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5355

[장별설교] 데살로니가 전서 1장 믿음의 본이 된 데살로니가교회

[장별설교] 데살로니가 전서 1장 믿음의 본인 된 데살로니가교회 1절 인삿말 2-10절 믿음의 본을 데살로니가교회 1. 1절 인삿말 바울과 실루아노, 그리고 디모데의 이름으로 문안합니다. 실루아노는 실라의 로마식 이름입니다. 2차 전도 여행 때 함께 동행 했던 세 사람의 이름이 등장합니다. 데살로니가 교회가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다고 말합니다. 2. 2-10절 믿음의 본이 된 데살로니가교회 인사를 끝낸 바울은 곧바로 데살로가교회에 대해 감사하며 기도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 이유는 데살로니가 교회가 보여준 세 가지 때문입니다. 3절에 보니, ‘믿음의 역사’와 ‘사랑의 수고’와 ‘소망의 인내’입니다. 소망의 인내에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소망’이라는 설명이 붙어 있습니다. 바.. 구약역사서 2020. 2. 13.

[장별설교] 데살로니가전서 서론 및 주제

[장별설교] 데살로니가전서 서론 및 주제 데살로니가는 현재 그리스의 항구도시의 하나로 살로니카(Salonika)로 불립니다. 아가야 지방에 그리스도와 고린도가 중심 역할을 한다면 아가야 북부에 위치한 마케도냐 지방에서 데살로니가 빌립보와 더불어 큰 도시로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도시였습니다. 고대 시대에는 주변에 온천이 많아 더메(Therme)로 불렸고, BC4세기 알렉산더 대왕의 부하인 카산더(Cassander)가 신도시를 건설하여 자신의 아내인 데살로니키(Thessalonike of Macedon)의 이름을 붙여주어 오늘날까지 그 도시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데살로니키는 유명한 알렉산더 대황의 이복 여동생이었습니다. BC 167년에는 로마가 마케도니아를 점령하였고, BC 146년 에 데살.. 구약역사서 2020. 2. 13.

데살로니가 전후서 연구를 위한 도서 목록

데살로니가 전후서 연구를 위한 도서 목록 목회신학편집부 『데살로니가 전후서어떻게 설교한 것인가』 두란노아카데미 2007(2009) 데살로니가 전후서를 전반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개론서이다. 하지만 중요한 부분을 다루고 있어서 기꺼이 추천할만한 좋은 책이다. F.F. Bruce 『WBC 데살로니가 전후서』 솔로몬 1999 내가 보기에 F.F. Bruce의 주석은 확실히 덜 학문적이다. 하지만 집요한 논쟁을 위한 연구가 아니라면 충분히 좋은 책이다. 설교 준비를 위한 도서라면 기꺼이 추천한다. [갓피플몰] 데살로니가전후서 - WBC 성경주석 45 mall.godpeople.com 마이클 홈즈 『NIV 적용주석 데살로니가전후서』 솔로몬 NIV 적용주석은 전반적으로 돈 값을 하는 책이라고 해야겠다. 미묘한 불만.. Book/주제별참고목록 2020. 2. 12.

용서 그 불편함에 관하여 / 방정열

용서 그 불편함에 관하여 방정열 세움북스 [갓피플몰] 용서, 그 불편함에 관하여 mall.godpeople.com 용서라는 말처럼 쉬운 것도 없고, 어려운 것도 없다. 또한 진정한 용서가 무엇인가에 대해 오해되는 용어도 없을 것이다. 기독교인들은 누구나 ‘용서해야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살아간다. 그 어떤 원수라도, 자신에게 해를 끼친 인간이라도 무조건 용서해야 한다고 믿는다. 그러나 그로인해 자신뿐 아니라 가족과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병들게하고 심각한 우울증에 시달리게 한다. 그렇기에 용서는 너무나 쉽지만, 동시에 너무나 어려운 것이다. 아마도 이 책도 그러한 용서가 가진 이중적 측면이 가진 성향에 대해 해법을 찾고자 저술된 것이 아니겠는가. 부제인 ‘거짓 용서에서 벗어나 성경의 바른 용서 찾아가기.. Book 2020. 2. 11.

[장별설교] 골로새서 3장 위의 것을 찾으라

[장별설교] 골로새서 3장 위의 것을 찾으라 1장은 하나님의 형상이시며 교회의 머리이신 예수님을 소개했습니다. 2장에서는 이미 받은 복음에 뿌리를 내리고 그 안에서 살아가야할 존재로서 그리스도인을 설명했습니다. 이제 3장에서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시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 합당한 삶을 살아가도록 촉구합니다. 3장은 3:1에 기록된대로 ‘위의 것을 찾으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위의 것을 찾는다는 말은 반대로 ‘땅의 것을 생각하지’(2절) 않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바울이 말하는 새 시대에 맞는 삶이란 무엇일까요? 1-4절 새 시대의 삶에 합당한 자들의 신학적 토대 5-11절 단절해야 될 옛 시대의 삶 12-17절 새 시대의 삶을 받.. 구약역사서 2020. 2. 11.

