의 지속성 비교
5. 예언과 방언의 질서 (14:1-40)
- 14:1-25: 예언과 방언의 은사 비교
- 14:26-40: 공적 예배에서 질서 유지와 은사 사용 규범
VII. 부활에 관한 교훈 (15:1-58)
1. 그리스도의 부활과 복음의 핵심 (15:1-11)
- 15:1-4: 복음의 핵심으로서의 부활
- 15:5-11: 부활의 목격자들
2. 부활의 신학적 의미 (15:12-34)
- 15:12-19: 부활이 없으면 헛된 믿음
- 15:20-28: 그리스도의 부활과 통치
- 15:29-34: 부활의 소망이 삶에 미치는 영향
3. 부활의 몸과 궁극적 승리 (15:35-58)
- 15:35-49: 부활 몸의 특성
- 15:50-58: 죽음을 이긴 승리
VIII. 결론과 끝맺음 (16:1-24)
1.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연보 (16:1-4)
- 연보의 방법과 실행 지침
2. 바울의 방문 계획과 동역자들 (16:5-18)
- 바울과 동역자들의 사역 계획
3. 마지막 권면과 인사 (16:19-24)
- 교회들과의 인사 및 축복
반응형
그리드형
'신약서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2) 1절 사랑이 없다면 (0) | 2025.02.08 |
---|---|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1) 왜 사랑이 필요한가? (0) | 2025.02.08 |
마태복음 14장 묵상 강해 (0) | 2025.01.22 |
요한계시록 1장 주해 및 강해 (0) | 2024.12.20 |
요한계시록 21장 (0) | 2024.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