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5355

[장별설교] 데살로니가후서2장

[장별설교] 데살로니가후서2장 가르침의 전통을 지키라 데살로니가후서 2장은 재림에 대한 중요한 몇 가지 사실들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긴박한 종말론에 휩쓸려있던 데살로니가교회는 재림에 대한 적지 않은 관심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바울은 길지 않지만 중요한 몇 가지 사실을 알려 줍니다. 1-12절까지는 재림에 관한 계시이고, 13-17절까지는 재림을 기다리는 바른 성도의 삶이 무엇인지 소개합니다. 1. 1-12절 재림에 관한 사실들 2. 13-재림을 기다리는 자세 1. 1-12절 재림에 관한 사실들 ㄱ. 재림과 모임에 관해(1절) 먼저 ‘주 예수 그리스도의 강림하심’과 그 앞의 모임에 관해 생각해 봅시다. 강림과 모임이 하나로 묶여 있는 것을 볼 때 모임은 이 땅에서 교회들의 모임이 아닌 것이 확실.. 구약역사서 2020. 2. 20.

[장별설교] 데살로니가후서 1장

[장별설교] 데살로니가후서 1장 공의의 하나님 데살로니가전서는 데살로니가 교회를 향한 바울의 개인적인 친밀함을 드러낸 서신입니다. 왜 자신이 데살로니가에서 급하게 빠져 나왔는지, 왜 다시 돌아가고 싶어도 가지 못하는지를 밝혔습니다. 비록 자신은 겨우 3주 정도의 짧은 기간 동안 복음을 전했음에도 데살로니가 교회는 그 어떤 교회보다 탁월한 믿음과 성숙한 신앙의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로인해 바울은 하나님께 깊이 감사했습니다. 후반부로 넘어가면서 그리스도인들의 삶이 무엇인지 권면하며 서신을 마무리했습니다. 데살로니가후서는 전서와 그렇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좀 더 종말론적이고, 좀 더 영적인 비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3장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든 절을 합해도 47절 밖에 되지 않는 아주 작은 서.. 구약역사서 2020. 2. 20.

[장별설교] 데살로니가후서 개요

[장별설교] 데살로니가후서 개요 데살로니가전서가 바울의 개인적인 변증을 위한 목적이 강하다면 데살로니가후서는 바울의 개인적인 이야기는 잠깐 언급할 뿐입니다. 후서는 전서에서 잠깐 언급했던 종말, 즉 주의 재림에 대한 설명을 체계적이고 깊게 설명하는데 시간을 쏟습니다. 또한 잘못된 종말론으로 인해 일상을 저버린 성도들을 권면하고 바로 잡도록 지도하려는 목적이 강하게 드러납니다. 또 다른 주제는 환난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를 설명합니다. 1. 환난과 하나님의 공의 ㄱ. 그리스도 됨의 표지로서의 고난 1장에서는 환난에 대해 다룹니다. 그런데 바울은 이 환난을 거듭난 그리스도인들의 표지로서 다룹니다. 5절에서 바울은 환난을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의 표’이며,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자로 여김을 받게 하려.. 구약역사서 2020. 2. 20.

[성경의 식물] 상수리 나무(oak), 참나무, 마므레의 상수리나무

[성경의 식물] 상수리 나무(oak), 참나무, 마므레의 상수리나무 상수리 나무는 성경 안에서 독특한 의미를 갖는다. 식용과는 거의 상관이 없어 보이고, 사람들이 거주하는 장소나 모임의 장소, 또는 신적인 색채가 강한 느낌을 준다. 열매인 창솔이나 도토리는 우리나라에서는 먹을 거리지만 팔레스타인에서는 아니었던 것 같다. 성경에서 단 한 번도 언급되지 않는다. 1. 개요 상수리나무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엘론(elon)’과 ‘알론(allon)’이다. 두 단어는 교차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아 한 종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창세기 12:6에서는 ‘엘론’이 사용되었고, 창세기 35:8에서는 ‘알론’이다. 상수리 나무가 종교적 대상이었다는 점에서 ‘엘’이 신을 뜻하는 히브리어 ‘엘’(하나님으로 번역)이 아닌가 주측..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2. 18.

[성경의 신들] 하다드(god hadad)

[성경의 신들] 하다드(god hadad) 인터넷에서 하다드(god hadad)를 검색하면 적지 않은 사이트에서 바알을 보여준다. 하닷은 우가릿어이고, 아카드어로는 하다드이다. 폭과 비의 신이며 가나안에서 바알로 불린다. 테슘, 피다르, 바알스본 등으로 불린다. 가나안 바알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메소포타미아 고대 문명 속에서는 하다드는 머리에 뿔리 달린 황소 모양을 하고 있다. 황소는 하다드를 상징하는 동물이었다. 하다드는 머리에 황소와 같은 뿔이 있고, 망치(도끼)와 번개를 들고 다녔다. 그리스 신화에서 하다드는 제우스로 변이 되어 등장한다. 로마의 신 목성 주피터이다. 이집트에서는 아문(Amun)으로 불린다. 하다드에 대한 숭배는 고대 바빌로니아 (B.C 1895-1595) 시대 때부터로 보인다. 메소..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2. 17.

