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성경의세계457

성경에서 슬픔을 표현하는 방법

성경에서 슬픔을 표현하는 방법 성경에 나타난 슬픔을 표현하는 방법을 7가지로 정리한 것입니다. 사람은 슬플 때 눈물을 흘리거나 소리내어 울거나 슬픈 노래를 보릅니다. 성경에는 이러한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나타납니다. 1. 눈물을 흘림 눈물은 슬플 때 몸이 보이는 가장 원초적이고 근본적인 발설의 표현이다. 눈물을 98% 수분으로 되어있고, 약간의 염화나트륨이라고 표현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눈물은 슬플 때뿐 아니라 기쁨이 극에 달했을 때도 나온다. 분노의 눈물도있다. 분노의 눈물은 매워서 흘리는 눈물보다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높다고 한다. 눈물을 흘리는 주요 이유는 눈을 보하려는 것과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눈물을 흘리게 되면 카테콜아민이 눈물을 통해 배출되어 마음의 안정이 온다고 한다. 눈물을 흘림으..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1. 2. 8.

[성경 토픽] 머리카락을 자름

[성경 토픽] 머리카락을 자름 머리는 모든 신체의 최상단에 자리한다. 머리를 존재를 대표한다. 머리를 가리는 것은 전체를 가리는 행위다. 특히 머리 위에 자리 잡은 머리카락은 머리를 대변하는 상징적 존재이다. 긴 머리는 아름다움과 관능의 상징이다. 머리는 보존하는 행위는 자신의 신체를 보존하는 것과 다르지 않았다. 근대화가 이루어지는 시기 정부는 삭발령을 내린다. 이러한 삭발령은 다른 나라에서도 흔하게 발견된다. 머리털은 생명과 존재의 상징이었기 때문에 함부로 자르지 않았다. 그래서 신에게 자신을 드리거나 자신의 존재가 부정될 때 슬픔의 표시로 머리카락을 잘랐다. 일종의 자기 부정이며 새로 태어남을 뜻한다. 민수기 6장의 나실인의 서원은 머리카락에 중요한 의미를 두어 서원의 시작과 끝에 머리카락을 자른다..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1. 2. 8.

성경의 신체상징, 머리카락과 털

들어가면서 머리카락과 털은 성경 안에서는 빈번하게 등장하지만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습니다. 성경을 유심히 읽어보면 고대인들에게 머리카락과 털은 상당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다윗이 암몬 왕 나하스에게 받은 은혜를 갚기 위하여 그의 아들 하눈이 왕이 되었을 때 조문단을 보냅니다. 그러나 하눈은 신하들의 고자질로 인해 조문단을 간첩이라 여기고 그들의 수염을 깎고 돌려보냅니다. 이 일로 다윗은 모욕을 당하고 전쟁이 일어나게 됩니다. 나실인이 서원할 때도 서원 기간 동안은 머리를 깎지 않음으로 하나님께 바쳐진 존재로 살아가게 됩니다. 신화와 문학 속의 머리카락 신화와 문학 속에서 머리카락은 직접적인 ?대상으로 등장하지 않지만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긴 머리는..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1. 2. 8.

성경의 그릇 용기

성경의 그릇 용기 성경에는 다양한 그릇과 용기가 등장합니다. 성경에 등장하는 용기와 그릇에 대해 정리한 것입니다. 1. 그릇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1) 그릇의 역사 최초의 그릇은 알 수 없다. 하지만 공업이 발달되지 않았을 때를 참작한다면 가장 먼저 사용된 그릇은 열매의 껍질이나 나무의 껍질 또는 나무를 속을 파서 만든 그릇일 것이다. 그 이후 토기 그릇이 등장하고, 후에 금석 종류의 그릇이 사용된다. 현대에 들어와서 그릇은 플라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재료를 통해 만들어진다. 불과 50여년 전만해도 그릇은 결코 흔한 것이 아니다. 그릇이 대중적이 된 것은 플라스틱이 개발된 이후다. 그 이전의 그릇은 상당히 귀한 것 중의 하나였다. 나무와 돌 그릇 최초의 그릇은 나무를 깍아 만들거나 박 등의 열매를 두개로 .. 성경의세계/성경의물건 2021. 2. 6.

