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77

[성경의 식물] 갈대(reed, rush)

[성경의 식물] 갈대(reed, rush) 발행일 2019-07-25 20:18 문서수정1차 2021-01-17 갈대는 흔하게 등장하는 식물은 아니지만 중요한 상징성을 가진 식물이다. 갈대는 대개 ‘상한 갈대’라는 표현으로 등장한다. 약하고 별 볼일 없다는 의미이다. ‘상한’이란 수식어가 붙지 않아도 갈대는 그 존재 자체가 약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갈대는 식물로의 기능뿐 아니라 측량의 도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1. 용어 갈대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갈대를 너머 포괄적 용어이다. 마치 가시가 가나나무, 떡갈나무를 의미하는 것과 비슷하다. 카네: 아라비아어 카나에서 차용된 말로 ‘창’을 뜻한다. 고대인들은 ‘카네’로 창 자루나 활, 피리 등을 만들었다. 카네는 우리가 아는 바닷가는 약한 갈대는 아니다...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1. 1. 17.

성경 속의 향 소합향

성경 속의 향 소합향 성경에서 가장 잘 알려향 향은 유향일 겁니다. 하지만 유향은 유향(乳香)으로만 존재하지 않고 다양한 다른 향과 섞여 사용됩니다. 향이 몇 곳에서 등장하지만 성막에서 사용된 특별한 향은 출애굽기 30:34-38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거룩한 향 34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소합향과 나감향과 풍자향의 향품을 가져다가 그 향품을 유향에 섞되 각기 같은 분량으로 하고 35 그것으로 향을 만들되 향 만드는 법대로 만들고 그것에 소금을 쳐서 성결하게 하고 36 그 향 얼마를 곱게 찧어 내가 너와 만날 회막 안 증거궤 앞에 두라 이 향은 너희에게 지극히 거룩하니라 37 네가 여호와를 위하여 만들 향은 거룩한 것이니 너희를 위하여는 그 방법대로 만들지 말라 38 냄새를 맡으려고 이같은 것..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11. 15.

성경 동물 돼지(pig)

성경 속의 동물 돼지 1. 개요 1) 용어 돼지는 성경에서 부정한 짐승을 대표하는 동물이다. 그럼에도 신구약을 막론하고 적지 않게 등장한다. 구약에서 사용된 돼지는 아래와 같다. 구약(히브리어) 하지르 신약(헬라어) 코이로스 후에이오스 후스 신약에서 사용된 가장 일반적인 돼지는 코이로스다. 2) 구분 하지르는 집돼지와 야생 돼지를 전체를 말한다. 돼지는 기원전 2500년 전부터 키웠다고 전해진다. 아마도 더 오래 전에 가축화되어 길러졌을 가능성이 많다. 이집트 뿐 아니라 가나안에서 사육되었다. 가나안에는 유럽멧돼지로 불리는 야생돼지가 있다. 이스라엘 전반에 걸쳐 서식했다고 한다. 코이로스는 후에이오스는 돼지 또는 돼지고기를 뜻한다. 후스는 암퇘지만을 말한다. 2. 성경 속의 돼지 돼지는 성경에서 가장 부..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10. 31.

성경 속의 동물, 벌,말벌(Bee, hornet, wasp)

성경 속의 동물, 벌, 말벌(Bee, hornet, wasp) 1. 개요와 용어 성경에서 벌은 일반 벌과 말벌 종류가 언급된다. 하나님의 심판의 도구로서 등장하며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역할을 한다. 벌의 히브리어는 치르아이다. 출 23:28, 수 24:12에서 사용된다. 스펙스라는 헬라어는 외경인 지혜서에 한 번(지혜 12:8) 등장한다. 스펙스는 히브리어 치르아를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 즉 두 종류의 벌이 아닌 한 종류의 벌이며, 다른 언어로 기록된 것이다. 꿀벌인 데보라는 신 1:44, 수 14:8, 시 118:12, 사 7:18에 등장한다. 말벌은 영어로 두 가지로 번역된다. 하나는 작은 말벌인 wasp이고, 다른 하나는 큰 말벌인 hornet이다. 학자들은 성경에 등장하는 말은 큰 말벌인 horn..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10. 18.

[성경 속 식물] 아마포(베옷, 리넨Linen), 아마포옷, 세마포)

[성경 속 식물] 아마포(베옷, 리넨Linen), 아마포옷, 세마포) 리넨, 베옷, 세마포 성경에서 베옷은 귀족이나 부유한 사람들이 입었던 옷이다. 제사장의 고의(속바지)나 에봇에 들어간다. 성경은 성도들이 세마포옷을 입는다고 말한다. 세마포는 아마 섬유로 짠 베다. 성경 안에서 세마포로 번역하였다. 세마포는 가는 베로 일반인들을 입을 수 없는 고가의 천이었다. 애굽의 총리가 된 요셉은 세마포 옷을 입었다.(창 41:42) 애굽의 주요 수출품이었다.(겔 27:7) 제사장들의 의복에 사용되었다. 가는 베로는 제사장들의 속옷을 만들고 세마포로는 두건과 빛난 관을 만들고 고의를 만들었다. 성막의 울타리를 만드는 재료이기도 하다.(출 27:9) 신약에서는 시체를 쌀 사용했다.(마 27:59) 세마포가 상징적으로..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8. 7.