[장별설교] 골로새서2장 사기꾼을 조심하라

[장별설교] 골로새서2장 사기꾼을 조심하라 1장에서는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형상이시며, 교회의 머리임을 설명했습니다.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인류를 향한 구속 경륜을 성취하셨습니다. 바울은 하나님의 비밀인 그리스도를 위해 자신의 육체에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채우기를 마다하지 않습니다. 이제 2장으로 넘어가면서 1-5절까지 1:24에서 시작된 하나님의 비밀인 그리스도를 설명합니다. 2:6-19절에서는 그리스도를 따름에 있어서 주의해야할 것들을 소개합니다. 마치 보물섬을 찾아가기 위해 넘어야할 많은 속임수와 장애물이 있는 것처럼 하나님의 비밀이며 ‘영광의 소망’(1:27)이신 그리스도를 따르기 위해 넘어야할 장애물을 소개합니다. 마지막 20-23절은 3:5절까지 이어지는 본문은 그리스도 안에.. 구약역사서 2020. 2. 10.

[성경의 식물] 포도(grape)와 포도나무

[성경의 식물] 포도(grape)와 포도나무 성경에서 가장 중요하고 빈번하게 등장하는 나무와 열매는 포도이다. 풍요와 안식, 다산과 복을 상징한다. 때때로 하나님의 분노와 진노를 상징하기도 한다. 가나안 7대 소산물 중의 하나이며, 이스라엘을 상징할 때 주요 사용된다. 포도원은 이스라엘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이 된다. [가나안 7대 소산물] [개요] 학명은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L.)이며 포도과(Vitaceae)에 속한다. 영어로는 Grape와 Vine로 번역된다. 히브리어는 에나브( ענב) 또는 게펜(גפן) 두 가지로 불린다. 신약 성경은 암펠로(άμπελος)와 스타퓔레(σταφυλή)로 번역했다. 포도나무는 지중해 연안에서 고대로부터 자라온 식물이며,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2. 9.

[성경토픽] 마음의 할례란 무엇인가?

[성경토픽] 마음의 할례란 무엇인가? 할례를 아브라함으로부터 시작된 언약의 증표이다. 남성의 성ㄱ ㅣ의 표피를 자름으로 옛사람의 죽음과 언약 관계 안으로 들어간다는 의미를 부여한다. 그래서 할례는 그 어떤 계명보다 우선시되는 중요한 행위였다. 구약에서는 할례받음과 받지못함에 대해 무척 민감하게 반응한다. 다윗은 골리앗을 향해 할례받지 못한 백성이라고 말한다. 이처럼 할례받음은 이스라엘 백성됨의 증표였던 것이다. 할례는 육신에만 있지 않고 마음에도 존재한다. 신명기 10:16 그러므로 너희는 마음에 할례를 행하고 다시는 목을 곧게 하지 말라 신명기 30:6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마음과 네 자손의 마음에 할례를 베푸사 너로 마음을 다하며 뜻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게 하사 너로 생명을 얻게 하..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0. 2. 9.

[장별설교] 골로새서 1장 화평케 하시는 그리스도

[장별설교] 골로새서 1장 화평케 하시는 그리스도 1장은 인사와 기도로 시작합니다. 바울은 곧바로 하나님의 형상이시며 교회의 머리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소개합니다. 세 번째 부분에서 교회를 향한 바울의 사역을 소개합니다. 1. 1-8절 인사와 감사 2. 9-23절 하나님의 형상이시며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 3. 24-29절 교회를 위한 바울의 수고 1. 1-8절 인사와 감사 바울은 다른 서신서와 동일하게 하나님의 뜻으로 사도가 된 것을 소개하고 디모데와 함께 골로새 교회에 안부를 전합니다. 다른 서신서에서 보이지 않는 ‘그리스도 안에서 신실한 형제들’이 보입니다. 뒷 부분은 동일하게 하나님으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임하기를 축원합니다. 바울은 골로새 교회를 생각하며 감사했음을 고백하며 그 이유를 밝힙니다. .. 구약역사서 2020. 2. 9.

신약 속의 '하나님의 아들'

신약 속의 '하나님의 아들' 신약 속에 등장하는 '하나님의 아들'의 표현들이다. 대부분 타인에 의해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고백하거나 표현한다. 그러나 요한계시록 2:18절에서 자신을 '하나님의 아들'로 소개한다. 마태복음 4:3 시험하는 자가 예수께 나아와서 이르되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명하여 이 돌들로 떡덩이가 되게 하라 마태복음 5:9 화평하게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 마태복음 8:29 이에 그들이 소리 질러 이르되 하나님의 아들이여 우리가 당신과 무슨 상관이 있나이까 때가 이르기 전에 우리를 괴롭게 하려고 여기 오셨나이까 하더니 마태복음 14:33 배에 있는 사람들이 예수께 절하며 이르되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로소이다 하더라 마태복음 26:6.. BIble Note 2020. 2. 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