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5083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10) 9절 인간 지식의 한계

고린도전서 13장 9절 : 부분적 지식과 예언의 한계1. 본문과 원어 분석고린도전서 13장 9절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우리가 부분적으로 알고 부분적으로 예언하니"ἐκ μέρους γὰρ γινώσκομεν καὶ ἐκ μέρους προφητεύομεν· 바울은 이 구절에서 인간의 지식과 예언이 제한적이며 부분적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 나라의 완전한 도래와 비교하여 지금의 상태가 불완전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원어 해석부분적 (ἐκ μέρους)헬라어 '엑 메로스'는 '일부, 부분적으로'라는 의미로, 전체가 아닌 불완전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바울은 현재 우리가 가진 지식과 예언이 전체의 일부에 불과하다고 설명합니다.알다 (γινώσκω)'기노스코'는 '알다, 인식하다'를 의미하며,.. 신약서신서 2025. 2. 8.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9) 8절 사랑은 언제까지나

고린도전서 13장 8절 : 사랑은 결코 없어지지 않습니다1. 본문과 원어 분석고린도전서 13장 8절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사랑은 언제까지나 떨어지지 아니하되 예언도 폐하고 방언도 그치고 지식도 폐하리라."Ἡ ἀγάπη οὐδέποτε πίπτει· εἴτε δὲ προφητεῖαι, καταργηθήσονται· εἴτε γλῶσσαι, παύσονται· εἴτε γνῶσις, καταργηθήσεται. 바울은 이 구절에서 사랑의 영속성과 은사의 한시적 성격을 대조하면서, 사랑이 신앙의 궁극적 덕목임을 강조합니다. 원어 해석사랑 (ἀγάπη)헬라어 ‘아가페’는 조건 없는 헌신적 사랑을 의미하며, 이는 하나님의 본성을 반영한 사랑입니다. 바울이 강조하는 사랑은 인간적 감정에 그치지 않고, .. 신약서신서 2025. 2. 8.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목록

고린도전서 13장 강해고린도전서 13장의 위치와 특징고린도전서 13장은 고린도 교회의 분열과 은사 경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울이 제시한 핵심 교훈으로, '사랑'의 절대적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고린도전서는 교회 내 다양한 문제, 특히 은사 남용(고린도전서 12장)과 질서 부족(고린도전서 14장)을 다루며, 모든 은사가 사랑을 통해 조화롭게 사용되어야 함을 가르칩니다. 바울은 은사가 아무리 뛰어나도 사랑이 없으면 무의미하다고 선언합니다(13장 1-3절). 여기서 말하는 사랑은 단순한 감정이 아닌, 공동체를 세우고 유지하는 헌신적이고 희생적인 아가페 사랑입니다. 또한, 이 사랑은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본받은 성숙한 신앙인의 덕목으로서, 교회 안에서 서로를 격려하고 하나 되게 하는 힘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신약서신서 2025. 2. 8.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8) 7절 참고 믿으며 바라며 견디며

고린도전서 13장 7절 : 사랑의 모든 것을 품는 힘1. 본문과 원어 분석고린도전서 13장 7절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며, 모든 것을 견디느니라."πάντα στέγει, πάντα πιστεύει, πάντα ἐλπίζει, πάντα ὑπομένει. 바울은 이 구절에서 사랑의 지속성과 강인함을 강조하며, 네 가지의 중요한 동사를 사용하여 사랑이 가진 포괄적이고 희생적인 속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원어 해석참으며 (στέγει)헬라어 ‘스테게이’는 '덮다, 보호하다'는 의미를 지니며, 사랑이 타인의 허물과 약점을 덮어주고 보호하는 속성을 나타냅니다. 이 단어는 외부의 위협이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사랑이 상대방을 보호하는 태도를 가리킵니다.. 신약서신서 2025. 2. 8.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7) 6절 진리와 함께 기뻐합니다

고린도전서 13장 6절 : 사랑은 진리와 함께 기뻐합니다1. 본문과 원어 분석고린도전서 13장 6절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하고"οὐ χαίρει ἐπὶ τῇ ἀδικίᾳ, συνχαίρει δὲ τῇ ἀληθείᾳ· 바울은 이 구절에서 사랑의 윤리적 본질을 두 가지 대조적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랑은 불의를 기뻐하지 않고, 대신 진리와 함께 기뻐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불의는 기뻐하지 않지만 진리는 사랑합니다. 특이한 점은 '기뻐하지 않는다'의 카이레이는 혼자서 기쁘지 않다는 뜻이지만 후반부의 '기뻐하고'의 '쉰카이레이'는 '함께 기뻐하다'는 뜻입니다. 한글성경은 '함께'를 따로 구분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해석하여 번역했습니다. 원어 해석불.. 신약서신서 2025. 2. 8.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6) 5절 무례히 행하지 않고

