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Book/주제별참고목록83

한국 신학 학술지

신약연구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http://www.kents.or.kr/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논문투고,학회소개,학술대회,행사안내,학회지 kents.or.kr 신약논단 한국신약회에서 발간되는 학술지 현재 회장은 차정식 교수이다. http://ntsk.org/index.php http://ntsk.org/index.php ntsk.org 신학논단 연세대대학교 신학부 중심의 신학학술지 신학사상 한국개혁신학회 신학지남 대한예수교 장로회 합동 측에서 발간하는 신학학술지이다. 한국기독교학회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9. 6. 5.

쿰란 문헌(사해사본) 관련 연구 도서 및 논문

쿰란 문헌 관련 연구 도서 및 논문 쿰란 문서에 관련된 연구논문과 도서들입니다. 쿰란 문서 또는 사해사본의 중요성은 형언하기 힘듭니다. 초대교회 시대 유대교의 정신과 신앙을 알 수 있는 중요한 문헌이기 때문입니다. 안타깝게도 현재 우리나라 신학은 제2성전기, 또는 신구약 중간기 문헌에 관심이 거의 없습니다. 종교개혁 시기이후 근현대에만 치중하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성경을 알기 위해서는 중간기 문헌을 필수적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제2성전기 문헌 중의 하나인 쿰란 문서에 대한 자료들입니다. [관련도서] 천사무엘 대한기독교서회, 2004 존 J. 콜린스 쿰란출판사, 2012 존 콜린스는 유명하죠.. 아마 제2성전기 문헌이나 묵시문헌을 공부하신다면 피할 수 없는 미국의 신학자입니다. 이 책 말고도 가..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9. 5. 30.

루터 연구를 위한 참고(추천) 도서들

루터 연구를 위한 참고(추천) 도서들 [추천도서] 루터 연구를 위한 추천도서입니다. 저의 개인적 관점에서 선정된 책입니다. 헤르만 셀더하위스 세움북스, 손호섭 옮김 국민일보에 를 기고하면서 루터에 관한 책을 찾았습니다. 그런데 의외로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종교 개혁하면 루터이지만 자세하고, 연대기적 관점에서 서술된 책을 찾았는데 거의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오직 이 책, 만은 루터의 세세하고 연대기적 흐름을 따라 작성된 것이었습니다. 물론 베이톤 것도 있고, 다른 책도 있지만 대충? 읽기는 좋았지만 세밀화는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이 책은 세밀하면서도 루터의 깊은 내면의 이야기도 잘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최고의 책으로 추천합니다. 최주훈 복있는사람, 2017 루터교 목사인 최주훈의 책입니다. 내부자..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9. 5. 11.

역사적 예수 논쟁에 관련된 도서들

역사적 예수 논쟁에 관련된 도서들 이 글은 이전에 썼던 과 많은 부분 공유합니다. 이곳에서는 역사적 예수 논쟁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책들만을 선별합니다. 출처: https://392766.tistory.com/3568[Pensées] 신이된 예수, 인간 예수, 바울신학의 새관점 연구 도서들 신이된 예수 인간 예수, 바울신학의 새관점 연구 도서들 옥성호의 를 읽고 일단 자료만 찾고 있습니다. 이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신학적.. 392766.tistory.com [이 글은 완성된 글이 아닙니다. 계속하여 수정 증보됩니다.] 역사적 예수(역사적 예수(Historical Jesus) 역사 개관 먼저 역사적 예수가 무엇일까? 제목만본다면 예수의 역사성에 대한 논의 같지만 그것과..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9. 5. 2.

전가교리 관련 연구 도서들

전가교리 관련 연구 도서들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전가 교리가 논쟁이 되고 있다. 던을 중심으로 한 '바울에 관한 새 관점' 주의자들은 전통 개혁회가 중요시 하는 칭의와 전가 교리를 도외시하거나 부정한다. 칭의 논쟁의 핵심에는 전가 교리가 자리 한다. 예를 들어 갈 2:26에서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라고 말한다. 그런데 이 구절의 헬라어는 목적이 아닌 소유격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문법적 가능성 속에서 새 관점 주의자들은 소유격으로 해석해, '그리스의 믿음'으로 보고, 개혁주의자들은 '그리스도를 믿는'으로 해석한다. 이 해석의 차이는 바울 신학을 해석하는 중요한 틀이기도 하다. 루터가 목적격으로 해석한 이후 교회는 목적격으로 해석했다. 목적격으로 해석할 경우 '그리스도를 믿는다'가 된..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9. 3. 23.

