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77

성경속의 식물들

성경속의 식물들 작년부터 성경 속 동식물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의외로 자료가 많지 않았다. 있는 자료라면 설교 형식이나 가벼운 개요 정도여서 참고할 만한 글들이 아니었다. 인테넛을 검색하고, 동.식물에 관한 사전들을 찾아가면 정리를 해도 개운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성경의 식물이 지금이 식물이 아닐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성경 원어를 찾는 것도 결코 쉽지 않았다. 그러다 우연히. 정말 우연히 이 책을 발견했다. 몇 달 전에도 찾았는데 그때는 보이지 않던 책이 왜 이제야 보이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어쨌든 이 책은 성경 원어를 꼼꼼히 그리고 찬찬히 탐구하고 찾은 결과물이다. 저자는 식물학에도 조예가 있어 일반 식물학에 대한 정보도 착실히 담고 있다. 무엇하나 버릴 것이 하나 없는 책이다.모세..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3. 2.

[성경의 식물] 상수리 나무(oak), 참나무, 마므레의 상수리나무

[성경의 식물] 상수리 나무(oak), 참나무, 마므레의 상수리나무 상수리 나무는 성경 안에서 독특한 의미를 갖는다. 식용과는 거의 상관이 없어 보이고, 사람들이 거주하는 장소나 모임의 장소, 또는 신적인 색채가 강한 느낌을 준다. 열매인 창솔이나 도토리는 우리나라에서는 먹을 거리지만 팔레스타인에서는 아니었던 것 같다. 성경에서 단 한 번도 언급되지 않는다. 1. 개요 상수리나무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엘론(elon)’과 ‘알론(allon)’이다. 두 단어는 교차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아 한 종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창세기 12:6에서는 ‘엘론’이 사용되었고, 창세기 35:8에서는 ‘알론’이다. 상수리 나무가 종교적 대상이었다는 점에서 ‘엘’이 신을 뜻하는 히브리어 ‘엘’(하나님으로 번역)이 아닌가 주측..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2. 18.

성경 속 나무 목록표

성경 속 나무 목록표 성경에 나오는 나무 목록표입니다. 성경에는 수많은 나무들이 등장합니다. 단순히 나무 자체만을 말하기도 하지만 다양한 상징과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나무 목록표와 포스팅된 글은 링크로 첨부합니다. 1. 야생에서 자라는 나무들 아카시아나무류 -싯딤 -조각목 가시구기자나무 -가시나무 로뎀나무 -대싸리나무 떨기나무 -가시떨기나무 레바논개잎갈나무 -백향목 392766.tistory.com/4493 [성경의 식물] 백향목(柏香木, cedar) 송백나무 [성경의 식물] 백향목(柏香木, cedar) 송백나무 1. 용어 히브리어로 ‘에레즈’이며, 학명은 ‘Cedrus libani Loudon’이다. 레바논 삼나무를 말한다. 침엽수속(屬)의 소나뭇과(科)로서 키가 40m까지 자라� 392766.ti..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2. 15.

성경에 나오는 꽃들

성경에 나오는 꽃들 성경에 소개되는 꽃들에 대한 간략한 소개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성경의 식물] 카테고리에 소개된 곳을 살펴보기 바랍니다. 살구꽃(almond) (출 25:33) 살구로 번역되었지만 아몬드를 말한다. 한국의 복사꽃, 살구꽃 등과 비슷하다. 아몬드 꽃은 성막의 등잔의 잔 모양이다. 등잔은 등불인 동시에 나무이다. 7줄기와 7개의 꽃을 뜻한다. 빛은 곧 생명이다.(요 1:4) [성경의 식물] 감복숭아.파단행(巴旦杏 Almond) 살구나무 아몬드 샤프란, 번홍화(saffron crocus) 카르콤(아가 4:14) 샤프란은 음식물 첨가물과 염색 재료로 사용한다. 신약시대는 향수와 의약품으로 사용되었다. 백합화 (왕상 7:19, 아 2:1) 백화화로 잘못 번역된 꽃이다. 아네모네를 말한다. 주..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2. 14.

[성경의 식물] 포도(grape)와 포도나무

[성경의 식물] 포도(grape)와 포도나무 성경에서 가장 중요하고 빈번하게 등장하는 나무와 열매는 포도이다. 풍요와 안식, 다산과 복을 상징한다. 때때로 하나님의 분노와 진노를 상징하기도 한다. 가나안 7대 소산물 중의 하나이며, 이스라엘을 상징할 때 주요 사용된다. 포도원은 이스라엘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이 된다. [가나안 7대 소산물] [개요] 학명은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L.)이며 포도과(Vitaceae)에 속한다. 영어로는 Grape와 Vine로 번역된다. 히브리어는 에나브( ענב) 또는 게펜(גפן) 두 가지로 불린다. 신약 성경은 암펠로(άμπελος)와 스타퓔레(σταφυλή)로 번역했다. 포도나무는 지중해 연안에서 고대로부터 자라온 식물이며,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2. 9.