[성경의 신들] 모트,얌, 리워야단

[성경의 신들] 모트,얌, 리워야단 리워야단을 우상이나 괴물, 또는 신으로 여기기에는 모호함감이 없지 않다. 하지만 성경 밖에서는 확실히 신적 존재이다. 못과 얌, 또는 리워야단으로 불리는 괴물이며 신인 존재를 알아보자. 1. 명칭 얌은 영어로 Yam 또는 Yamm로 표기한다. 얌은 고대 셈어에서 바다를 뜻한다. 바다와 강, 혼돈의 신이다. 평온한 바다가 아니라 원시적 바다이며, 사람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원시 바다를 뜻한다. 얌의 또 다른 이름은 나하르(Nahar)인데 하천이란 뜻이다. 고대 세계에서 바다는 인간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미지와 두려움의 공간이자 대상이었다. 바다를 대상으로 인신제물을 드린 이유는 이러한 바다가 화를 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우리나라의 심청전에 등장하는 심청이도..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2. 16.

성경 속 나무 목록표

성경 속 나무 목록표 성경에 나오는 나무 목록표입니다. 성경에는 수많은 나무들이 등장합니다. 단순히 나무 자체만을 말하기도 하지만 다양한 상징과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나무 목록표와 포스팅된 글은 링크로 첨부합니다. 1. 야생에서 자라는 나무들 아카시아나무류 -싯딤 -조각목 가시구기자나무 -가시나무 로뎀나무 -대싸리나무 떨기나무 -가시떨기나무 레바논개잎갈나무 -백향목 392766.tistory.com/4493 [성경의 식물] 백향목(柏香木, cedar) 송백나무 [성경의 식물] 백향목(柏香木, cedar) 송백나무 1. 용어 히브리어로 ‘에레즈’이며, 학명은 ‘Cedrus libani Loudon’이다. 레바논 삼나무를 말한다. 침엽수속(屬)의 소나뭇과(科)로서 키가 40m까지 자라� 392766.ti..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2. 15.

[기독교신간] 세움북스의 신간

[기독교신간] 세움북스의 신간 불과 몇 주 전에 신간을 받았는데 또 다른 신간 소식에 상당히 놀랐다. 올인원 성경공부 시리즈로 4번째 책이다. 박동근 교수의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해설집니다. 엄밀하게는 해설집이 아니지만.... 꽤날 쓸만한 책이다. 교리 설교를 하려는 목회자들이나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 관심있는 신자들에게 기꺼이 추천한다. http://gpf.kr/739xN [갓피플몰] 올인원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mall.godpeople.com 방정열 목사의 [용서, 그 불편함에 관하여]는 주제 자체가 난해하다. 많은 부분에서 흡족하다할 수 없지만 성경 속에서 용서의 의미를 찾아 나섰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사실.. 용서라는 주제 자체가 어렵고 난해할뿐 아니라 어떤 책을 읽어도 만족.. Book 2020. 2. 14.

성경에 나오는 꽃들

성경에 나오는 꽃들 성경에 소개되는 꽃들에 대한 간략한 소개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성경의 식물] 카테고리에 소개된 곳을 살펴보기 바랍니다. 살구꽃(almond) (출 25:33) 살구로 번역되었지만 아몬드를 말한다. 한국의 복사꽃, 살구꽃 등과 비슷하다. 아몬드 꽃은 성막의 등잔의 잔 모양이다. 등잔은 등불인 동시에 나무이다. 7줄기와 7개의 꽃을 뜻한다. 빛은 곧 생명이다.(요 1:4) [성경의 식물] 감복숭아.파단행(巴旦杏 Almond) 살구나무 아몬드 샤프란, 번홍화(saffron crocus) 카르콤(아가 4:14) 샤프란은 음식물 첨가물과 염색 재료로 사용한다. 신약시대는 향수와 의약품으로 사용되었다. 백합화 (왕상 7:19, 아 2:1) 백화화로 잘못 번역된 꽃이다. 아네모네를 말한다. 주..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2. 14.

[장별설교] 데살로니가전서 2장 성도를 대하는 바울의 세 가지 비유

[장별설교] 데살로니가전서 2장 성도를 대하는 바울의 세 가지 비유 연약한 성도를 대하는 바울의 방식은 의외로 다양합니다. 원칙주의자이며 다혈질의 성향을 가진 바울이지만 성도를 대할 때는 기꺼이 자신의 모습을 내려놓습니다. 성도를 대하는 바울의 모습을 통해 현대 목회자들이 배워야할 많은 이미지가 담겨 있습니다. 1. 1-2절 복음을 전하는 방식 2. 3-16절 네 가지 비유로서의 복음 전도자 ㄱ. 3-4절 옳은 청지기 ㄴ. 5-8절 유모 ㄷ. 9-12절 아버지 3. 13-16절 고난에 동참한 교회 4. 17-20절 데살로니가에 방문하기를 원함 1. 1-2절 복음을 전하는 방식 데살로니가 교회와 바울의 관계를 살펴보려면 사도행전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습니다. 1장에서는 명백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2장과 3장에.. 구약역사서 2020. 2.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