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구약역사서447

[장별설교] 데살로니가후서 개요

[장별설교] 데살로니가후서 개요 데살로니가전서가 바울의 개인적인 변증을 위한 목적이 강하다면 데살로니가후서는 바울의 개인적인 이야기는 잠깐 언급할 뿐입니다. 후서는 전서에서 잠깐 언급했던 종말, 즉 주의 재림에 대한 설명을 체계적이고 깊게 설명하는데 시간을 쏟습니다. 또한 잘못된 종말론으로 인해 일상을 저버린 성도들을 권면하고 바로 잡도록 지도하려는 목적이 강하게 드러납니다. 또 다른 주제는 환난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를 설명합니다. 1. 환난과 하나님의 공의 ㄱ. 그리스도 됨의 표지로서의 고난 1장에서는 환난에 대해 다룹니다. 그런데 바울은 이 환난을 거듭난 그리스도인들의 표지로서 다룹니다. 5절에서 바울은 환난을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의 표’이며,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자로 여김을 받게 하려.. 구약역사서 2020. 2. 20.

[장별설교] 데살로니가전서 2장 성도를 대하는 바울의 세 가지 비유

[장별설교] 데살로니가전서 2장 성도를 대하는 바울의 세 가지 비유 연약한 성도를 대하는 바울의 방식은 의외로 다양합니다. 원칙주의자이며 다혈질의 성향을 가진 바울이지만 성도를 대할 때는 기꺼이 자신의 모습을 내려놓습니다. 성도를 대하는 바울의 모습을 통해 현대 목회자들이 배워야할 많은 이미지가 담겨 있습니다. 1. 1-2절 복음을 전하는 방식 2. 3-16절 네 가지 비유로서의 복음 전도자 ㄱ. 3-4절 옳은 청지기 ㄴ. 5-8절 유모 ㄷ. 9-12절 아버지 3. 13-16절 고난에 동참한 교회 4. 17-20절 데살로니가에 방문하기를 원함 1. 1-2절 복음을 전하는 방식 데살로니가 교회와 바울의 관계를 살펴보려면 사도행전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습니다. 1장에서는 명백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2장과 3장에.. 구약역사서 2020. 2. 14.

[장별설교] 데살로니가 전서 1장 믿음의 본이 된 데살로니가교회

[장별설교] 데살로니가 전서 1장 믿음의 본인 된 데살로니가교회 1절 인삿말 2-10절 믿음의 본을 데살로니가교회 1. 1절 인삿말 바울과 실루아노, 그리고 디모데의 이름으로 문안합니다. 실루아노는 실라의 로마식 이름입니다. 2차 전도 여행 때 함께 동행 했던 세 사람의 이름이 등장합니다. 데살로니가 교회가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다고 말합니다. 2. 2-10절 믿음의 본이 된 데살로니가교회 인사를 끝낸 바울은 곧바로 데살로가교회에 대해 감사하며 기도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 이유는 데살로니가 교회가 보여준 세 가지 때문입니다. 3절에 보니, ‘믿음의 역사’와 ‘사랑의 수고’와 ‘소망의 인내’입니다. 소망의 인내에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소망’이라는 설명이 붙어 있습니다. 바.. 구약역사서 2020. 2. 13.

[장별설교] 데살로니가전서 서론 및 주제

[장별설교] 데살로니가전서 서론 및 주제 데살로니가는 현재 그리스의 항구도시의 하나로 살로니카(Salonika)로 불립니다. 아가야 지방에 그리스도와 고린도가 중심 역할을 한다면 아가야 북부에 위치한 마케도냐 지방에서 데살로니가 빌립보와 더불어 큰 도시로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도시였습니다. 고대 시대에는 주변에 온천이 많아 더메(Therme)로 불렸고, BC4세기 알렉산더 대왕의 부하인 카산더(Cassander)가 신도시를 건설하여 자신의 아내인 데살로니키(Thessalonike of Macedon)의 이름을 붙여주어 오늘날까지 그 도시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데살로니키는 유명한 알렉산더 대황의 이복 여동생이었습니다. BC 167년에는 로마가 마케도니아를 점령하였고, BC 146년 에 데살.. 구약역사서 2020. 2. 13.

[장별설교] 골로새서 3장 위의 것을 찾으라

[장별설교] 골로새서 3장 위의 것을 찾으라 1장은 하나님의 형상이시며 교회의 머리이신 예수님을 소개했습니다. 2장에서는 이미 받은 복음에 뿌리를 내리고 그 안에서 살아가야할 존재로서 그리스도인을 설명했습니다. 이제 3장에서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시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 합당한 삶을 살아가도록 촉구합니다. 3장은 3:1에 기록된대로 ‘위의 것을 찾으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위의 것을 찾는다는 말은 반대로 ‘땅의 것을 생각하지’(2절) 않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바울이 말하는 새 시대에 맞는 삶이란 무엇일까요? 1-4절 새 시대의 삶에 합당한 자들의 신학적 토대 5-11절 단절해야 될 옛 시대의 삶 12-17절 새 시대의 삶을 받.. 구약역사서 2020. 2. 11.

