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새벽설교126

창세기 4장 강해, 살인자 가인

창세기 4장  첫 번째 살인창세기 4장은 인간의 타락 이후 세상이 어떻게 변해가는가를 보여줍니다.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기보다 뱀의 말을 듣고 손을 내밀어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를 먹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타락’이라고 말합니다. 타락 이후 아담과 하와는 영적인 죽음, 관계의 죽음, 육신의 죽음을 맞이해야 했습니다. 이제 4장에서는 죄성을 가진 자녀들을 통해 죄가 어떻게 열매 맺는가를 보여줍니다. 4장에서는 가인과 아벨의 제사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가인과 아벨의 제사에만 신경을 곤두세우지만 더 중요한 것은 제사가 어떻게 해서 드려지게 되었고, 제사를 통해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입니다. [구조 분석]1-15절 제사와 살인16-24절 가인의 그 후손들25-25절 셋과.. 모세오경강해 2025. 2. 11.

요한계시록 21장

요한계시록 21장 요약 요한계시록 21장은 새 하늘과 새 땅, 그리고 새 예루살렘의 도래를 묘사하며, 하나님의 창조가 완전하게 회복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첫 하늘과 첫 땅이 사라지고, 바다가 없어지며, 하나님이 그의 백성과 함께 거하시며 모든 눈물을 닦아주십니다. 새 예루살렘은 하나님의 영광으로 빛나며, 모든 악과 죄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는 하나님과 인간의 완전한 교제를 회복하는 영원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구조 분석새 하늘과 새 땅의 도래 (1-8절)새 예루살렘의 영광스러운 모습 (9-21절)하나님과 어린양의 영광 안에 거하는 새 창조 (22-27절) 새 하늘과 새 땅의 도래 (요한계시록 21:1-8) 1. 첫 하늘과 첫 땅의 사라짐: 하나님의 새 창조요한계시록 21장은 “새 하늘과 새 땅.. 신약서신서 2024. 12. 20.

요한계시록 20장 주해 및 강해

요한계시록 20장 요약요한계시록 20장은 천 년 왕국과 최후의 심판을 다룹니다. 천사가 사탄을 무저갱에 결박해 천 년 동안 갇히게 하며, 성도들은 그리스도와 함께 왕 노릇합니다. 천 년 후 사탄이 풀려나 마지막 반역을 꾀하지만 하나님의 불로 심판받습니다. 이어진 백보좌 심판에서는 죽은 자들이 책에 따라 심판받고, 사망과 음부가 불못에 던져집니다. 이는 하나님의 완전한 승리와 새 창조의 서막을 보여줍니다.구조 분석사탄의 결박과 천 년 왕국 (1-6절)사탄의 최후 반역과 멸망 (7-10절)백보좌 심판과 영원한 결말 (11-15절)사탄의 결박과 천 년 왕국 (요한계시록 20:1-6)1. 사탄의 결박: 하나님의 절대적 주권요한계시록 20장 1-3절은 천사가 하늘로부터 내려와 사탄을 결박하고 무저갱에 가두는 장면.. 신약서신서 2024. 12. 20.

요한계시록 6장 강해

요한계시록 6장   드디어 어린양이 두루마리의 일곱 인을 떼기 시작합니다. 6장에서는 첫 번째 인으로 시작하여 여섯째 인까지 뗍니다. 7장은 여섯째 인과 일곱째 인 사이의 막간의 시간이 주어지고 십사만 사천 명에 대한 설명이 나옵니다. 일곱째 인은 8장에서 뗍니다. 봉인되어있는 두루마리는 도대체 무엇을 상징하는 것일까요? 두루마리는 하나님의 오른손에 있고, 안팎으로 글이 써져 있으며, 일곱 인으로 봉인되어 있습니다. 오른손은 하나님의 권능가 권세를 상징하고, 안팎으로 글이 써져있다는 말은 하나님의 계획과 뜻의 두루마리에 적혀 있다는 말이며, 일곱 인으로 봉인되어 있다는 말은 완전한 봉인, 즉 인간의 어떤 지혜나 힘으로는 풀 수 없는 완전한 봉인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그 봉인을 누가 떼느냐 5:5에서 한 .. 신약서신서 2024. 12. 14.

요한계시록 13장 강해

요한계시록 13장1. 분문 읽기짐승 두 마리13:1 내가 보니 바다에서 한 짐승이 나오는데 뿔이 열이요 머리가 일곱이라 그 뿔에는 열 왕관이 있고 그 머리들에는 신성 모독 하는 이름들이 있더라13:2 내가 본 짐승은 표범과 비슷하고 그 발은 곰의 발 같고 그 입은 사자의 입 같은데 용이 자기의 능력과 보좌와 큰 권세를 그에게 주었더라13:3 그의 머리 하나가 상하여 죽게 된 것 같더니 그 죽게 되었던 상처가 나으매 온 땅이 놀랍게 여겨 짐승을 따르고13:4 용이 짐승에게 권세를 주므로 용에게 경배하며 짐승에게 경배하여 이르되 누가 이 짐승과 같으냐 누가 능히 이와 더불어 싸우리요 하더라13:5 또 짐승이 과장되고 신성 모독을 말하는 입을 받고 또 마흔두 달 동안 일할 권세를 받으니라13:6 짐승이 입을 .. 신약서신서 2024. 12. 14.