성경 속 동물 목록표

성경 속 동물 목록표 1. 동물 일반 2. 포유류 3. 조류 4. 파충류 5. 수중, 습지 동물 6. 곤충, 거미, 벌레 종류 7. 신화속 동물 1. 동물 일반 성경은 생물학 책이 아니기 때문에 종이나 속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반인의 관점에서 일반인의 언어로 동물을 호칭한다. 동물은 대부분 '피조물'로서 사용된다. 히브리어 브헤마는 상당히 범위가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 동물과 가축, 야생 동물 모두를 가리킨다. 약 190회 정도 사용되었다. 성경 안에서는 대체로 사람들에 의해 길들여진 가축과 그렇지 않는 야생동물, 그리고 사람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괴물의 범주에 들어가는 세 종류로 구분되고 있다. 집에서 길들여진 동물은 소, 양, 염소, 낙타, 나귀 등이다. 개는 우리나라 정서상 가축의 범주에 ..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9. 21.

[성경의 식물] 백향목(柏香木, cedar) 송백나무

[성경의 식물] 백향목(柏香木, cedar) 송백나무 1. 용어 히브리어로 ‘에레즈’이며, 학명은 ‘Cedrus libani Loudon’이다. 레바논 삼나무를 말한다. 침엽수속(屬)의 소나뭇과(科)로서 키가 40m까지 자라는 거대한 상록교목(常綠喬木)이다. 주로 기온이 낮은 고산지대에서 잘 자란다. 우리나라의 소나무와 모양이 약간 다르다. 열매는 잣나무와 히말리야시다를 섞어 놓은 듯한 모양이다. 모양이 우람하고 수령(樹齡)이 2,000~3,000년이나 된 것들도 있어서 ‘수목(樹木)의 왕’으로도 불린다. 뿌리는 지상의 높이만큼 깊이 들어가 결코 뽑히지 않는 나무이다. 최대40m까지 자라는 거대한 수목 중 하나이다. 수지(樹脂)는 향이 좋아 상쾌함을 주며, 방부제와 방충제로 사용된다. 고대 로마나 이집트..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8. 29.

[성경의 식물] 백단목, 자단(紫檀), 흑단목

[성경 속의 식물] 백단목(almug wood, algum) 자단(紫檀), 흑단목 1. 용어 히브리어로 ‘알무김’이다. 학명은 ‘Pterocarpus santalinus L’이다. 박달나무, 흑단과 거의 흡사한 나무이다. 줄기 안의 색이 자색에 가까워 자단으로 불린다. 세 나무 모두 고가에 거래되며, 조직이 조밀하고 단단하여 특수한 용도로 사용된다. 알무김이 우가릿 문헌에도 발견된 것으로 보아 외래어로 보인다. 인도와 스리랑카 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져있다. 자단(紫檀)으로 이해하는 이들도 있지만 약간 다른 나무로 알려져 있다. 백단목은 나무 중심이 황토색에 가깝지만 자단은 자색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무의 특성이나 성향은 매우 비슷하다. 2. 성경 속의 백단목 솔로몬이 성전을 건축할 때 사용한 나무이다. ..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8. 27.

[성경의 식물] 박하(mint)

[성경의 식물] 박하(mint) 1. 용어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초이다. 40cm-1m까지 자란다. 헬라어는 ‘헤뒤오스몬’으로, ‘달콤한 향내’라는 뜻이다. 학명은 ‘Mentha Longifolia L.’이다. 잎에서 기름을 얻어 감기 두통 등의 의약제로 사용한다. 향이 강해 방향제나 조미료 등으로도 사용한다. 개울이나 습지에서 잘 자란다. 우리나라의 박하와 동일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민트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모습이나 특징은 비슷하다. 2. 성경 속의 박하 학자들은 유월절 식사 때 사용된 쓴 나물로 본다. 신앙적 열정을 표현할 때 ‘박하의 십일조’라고 했다. ‘근채의 십일조’도 비슷한 말이다.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8. 27.

[성경의 식물] 박달나무(birch)

[성경의 식물] 박달나무(birch) 1. 용어자작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이다. 박달나무는 참나무목 자작나무과이다. 학명은 'Betula schmidtii'이다. 가을이 아닌 겨울에 잎이 지며 넓게 퍼진 가지와 큰 키를 자랑한다. 속이 매우 조밀하고 단단하여 다듬이나 방망이로 사용된다. 방아와 절구 등도 박달나무를 사용한다. 물에 가라앉을만큼 무겁다. 떡살, 다식판, 머리빗 등을 만드는 재료이다. 단군이 신단수 아래에서 고조선을 열였다고 한다. 학자들은 신단수를 박달나무로 추측한다.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8.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