[장별설교] 골로새서2장 사기꾼을 조심하라

[장별설교] 골로새서2장 사기꾼을 조심하라 1장에서는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형상이시며, 교회의 머리임을 설명했습니다.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인류를 향한 구속 경륜을 성취하셨습니다. 바울은 하나님의 비밀인 그리스도를 위해 자신의 육체에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채우기를 마다하지 않습니다. 이제 2장으로 넘어가면서 1-5절까지 1:24에서 시작된 하나님의 비밀인 그리스도를 설명합니다. 2:6-19절에서는 그리스도를 따름에 있어서 주의해야할 것들을 소개합니다. 마치 보물섬을 찾아가기 위해 넘어야할 많은 속임수와 장애물이 있는 것처럼 하나님의 비밀이며 ‘영광의 소망’(1:27)이신 그리스도를 따르기 위해 넘어야할 장애물을 소개합니다. 마지막 20-23절은 3:5절까지 이어지는 본문은 그리스도 안에.. 구약역사서 2020. 2. 10.

[장별설교] 골로새서 1장 화평케 하시는 그리스도

[장별설교] 골로새서 1장 화평케 하시는 그리스도 1장은 인사와 기도로 시작합니다. 바울은 곧바로 하나님의 형상이시며 교회의 머리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소개합니다. 세 번째 부분에서 교회를 향한 바울의 사역을 소개합니다. 1. 1-8절 인사와 감사 2. 9-23절 하나님의 형상이시며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 3. 24-29절 교회를 위한 바울의 수고 1. 1-8절 인사와 감사 바울은 다른 서신서와 동일하게 하나님의 뜻으로 사도가 된 것을 소개하고 디모데와 함께 골로새 교회에 안부를 전합니다. 다른 서신서에서 보이지 않는 ‘그리스도 안에서 신실한 형제들’이 보입니다. 뒷 부분은 동일하게 하나님으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임하기를 축원합니다. 바울은 골로새 교회를 생각하며 감사했음을 고백하며 그 이유를 밝힙니다. .. 구약역사서 2020. 2. 9.

[장별설교] 골로새서 서론(Colossians survey)

[장별설교] 골로새서 서론(Colossians survey) 골로새의 역사와 배경 전통적으로 골로새서는 바울이 세운 교회가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에베소교회 사역을 통해 일부의 사람들이 주 예수를 영접하고 고향인 골로새로 돌아가 교회를 세운 것으로 보입니다. 에베소로부터 남동쪽으로 약 2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골로새는 바울의 고향인 다소와도 약 400km 정도 떨어진 곳입니다. 에베소와 다소 사이에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루살렘에서 골로새를 가려면 보통 배를 타고 올라가지만 육로로 가게 되면 북쪽 시리아를 통과해 다소를 지나 골로새로 이동하게 됩니다. 골로새는 소아시아 지역에는 작은 도시에 속했지만 이곳에 무역로가 지나기 때문에 브루기아(Phrygia) 이방에서 가장 유명한 도시이며.. 구약역사서 2020. 2. 7.

[장별설교] 에베소서6장 하나님의 전신갑주를 입으라

[장별설교] 에베소서6장 하나님의 전신갑주를 입으라 5장에서는 바울은 빛의 일과 어둠의 일을 구분했습니다. 빛의 일은 그리스도인다운 삶을 살아가는 것이고, 어둠의 일은 육신의 삶을 사는 것입니다. 우리가 그렇게 살아야하는 근거는 5:1-2에서 그리스도께서 행하신 우리를 위하여 자신을 하나님께 향기로운 제물과 희생 제물로 드리셨다는 것입니다.(5:2) 6장은 이에 근거하여 6:1-9절까지 계속하여 삶의 문제를 다룹니다. 1-9절 그리스도인의 삶의 방식 10-20절 하나님의 전신갑주를 입으라 21-24절 마지막 인사 1. 1-9절 그리스도인의 삶의 방식 ㄱ. 자녀와 부모(1-4절) 1-4절까지는 자녀와 부모 사이를 다룹니다. 순서를 보겠습니다. 먼저 자녀들에게 말합니다. 자녀들이 가져야할 덕목(德目)은 ‘순.. 구약역사서 2020. 2. 3.

팔복 주해와 강해

팔복 주해와 강해 서론: 팔복 개요 마태복음 5:3-12까지에 나타난 '복'을 말합니다. '팔'은 여덟 가지 복을 언급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보기에 따른 복이 더 언급되기 때문에 구복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전통적 관점을 따르며, 팔복으로 보며 강해할 것입니다. 팔복으로 들어가기 전에 마태복음에 대한 간략한 전제들을 연구하고, 마태복음 안에서 산상수훈의 위치와 팔복의 의미들을 먼저 개략적으로 살핀 다음 팔복 각론으로 나아가고자 합니다. 마태복음에 관하여 ㄱ. 공관복음으로서의 마태복음 팔복을 살펴보기 전에 마태복음에 대한 기본적이 있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팔복은 산상수훈의 서론 역할을 하는 동시에 마태복음의 핵심을 잘 요약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신약이 되면 마태복음, 마가복.. 구약역사서 2019. 7.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