바울의 새 관점 관련 연구도서

바울의 새 관점 관련 연구도서 바울의 새 관점(New Perspective on Paul)을 지지하는 학자들스텔당(Krister Stendahl) E.P. 샌더스(E.P. sanders)제임스 던(James Dunn)헤이스(Richart B. Hays)톰 라이트(N.T Right) 새 관점을 주장하는 도서들 제임스 던 감은사 박세윤 두란노톰 라이드 에클레시아북스 E. P. 샌더스 지음 , 박규태 옮김, 알맹e 펴냄(2018)1977년에 출간된 샌더스의 도전적인 책이다. 새 관점에 스텔당에 의해 제기 되기는 했지만 샌더스가 아니었다면 활성화되지 못했을 것이다. 샌더스의 이 책은 새 관점에 불을 지핀 놀라운 책이다. 이후의 새 관점은 이 책에 대한 답이거나 계승 발전이라고 봐야 옳다.알맹e에서 도움을 주어 ..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9. 3. 4.

에라스무스의 저작 목록

에라스무스의 저작 목록 《격언집(Adagia)》에라스무스가 인문주의에 관심을 가지면서 그리스어와 라틴어로된 속담을 모아 담은 것이다.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에라스무스를 대표할만한 책이다.장님을 인도하는 장님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다.등 우리가 익히아는 이야기들이 많다. 《엔키리디온》기독교에 대한 개념을 설명한 책이다.편람, 또는 단도라는 뜻을 가짐. 《기독교 전사 필휴》 1504《기독교 군주의 교육》(1516년)《우신예찬》 1511《그리스 어 신약성경》종교개혁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 에라스무스의 최고의 공헌, 최고의 걸작이다. 비잔틴 학자들이 가져온 사본들로인해 비평학이 발달하면서 에라스무스의 특유한 관점과 예리한 분석력을 통해 완성한 대작이다.《자유 의지론》루터..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9. 2. 28.

종교개혁사 관련 연구 도서들

종교개혁사 관련 연구 도서들[이 글은 완성된 글이 아닙니다. 계속하여 수정, 보완, 증보됩니다.] 종교개혁사 연구를 위한 도서들입니다. 저의 개인적인 판단과 소견에 따른 것임을 밝힙니다. 대부분의 책들은 제목을 클릭하시면 갓피플로 연결하여 구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절판이나 재판의 경우 설명한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종교개혁사 인물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는 [종교개혁사인물]에 올려두었으니 참고 바랍니다. [종교개혁사 추천도서]-개요서황희상 흑곰북스 2016.10롤런드 베인턴 은성, 1992,11후스토 곤잘레스 은성 2012.2 -본론서디아메이트 맥클로흐 CLC 2011.11 지원용 컨콜디아사 1965,12알리스터 맥그래스 성광문화사 1991.9롤런드 베인턴 은성, 1992,11임도건 ..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9. 2. 26.

정경, 외경, 위경과 연구 도서들

정경, 외경, 위경과 연구 도서들 성경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현대교회가 사용하는 성경은 정경이라고하고, 정경에 들이 못하나 비슷한 성향을 가진 성경을 외경이라 한다. 마지막으로 위경은 외경에 들지 못하나 초대교회의 상황을 살펴 볼 수 있는 문서들을 위경이라고 한다. 이제 이 세가지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자. 정경 (正經, canon) 현대 개신교회와 가톨릭교회의 정경관은 약간 다르다. 개신교가 외경으로 취급하는 일부의 외경을 가톨릭교회는 정경으로 받는다. 여기서는 개신교 관점에서 서술한다. 정경은 헬라어 카논에서 온 것으로 영어로 Canon으로 부른다. 카논은 표준, 척도, 모델, 기준 등이란 의미를 갖는다. 바울은 갈라디아 교회에 '무릇 이 규례(κανόνι)를 행하는 자에게와'(갈 6..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9. 2. 3.

신화학, 비교종교학 학자 및 역사

신화학, 비교종교학 학자 및 역사 [신화]-서양, 유럽 신화이윤기 웅징지직하우스닐 게이먼 나무의 철학아폴로도로스 도서출판 숲찰스 스콰이어 항소자리 2009.5 -우리나라 신화신동흔 한겨레출판 2004.9 -그외신화 [신화와 이론, 가설] 삼기능 가설 12세기 스웨덴의 태피스트리.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오딘, 토르, 프레이이다. 그들은 각각 정치종교적 권력자, 군사력을 맡은 전사, 생산력을 맡은 평민을 대변한다.삼기능 가설(프랑스어: fonctions tripartites)은 인도유럽조어 사회의 종교, 신화에서 나타나는 삼신일체를 세 가지 사회계급—성직자, 전사, 평민(농·상·공업자)—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프랑스 신화학자 조르주 뒤메질이 1929년 저서 Flamen-Brahman과 Mitra-Varun..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8. 12.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