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523

[기독교영문고전읽기] 존 버니언의 <천로역정>

[기독교 고전 다시 읽기]천로역정: 고난을 통해 빚어진 영롱한 영혼의 진주Pilgrim Progress존 버니언 조개가 일부러 진주를 품지는 않는다. 그러나 우연찮게 굴어 들어온 작은 모래 한 알이 진주를 만든다. 아픔을 주는 모래를 뱉어 내려고 발버둥치지만 결코 나가지 않는다. 인고의 세월이 흐른 뒤 영롱한 빛을 발하는 진주가 탄생한다. 상처와 허물로 인해 아픔을 당하지만 그 상처에서 영혼의 향수가 품어져 나온다. 예수님은 의도적으로 상처를 받기 위해 이 땅에 오셨다. 스스로 버림받고 고통 당하셨다. 우리는 예수님을 사랑하지만 상처 받고 싶어 하지 않는다. 그래서 주님은 고통이란 선물을 우리에게 주신다.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발버둥 치며 살아간다. 시간이 흐르면서 더 깊은 생명과 은혜를 발견하고 아픔.. Book/[서평과 기고글] 2017. 8. 29.

[기독교영문고전읽기] 다니엘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의 모험」

[기독교 고전 다시 읽기] 다니엘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의 모험」 서구 문화는 기독교와 떼려야 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영미 문학이나 고전에는 기독교와 신앙의 흔적을 무수하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보석 같은 그 이야기들을, 숨은 그림을 찾듯 정현욱 목사님과 함께 캐내어 봅시다. -편집자 주 책을 읽다 보면 한 문장 때문에 전율할 때가 있다. 전에 고(故) 박완서 작가의 이란 책을 읽다가 그런 문장을 발견했다. “아무리 어두운 기억도 세월이 연마한 고통에는 광채가 따르는 법이다.” 책이 어떤 내용이었는지 직접 꺼내 보지 않으면 기억도 흐릿하다. 그런데도 이 문장 하나만은 마음에 새겨져 있고, 마음 속에 꾹꾹 눌러 놓았다. 고난과 상처가 아프지만은 않다는 사실에 위로를 받은 깨달음.. Book/[서평과 기고글] 2017. 8. 29.

하나님께 소리치고 싶을 때 : 욥기

하나님께 소리치고 싶을 때 : 욥기 크레이그 바르톨로뮤 / 송동민 옮김 / 이레서원 “불교는 인과론입니다.” 1991년 뉴욕에서 있었던 달라이 라마의 강연의 한 부분이다. 한 시간 넘게 이어진 그의 강연에서 기억나는 단 하나의 문장이다. 그는 인과론을 통해 환생과 전생의 업 등을 설명해 나갔다. 그의 주장은 과학적으로 밝힐 수 없으나 종교적 상상력으로는 논리적 타당성을 갖는다. 불교도들이 이야기하는 ‘전생’은 허무맹랑한 이야기는 아닌 것이다. 인과론에 근거한 불교는 철저하게 과거 또는 전생에 종속된 종교이다. 현재의 삶은 전쟁에 어떤 삶을 살았느냐에 따라 변화가 거의 불가능한 필연적 운명을 갖는다. 즉 전생에 어떠한 삶을 살았느냐에 따라 현생이 결정되고, 현생에서 어떠한 삶을 사느냐는 곧 후생이 결정된다.. Book/[서평과 기고글] 2017. 8. 29.

오스왈드 챔버스의 거룩과 성화 / 오스왈드 챔버스 / 스데반 황 옮김 / 토기장이

오스왈드 챔버스의 거룩과 성화오스왈드 챔버스 / 스데반 황 옮김 / 토기장이 하나님을 믿고 거듭난 사람을 ‘그리스도인’ 또는 ‘성도’라고 부릅니다. 성도(聖徒)의 뜻은 ‘거룩한 무리’란 뜻입니다. 한자로 풀이해 보면 재미있는 내용을 발견합니다. 성스러울 성(聖)은 '한 방면에 더할 수 없이 뛰어난 사람'이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리 도(徒)에는 '걷다'와 '보병'이란 뜻도 포함합니다. 두 가지의 뜻을 합해보면 ‘한 방면에 탁월함을 가진 사람이 계속하여 자기의 길을 가다’는 뜻이 됩니다. 누가 그리스도인을 향해 성도(聖徒)라는 한자어를 채용했는지 모르겠지만 멋진 표현입니다. 성도를 좀 더 줄여 표현하자면 ‘거룩한 사람들의 살아감’이 될 것입니다.오늘의 주제는 성화(Sanctification)입니다. 조.. Book/[서평과 기고글] 2017. 8. 29.

먼저 기도하라 / 조지 뮬러 / 유재덕 옮김 / 샘솟는기쁨

먼저 기도하라조지 뮬러 / 유재덕 옮김 / 샘솟는기쁨 기도! 그리스도인이라면 피할 수 없는 의무이자 특권입니다. 칼빈은 종교개혁 신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기독교 강요에서 기도를 이렇게 말했습니다. “기도는 믿음의 최상의 실천이며 우리는 이것을 통해 날마다 하나님의 은혜를 받는다.” 어떤가요? 저는 이 정의를 읽는 순간 기도가 왜 중요한지 조금 이해가 됩니다. 말을 조금 바꾸면 기도와 믿음은 정비례합니다. 그리스도인은 기도의 사람입니다. 기도 없는 실천은 잘못된 길로 빠지고, 실천 없는 기도는 우상숭배가 될 수 있습니다. 기도와 삶은 한 몸처럼 함께 가야 합니다. 그래서 일까요? 우리는 기도와 실천을 통해 하나님 앞에 영광의 삶을 살았던 조지 뮬러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조지 뮬러는 우리가 알듯 5만 .. Book/[서평과 기고글] 2017. 8. 29.

