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에세이-책에 미친 어떤 사람의 일기
독서에세이
책에 미친 어떤 사람의 일기
이번에 오수완 작가의 신간이 나왔다.(3년 전이지만 그렇게 부르고 싶다) 제목은 <책사냥꾼을 위한 안내서>다. 제목이 참 맘에 든다. 책에 관련된 소설이 몇 권 있다. 알폰스 슈바이거르트의 <책이 되어버린 남자>에서 주인공은 책을 도둑질 한다. 그리고 책이 되어 죽는다. 그 전 사람도, 그 후 사람도 동일한 운명을 살다 죽는다. 클라스 후이징의 장편소설인 <책벌레>는 사람을 죽이기까지 한다. 이름도 이상한 조란 지브코비치의 <환상의 도서관> 역시 책 때문에 이상한 세계를 살아가는 사람이야기다. 소설이지만 근대적 책 이야기를 다룬 <1417년, 근대의 탄생>이란 책도 역시 책을 위해 인생을 건 어느 광기의 사람의 모험담을 다룬다. 그 외에도 책 사냥꾼이란 제목과 비슷한 이야기를 다룬 책들은 많다. 그 책들의 한결같은 주제는 책이 현실과 비현실의 세계를 종종 바꾸어 버린다는 것이다. 책이 현실인지, 현실이 비현실인지 구분하기 힘들어 한다.
궁금한 건, 한 권의 책 때문에 살인이나 엽기적 삶이 가능한가이다. 나도 책이 미쳐 산다.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삶이 힘들다. 운전하면서도 신호에 걸리면 책을 읽는 정도로 광적이다. 그런데 살인까지 하기는 무모해 보인다. 아직 책에 완전히 미치지는 않은 것 같다. 책의 세계와 현실이 어느 정도 구분하기 때문이다. 구분하지 못할 정도가 되면 어떤 느낌일까?
앤 패디먼이 쓴 <서재 결혼 시키기>에서 저자는 ‘책에서 깨어났다’는 표현을 서두에 꺼낸다. 그녀는 말하기를 “깨어났다가 딱 맞는 말이다. 마치 심연과 같은 잠으로부터 빠져나오듯이 여러 층의 의식을 뚫고 헤엄쳐 올라오는 아이들, 뒤에 두고 온 꿈보다 오히려 더 비현실적으로 보이는 현실을 향해 간신히 눈을 껌뻑이며 책에서 깨어나는 그런 아이들이 있기 때문이다. 내가 바로 그런 아이다.” 자 어떤가. 이 글을 읽는 있는 당신은 패디먼의 말에 얼마나 공감을 하는가. 나는 70% 정도 공감된다. 그러니 아직 먼 것이다. 완전히 책의 세계에 빠져 산다면 살인도 비현실로 오해할 수도 있겠다 싶다.
그러나 많은 사람은 살인은 아니지만 모험은 충분히 가능하다. 이번에 오수완 작가의 책은 책을 찾아 떠난 모험 이야기다. 아직 읽지 않았지만 구미가 무척 당긴다. 많은 분들에게 찬사를 받을 만큼 재미와 플롯이 확실하다고 한다. 나 또한 한국사람 최초로 책 사냥에 대한 소설을 써준 작가에게 박수를 보낸다. 나도 후에 쓸지 모를 주제다. 비슷한 종류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생각한다.
책벌레들에 대한 자료들을 찾아가면서 그들만의 개성과 특징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몇 가지를 들면, 책이 손에 들려있지 않으면 불안하다는 것, 언제나 책을 들고 다는 것.―심지어 술자리에도 읽지 않지만 책을 들고 간다. 자기가 사는 주변의 서점을 잘 안다는 것, 책 때문에 부부싸움을 종종 하면서도 절대 물러서지 않는다 것 등이다. 심지어 이혼까지 하는 사람도 있다. 책과 재혼하려는가? 이건 조금 심하다.
봄이며 담쟁이가 벽을 타고 올라가면 한 여름을 지나 가을이 되면 온 벽을 덮는다. 책벌레들도 그렇다. 처음 한 두 권 산다. 수십 권이 되면 둘 자리가 마땅치 않아 책장을 산다. 수년이 지나면 수백 권 수천 권이 된다. 다시 책을 구입하지만 역부족이다. 이벽 저 벽, 안방, 부엌, 심지어 화장실까지 책으로 덮는다. 다른 가족들은 투덜거린다. 그러다 부부싸움까지 이어진다. 곧 화해하기를 밥 먹듯 한다. 키케로는 책 없는 방은 영혼 없는 육체라 했다. 독서광은 이 말을 직접 실천한다. 널따란 거실보다 책 담으로 쌓인 좁은 계단에서 쉼을 얻는다. 책에 미친 증거다.
하여튼 결론은 오수완 작가에게 고맙다는 말을 하려는 것이다. 이상!
|
'Book > 독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일기, 고전의 힘 (0) | 2013.10.02 |
---|---|
독서에세이-책으로 책을 쓰다. (0) | 2013.10.02 |
독서일기 - 이것이 아나뱁티스트다 (0) | 2013.09.21 |
독서일기 2013년 9월 17일 칼빈에게 묻고 싶다. (0) | 2013.09.17 |
독서일기 2013년 9월 13일 (0) | 2013.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