[성경 속 식물] 바카나무, 발삼나무, 뽕나무

[성경 속 식물] 바카나무, 발삼나무, 뽕나무 바카 나무는 약간 모호하다. 일단 성경은 '바카'를 눈물로 번역하여 '바카의 골짜기'를 눈물의 골짜기'로 번역한다. 이것은 바카를 눈물로 번역한 70역의 번역을 이는 것이다. 시편 84:6 그들이 눈물 골짜기로 지나갈 때에 그 곳에 많은 샘이 있을 것이며 이른 비가 복을 채워 주나이다 영어는 발삼나무로 나무로 번역한다. 발삼나무는 전무의 일종이다. 그런데 바카를 삼하에서는 뽕나무로 번역하여 오해의 소지를 일으킨다. [삼하 5:23-24] 23 다윗이 여호와께 여쭈니 이르시되 올라가지 말고 그들 뒤로 돌아서 뽕나무 수풀 맞은편에서 그들을 기습하되 24 뽕나무 꼭대기에서 걸음 걷는 소리가 들리거든 곧 공격하라 그 때에 여호와가 너보다 앞서 나아가서 블레셋 군대를..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5. 20.

[성경 동물] 사슴(deer)

[성경 동물] 사슴(deer) 1. 개요 히브리어로 ‘아얄’이다. ‘아얄라’ 또는 ‘아엘레트’도 불리기도 한다. ‘야흐무르’라는 단어는 숫노루로 번역하기도 하지만 아직 논쟁이 많은 용어다. 아얄은 사슴 또는 수사슴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아랼라’와 ‘아엘레트’는 ‘아얄’의 여성형으로 암사슴을 말한다. 팔레스타인에는 세 종류의 사슴이 발견된다. 다마사슴(fallow deer, Dama dama) 붉은 사슴(red deer, Cervus elaphus) 노루(roe deer, Capreolus capreolus) 붉은 사슴은 출애굽 이전 시대에 사라졌다. 노루는 깊은 계곡에 살았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는 보기힘들었다. 일반인들이 가장 보기 쉬웠던 사슴은 다마사슴이었을 것이다. 다마사슴은 야생에서도 자라고, 사..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26.

박쥐(bat)

성경의 동물 박쥐(bat)일반적 박쥐 개념박쥐의 다른 이름은 편복(蝙蝠), 복익(伏翼), 선서(仙鼠), 천서(天鼠)이다. 박쥐는 시력이 매우 약해 잘 보지 못한다. 그런데도 어둠 속을 빠르고 쉽게 날아다닌다. 시력대신 초음파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장애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먹이를 위치를 감지해 사냥한다. 그러나 과일박쥐로 분류되는 박쥐는 반향정위 능력이 없고, 시력과 청력을 이용한다. 그리고 낮에 움직인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박쥐와는 사뭇 다르다. 얼굴은 여우와 닮아 날여우(flying fox)라고 부른다. 과일박쥐는 날개가 30cm 이상이다. 황금볏과일박쥐의 경우는 너비가 150-170cm에 달해 성인의 신장과 같다. 과일을 먹고 살지만 질병을 옮기기 때문에 극히 조심해야 한다. 가끔 사람들 앞에 ..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26.

[성경의 동물] 나귀(donkey) 당나귀(ass)

[성경의 동물] 나귀(donkey) 당나귀(ass)성경에서 나귀와 당나귀를 엄격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동일한 동물로 보는 듯 하다. 하브리어는 오톤, 하모르, 아이르, 헬라어로는 오노스, 오나리온, 폴로스, 호포주기온 등으로 번역된다. 폴로스와 후포주기온 외 다른 단어들은 모두 길들인 나귀 에쿠우스 아시누스를 뜻한다. 하모르와 오노스는 나귀를 통칭한다. 이에 반해 아톤(여성형)은 특별히 사람이 타고 나니는 나귀를 가르킨다. 당시 사람이 타는 나귀는 숫컷이 아닌 힘센 암컷이기 때문이다 수컷은 제어하기 상당히 힘들다. 아이르라는 히브리어 단어는 어린 수나귀를 말하며 제어하기 힘들다는 뜻을 지녔다. 강하고 정력이 넘치기 때문에 사람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길들여질 수 없는 야성의 존재란 뜻이다. 그러나 사..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26.

[성경의 동물] 거머리(Leech)

[성경의 동물] 거머리(Leech)거머리는 히브리어 ‘알루카’이며 잠언 30:15에서 단 한 번 등장한다. 알루카는 ‘달라붙다’ 또는 ‘빨아 먹다’는 뜻에서 온 단어이다.거머리는 환영동물로 3-4cm이다. 더 긴 것은 10cm 되는 것도 있다. 거머리강에 속한다. 물 속에 사는 벌레이며, 시내나 강, 웅덩이 등 다양한 곳에서 서식한다. 물이 없는 쓰레기더미 속에서도 발견된다. 물론 물속의 거미리와는 종이 약간 다르다.거머리는 압착식 입을 가지고 있으며, 입에서 상처를 낸 후 상처를 통해 피를 게걸스럽게 빨아 먹는다. 피를 다 빨아 먹으면 몸이 통통해진다. 자신의 몸의 몇 배를 먹어 치우는 대식가이다. 손으로 떼어 내어도 잘 떨어지지 않지만 소금을 뿌리면 즉시 떨어져 나간다. 거머리를 이용해 상처를 치료하..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1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