고린도전서 13장 5절 : 사랑의 성숙함과 윤리적 책임1. 본문과 원어 분석고린도전서 13장 5절에서 바울은 사랑의 여러 속성을 통해 인간 관계에서 중요한 윤리적 태도를 강조합니다. 이 구절은 신앙적 삶에서 타인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가르치며, 사랑이란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실천적 행동으로 나타나는 윤리적 책임임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사랑은 무례히 행하지 아니하며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며 성내지 아니하며 악한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며"원어 해석무례히 행하다 (ἀσχημονέω)헬라어로 '아스케모네오'는 ‘품위 없이 행동하다, 부적절하게 처신하다’는 의미로, 타인의 존엄성을 무시하고 불쾌감을 주는 모든 행동을 포함합니다. 이는 상대방의 감정과 인격을 존중하지 않는 무례함을 경고하는 표현입니다. .. 신약서신서 2025. 2. 8.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5) 4절 사랑은 오래 참고

고린도전서 13장 4절 설교문: 사랑은 오래 참고, 온유하며1. 원어 분석: 사랑의 속성고린도전서 13장 4절입니다."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시기하지 아니하며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하며 교만하지 아니하며"Ἡ ἀγάπη μακροθυμεῖ, χρηστεύεται ἡ ἀγάπη, οὐ ζηλοῖ, ἡ ἀγάπη οὐ περπερεύεται, οὐ φυσιοῦται,원어 단어 해석오래 참다 (Greek: μακροθυμέω)헬라어로 ‘마크로쑤메오’는 ‘오랫동안 참다, 인내하다’는 의미입니다. 이 단어는 주로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인내를 가리키며, 쉽게 분노하지 않고 참을성을 가지는 덕목을 뜻합니다.온유하다 (Greek: χρηστεύω)‘크레스트유오’는 ‘친절하고 부드럽게 대하다’는 뜻으로, .. 신약서신서 2025. 2. 8.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4) 3절 사랑이 없다면(3)

고린도전서 13장 3절 설교사랑 없이는 아무 유익이 없습니다1. 원어 분석: 깊은 의미의 탐구고린도전서 13장 3절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내가 내게 있는 모든 것으로 구제하고 내 몸을 불사르게 내어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게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원어 단어 해석구제하다 (Greek: ψωμίσω)‘프소미소’는 ‘나누어주다, 분배하다’는 의미로, 재산이나 소유물을 가난한 자에게 나눠주는 구제 행위를 뜻합니다. 이 단어는 단순히 일회적 시혜가 아닌 지속적이고 희생적인 나눔을 암시합니다.불사르게 내어주다 (Greek: καυθὴσω)‘카우타오’는 ‘태우다, 불에 타다’는 의미로, 극단적인 헌신과 자기 희생을 상징합니다. 이는 당시 순교자들의 희생적 행위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유익 (Greek: .. 신약서신서 2025. 2. 8.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3) 2절 사랑이 없다면(2)

고린도전서 13장 2절사랑 없이는 아무 것도 아닙니다1. 원어 분석: 본문의 깊이 있는 이해고린도전서 13장 2절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내가 예언하는 능력이 있어 모든 비밀과 모든 지식을 알고 또 산을 옮길 만한 모든 믿음이 있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가 아무 것도 아니요."원어 단어 해석예언하는 능력 (Greek: προφητεία)헬라어 ‘프로페이아’는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는 특별한 능력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예언은 단순히 미래의 일을 말하는 것을 넘어 하나님의 메시지를 공동체에 밝히 전하는 것을 포함합니다.비밀 (Greek: μυστήρια)‘뮈스테́리아’는 인간의 지혜로는 이해할 수 없는, 오직 하나님의 계시로만 드러나는 깊은 진리를 가리킵니다.지식 (Greek: γνῆσις)헬라어 .. 신약복음서 2025. 2. 8.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2) 1절 사랑이 없다면

고린도전서 13장 1절사랑 없이는 울리는 소리에 불과합니다1. 원어 분석: 의미의 깊이고린도전서 13장 1절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내가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소리 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가 되고." 원어를 통해 본문의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해 봅시다.‘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 (ταῦσα αὐθρωπύνων καὶ γλῶσσαν ὁἄγγελων)‘방언’은 헬라어로 ‘γλῶσσα’로서, 특정 언어 또는 초자연적 현상을 의미합니다. 당시 고린도 교회는 방언의 은사를 놓고 경쟁하고 있었으며, 바울은 이를 직접적으로 지적하고 있습니다. 천사의 말(‘ὁἄγγελων’)은 신비로운 능력을 상징하지만, 이것조차도 사랑이 없으면 무의미하다고 강조합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 신약서신서 2025. 2. 8.

고린도전서 13장 강해 1) 왜 사랑이 필요한가?