요한계시록 서론

요한계시록1장요한계시록은 편지입니다. 계시록을 읽을 때는 항상 이 부분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우리는 종종 요한계시록은 이상하고 신비로운 묵시로만 이해하려고 하지만, 잘못된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요한계시록의 목적은 고난 받는 성도들에게 위안과 소망을 주려는 목적에서 기록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요한계시록은 고난 받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위로의 편지입니다. 요한계시록의 전체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 1-8절까지는 요한계시록 전체 서론에 해당됩니다. 1:9-3:22까지는 일곱 교회에 보내는 편지로 되어 있고, 4:1-8:1까지는 천상에서 경배 받으시는 하나님과 하나님께 받은 두루마리의 일곱 인을 떼시는 어린양이 등장합니다. 8:2-11:19은 일곱 나팔, 12:1-14:20까지는 일곱 표적, 15:1-.. 신약서신서 2024. 12. 14.

[장별설교] 갈라디아서 6장 성령을 따라 사는 삶

[장별설교] 갈라디아서 6장 성령을 따라 사는 삶6장은 5:16부터 시작된 ‘성령을 따라 사는 삶’에 대한 이야기로 채워져 있습니다. 5:16에서 바울은 ‘성령을 따라 행하라’라고 권면했고, 5:25에서 다시 ‘성령으로 행하라’라고 권면합니다. Ⅰ. 성령을 따르는 삶1. 5:25-6:5 성령을 따라 행하는 삶2. 6:6-10 나누는 삶Ⅱ. 율법과 십자가3. 11-16 할례와 십자가4. 17-18 마지막 인사 1. 성령을 따르는 삶 5:25에서 바울은 ‘성령으로 살면 또한 성령으로 행하라’라고 말합니다. 난해해 보이는 이 구절의 뜻은 “‘너희들이 성령을 따라 살고 있어’라고 말한다면 성령으로 사는 삶의 열매를 드러내라”는 말입니다. 즉 마음이나 생각이 아닌 삶으로 살아 내는 것을 말합니다. 바울이 말하고 .. BIble Note/[장별요약] 2024. 11. 24.

창세기 1장 강해 창조

창세기 1장 창세기 1장은 우주의 시작과 6일 동의안이 창조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모든 만물은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창조되었습니다. 모세는 모든 만물의 기원이 하나님께 있음을 밝히는 동시에 모든 자연은 하나님의 통치 아래 있음을 밝힙니다. 주해 1-2절 창조의 처음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2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태초에'(베뢰쉬트)은 처음을 뜻합니다. 태초에는 '시작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오래전에'라는 뜻입니다. 마치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에'라는 뜻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원어를 분해하면 '베트'는 장소나 시간을 의미하고 '로쉬'는 머리, 장자, 1번을 뜻합니다. 많은 학자들은 '시간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 모세오경강해 2024. 8. 19.

시온의 산돌이신 예수 그리스도

시온의 산돌이신 예수 그리스도 [본문 읽기] 베드로전서 2:1-10벧전 2:1 그러므로 모든 악독과 모든 기만과 외식과 시기와 모든 비방하는 말을 버리고 벧전 2:2 갓난 아기들 같이 순전하고 신령한 젖을 사모하라 이는 그로 말미암아 너희로 구원에 이르도록 자라게 하려 함이라 벧전 2:3 너희가 주의 인자하심을 맛보았으면 그리하라 벧전 2:4 사람에게는 버린 바가 되었으나 하나님께는 택하심을 입은 보배로운 산 돌이신 예수께 나아가 벧전 2:5 너희도 산 돌 같이 신령한 집으로 세워지고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기쁘게 받으실 신령한 제사를 드릴 거룩한 제사장이 될지니라 벧전 2:6 성경에 기록되었으되 보라 내가 택한 보배로운 모퉁잇돌을 시온에 두노니 그를 믿는 자는 부끄러움을 당하지 아니하리라 하.. BIble Note 2024. 6. 3.

창세기 16장 하갈의 역습

창세기 16장 하갈의 역습 사라의 계획 창세기 16장의 제목은 ‘하갈의 역습(逆襲)’입니다. 21장에서 사라가 이삭을 낳기 때문에 지금은 하나님의 약속이 진행되는 과정 속에 있습니다. 그러나 약속은 받았지만, 언제 어떻게 아이를 낳는다는 보장이 없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사라는 당시에 통용되는 방법 안에서 하나님의 약속을 성취하려는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게 됩니다. 그중의 하나가 자신의 몸종이었던 하갈을 아브라함에게 주어 아이를 낳게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사라의 행동을 보면 마치 사라가 믿음이 없어서 그렇게 했다라고 단정 지어 버립니다. 이러한 판단은 너무 성급한 것이며, 창세기 관점에서 봐도 잘못된 해석입니다. 그렇다고 ‘사라가 잘했다’고 옹호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라는 당시의 상황 속에서 자기 나.. 모세오경강해 2024. 5.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