로고스 씨와 연애하기 /이상예 / 세움북스

로고스 씨와 연애하기 이상예 / 세움북스 성경 묵상, 이제 꽤 익숙한 단어가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묵상은 조용히 깊이 생각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이지만 성경에서는 묵상을 ‘되뇌다’, ‘반복하여 중얼거리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복하여 생각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알고 있는 묵상과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다만, 우리가 생각하는 묵상은 생각에 집중되어 있다면 구약의 ‘하가’라는 묵상은 몸과 마음이 함께 생각하고 체득한다는 의미로 받아 들여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묵상은 왜 해야 할까요? 묵상과 비교할만한 것이 성경을 통독하는 것입니다. 성경 통독은 성경전체를 통으로 읽어 나가는 것이고, 묵상은 성경의 일부분을 집중적으로 생각하고 고민하고 공부하는 것입니다. 독서에도 많은 책을 읽는.. Book/[서평과 기고글] 2017. 8. 29.

오감으로 성경 읽기

오감으로 성경 읽기김동문 / 포이에마 기고할 서평을 쓰려고 손가락에서 불이 나도록 글을 쓰고 있는데 신리교회 목사님께서 전화를 주셨습니다. 오늘 동지(冬至)날인데 팥죽 먹으로 가자고. 야호! 이런 횡재가 있나? 이런 시골에서 점심을 같이 먹을 수 있는 동지(?)가 있다니요. 감사드립니다. 커피는 제가 산다고 아무리 기를 써도 통하지가 않습니다. 팥죽 두 그릇까지 포장해 주셨습니다. 이걸 어찌해야하나? 자꾸 빚만 늘어갑니다. 그런데 말 나온김에 하나만 더 얻겠습니다. 20년 전에 부산에서 하숙할 때 권사님이 동지라며 팥죽을 해주며 악귀를 쫒는다며 먹으라 했습니다. 어차피 예수님의 피도 빨간색이고 팥죽도 빨간색이니 도진개진이라며.(도진개진의 순 우리말은 도긴개긴이며 도찐깨찐으로 읽는다. 이건 순전히 개콘탓이.. Book/[서평과 기고글] 2017. 8. 29.

[나의 선생님들]

나의 선생님들2017년 8월 26일.그녀는 명강사두말하면 잔소리다. 거두절미하고 그녀는 명강사다. 삼일 전부터 아이들에게 일본어를 가르친다. 고작 3일째인데 학교에서 두 달 이상 배울 내용을 순식간에 가르친다. 그것도 즐거운 비명과 행복한 미소, 그리고 절대 재우지 않는 독설과 함께. 자칭 일본어 중급이라 여기는 나에게... 놓은 지가 벌써 십수 년이 지나 기억이 가물가물 거리지만... 그녀는 탁월한 명강사다. 그것뿐만이 아니다. 찬주에게 가르칠 것들을 파일로 만들어 집약적으로 가르친다. 3년 배울 내용을 불과 여섯 달이면 끝낼 기세다. 그녀는 늘 내가 자신을 무시한다고 말하지만 반대다. 탁월한 아내를 둔 남편은 으레 기가 죽어 있던지, 거꾸로 허세를 부린다. 난 후자일 것이다. 그녀는 참으로 위대하다... 일상이야기 2017. 8. 26.

[주제독서] 성과 동성에 관련 서적

[주제독서] 성과 동성에 관련 서적 동성애 관련 서적들입니다. 동성애는 현재 첨예한 사상적 대립에 놓여 있습니다. 보수에서는 극단적 거부감을 나타내고, 진보에서는 인권의 문제에서 허용의 가능성을 이야기하니다. 이러한 타협할 수 없는 이야기들은 결국 반목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다양한 관점의 책들을 통해 성경이 무엇을 말하고, 그리스도인들은 어떻게 동성애를 바라보야 하는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스탠리 J. 그렌츠 새물결플러스헐무트 틸리케 새물결플러스 잭 로저스 한국기독교연구소로자리아 C. 버터필드 아바서원로자리아 C. 버터필드 아바서원케빈 드영 지평서원 2016년 5월존 스토트 홍성사 2006년 3월슘 프로젝트 한울 2010년 12월윌라드 M. 스와틀리 대장간 2014년 12월기윤실 예영커뮤니케이션 20..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7. 8. 22.

아우구스띠누스 / 어거스틴 <자유의지론>(De Libero Arbitrio)

아우구스띠누스 / 어거스틴 (De Libero Arbitrio) 자유의지론의 가장 고대문헌이다. 종교개혁시기에 루터의 으로 이어지고, 조나단 에드워즈는 를 를 논한다. 자유의지는 기독교 신학 중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자유의지는 인간에게 선택권이 있는가의 문제이긴 하지만, 불가항력적 은혜와 잇닿아 있다. 어거스틴의 은 자유의지뿐 아니라, 악의 본질과 기원, 사물의 선성, 하나님의 정의가 담겨있다. 후에 라이프니찌의 신정론의 기원이 될마한 책이다. 철학적 논의에 가깝다. 펠리기우스와의 논쟁을 위한 책으로 잘못 알고 있다. 마니교와의 악의 기원 논쟁 책이다. 어거스틴은 이 책에서 하나님은 모든 만물을 창조했다. 그러나 악은 창조하지 않았다. 그럼 악은 어디서 오는가? 인간에게서 온다고 결론 짓는다. 아우구스띠.. Book 2017. 8.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