고린도전서 13장의 위치와 특징, 배경: 사랑의 본질과 중요성고린도전서 13장의 문맥적 위치고린도전서 13장은 신약 성경에서 가장 아름답고 심오한 장으로, 흔히 ‘사랑장(愛의 장)’으로 불립니다. 그러나 이 장은 단순히 사랑의 미덕만을 강조하는 낭만적 시나 도덕적 가르침이 아닙니다. 이 장은 고린도전서 12장과 14장 사이에 있으며, 교회 내의 은사 문제와 질서를 다루는 흐름 속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만연한 은사 경쟁과 분열을 바로잡기 위해 사랑을 강조하며, 은사와 사역의 근본이 되는 가치로서 사랑의 절대적 중요성을 설파하고 있습니다.고린도전서 13장의 특징고린도전서 13장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1-3절: 사랑이 없는 은사의 무의미함을 설명4-7절: 사랑의 속성.. 신약서신서 2025. 2. 8.

고린도전서의 구조

고린도전서의 구조고린도전서를 구조를 분석한 것입니다. 저의 개인적인 관점에 의해 임의적으로 구분한 것이니 다른 사람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중요한 사건과 주제를 중심으로 구분했습니다.  간략한 구조1. 서론 (1장 1-9절)발신자와 수신자 소개 및 문안 인사감사와 고린도 교회에 대한 하나님의 은혜 강조2. 교회의 분열 문제와 권면 (1장 10절 - 4장)1장 10절 - 4장교회의 분열에 대한 지적십자가의 복음과 하나님의 지혜전도자로서의 바울의 자세사역자의 역할과 교회의 기초가 그리스도임을 설명3. 윤리적 문제와 교회 내 갈등 (5장 - 6장)5장교회의 성적 타락 문제와 음행자의 추방 명령6장성도들 간의 소송 문제음행에 대한 경고 및 성령이 거하시는 성전으로서의 성도의 몸4. 결혼과 가정 생활 (7장)결혼.. 신약서신서 2025. 2. 8.

열왕기하 중요 인물 목록

열왕기하에 나오는 인물 정리열왕기하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남유다와 북이스라엘이 멸망에 이르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은 지도자들, 선지자들, 외국 왕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대개 정치적 혼란과 국제적 압박 속에서 다양한 성향을 보여줍니다. 왕들 중에서는 요시야처럼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며 개혁을 단행한 이도 있었지만, 여호야김과 시드기야처럼 외교적 줄타기와 반역을 반복하며 불순종으로 심판을 초래한 왕들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왕들은 대개 주변 강대국들(바벨론, 애굽, 앗수르)과의 갈등 속에서 잘못된 정치적 결정을 내리며 백성들을 멸망의 길로 이끌었습니다. 선지자들(이사야, 예레미야 등)은 하나님의 경고와 회개의 메시지를 끊임없이 전했으나, 왕들과 백성들은 이를 무시하고 우상 숭배와 불의를 지속했습니.. 성경인물/성경인물(구약) 2025. 2. 7.

열왕기하 25장 주해 및 묵상

열왕기하 25장 강해열왕기하 25장 요약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은 유다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예루살렘을 포위합니다. 성은 포위 끝에 함락되고, 시드기야 왕은 붙잡혀 두 눈이 뽑힌 채 포로로 끌려갑니다(25:1-7). 바벨론 군대는 성전과 왕궁을 불태우고 예루살렘 성벽을 허물며, 백성들을 대거 포로로 끌고 갑니다(25:8-12). 바벨론은 그다랴를 유다 총독으로 임명하지만, 그다랴가 암살당하면서 유다는 완전한 혼란에 빠집니다(25:22-26). 그러나 마지막에 여호야긴이 바벨론에서 석방되며 하나님의 회복의 희망이 암시됩니다(25:27-30).열왕기하 25장 구조분석예루살렘 포위와 시드기야의 최후 (25:1-7)성전 파괴와 유다의 멸망 (25:8-21)그다랴 총독의 임명과 암살 (25:22-26)여호야긴의 석.. 구약역사서 2025. 2. 7.

열왕기하 24장 주해 및 묵상

열왕기하 24장 강해열왕기하 24장 요약유다는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의 침략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멸망의 길을 걷게 됩니다. 여호야김 왕은 바벨론에 조공을 바치다 반역을 시도하지만, 바벨론의 공격으로 포위를 당하고 왕권을 상실합니다(24:1-7). 그의 아들 여호야긴은 바벨론의 속국으로 전락하며, 바벨론은 성전과 왕궁의 보물들을 약탈하고 주요 인물들을 포로로 끌고 갑니다(24:8-16). 이후 시드기야가 왕위에 오르지만, 그는 또한 바벨론에 대항하여 반역을 꾀하게 됩니다(24:17-20).열왕기하 24장 구조분석여호야김의 통치와 바벨론의 압박 (24:1-7)여호야긴의 포로화와 예루살렘 약탈 (24:8-16)시드기야의 즉위와 반역 (24:17-20)열왕기하 24장 주목할 내용열왕기하 24장은 유다가 바벨론의 .. 구약역사서 2025. 2. 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