성경지명, 가다라(Gadarenes)

가다라(Gadarenes) 가다라는 갈릴리 해변 남동부에 자리한 외진 시골 지역이다. 거라사로 불리기도 한다. 예수님께서 군대귀신들린 사람에게서 귀신을 쫓아낸 곳이다. 가다라 뜻 뜻: 성을 둘렀다 일명 거라사. 갈릴리 해 도남 6마일 지점 1,200피트 산상에 있는 마을. 가다라 개요 (1) 데가볼리의 한 마을 (마8:28) 가다라는 데가볼리 지역의 한 지역이다. 데가볼리 상부에 속하며 갈릴리와 근접해 있다. (2) 귀신을 내어 쫓아 돼지떼에게 들어가게 하신 곳. 주후 31년 대지진 때에 무너져 지금은 움 케이스라는 폐허로 그 산하에 유황성 온천이 있어 아랍인의 온천장이 되어 있다. 가다라 거라사 성경 구절 성경에 나타난 가다라와 거라사가 소개된 곳은 모두 네 곳이다. 마태복음에서는 '가다라'로 기명했고.. 성경의세계/성서지리와 자연 2021. 2. 3.

성경 결례(潔禮)란

결례(潔禮)란? 3차 전도 여행을 마치고 예루살렘에 돌아온 바울은 야고보를 만난다 .이때 야고보는 바울과 깊은 이야기를 나누며 결례를 요구한다.(행 21:24) 그런데 결례는 무엇을 말하는 걸까? τούτους παραλαβὼν ἁγνίσθητι σὺν αὐτοῖς, καὶ δαπάνησον ἐπ’ αὐτοῖς ἵνα ξυρήσονται τὴν κεφαλήν, καὶ γνώσονται πάντες ὅτι ὧν κατήχηνται περὶ σοῦ οὐδέν ἐστιν, ἀλλὰ στοιχεῖς καὶ αὐτὸς φυλάσσων τὸν νόμον. 여기서 결례로 번역된 단어는 ἁγνίσθητι이다. 뜻은 정결하게 하다.이다. 영어성경은 'be purified'로 편하게 번역했다. 모세의 율법 안에서 결례는 ..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1. 1. 27.

성경 옷을 찟는 행위 상징

옷을 찟는 행위가 상징하는 것 구약에서 옷을 찟는 행위는 슬픔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슬픔을 표현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머리에 재를 뿌리고 세마포 옷을 입기도 한다. 성전을 수리하다 율법을 발견한 요시야 왕은 율법책을 듣고 옷을 찢는다.(왕하 22:11) 슬픔의 표시요, 분노의 표시이다. 하나님 앞에서 죄를 깨닫고 회개하는 전형적인 모습이다. 요셉을 형제드로부터 살리려고 했었던 르우벤은 자리를 비운 사이에 다른 형제들이 요셉을 팔아버린 것을 알고는 자기 옷을 찢었다(창 37:29). 가나안 정복에서 아이 성을 치러 갔던 이스라엘 군사들이 패배하고 돌아오자 여호수아가 옷을 찢었다(수 7:6). 욥이 자신의 가축들은 물론 자녀들이 모두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을때 겉옷을 찢었다(욥 1:20). 엘리야가 승천하자..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1. 1. 24.

성경음식 엉긴 젓, 치즈

성경음식 엉긴 젓 치즈 1. 엉긴 젖(치즈)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 성경에서 엉긴 젓으로 번역된 것은 치즈를 말한다. 성경 시대의 치즈와 지금의 치즈는 약간 다를 수 있으나 동일한 식품이다. 가축을 길렀던 팔레스타인에서는 우유와 치즈는 매우 일반적인 음식이었다. 소나 염소, 양 등의 젖을가죽부대에 담아두면 발효되어 치즈가 된다. 치즈는 다양한 영양소가 많아 건강에도 유익하다. 2. 성경 속의 엉긴 젖 1)하나님의 복으로서의 엉긴 젓 성경에서 꿀과 엉긴 젖은 하나님의 복을 상징하기도 한다.(출 3:8, 욥 20:17) 꿀고 엉긴 젖은 종종 함께 사용되어 하나님의 복이 임하는 장면을 연출한다.(사 7:15) 2) 일반 음식으로서의 엉긴 젖 아브라함이 천사를 대접할때 '엉긴 젖'을 내 놓는다. 엉긴 젖은 손님을.. 성경의세계/성경의 음식 2021. 1. 21.

성경 여름 과일

여름 과일 성경에서 여름과일은 크게 두 가지 의미다. 하나는 수확의 기쁨, 다른 하나는 종말이다. 이스라엘은 추수를 여름에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가을의 개념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여름과일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카이츠’이다. ‘익은 열매’(렘 40:10, 암 8:1) ‘곡식의 추수나 열매의 수확(사 16:9)’ 또는 ‘여름’(잠 6:8)을 뜻하기도 한다. 여름의 히브리어는 카츠로 대부분 '여름'으로 번역되었다. 종종 여름과일과 여름이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성경에서 여름과일의 대표적 열매는 무화과이다. 무화과는 여름과일인 동시에 종말에 대한 상징으로 종종 사용된다. 팔레스타인 여름은 5-9월 경인데 우리나라는 장마와 우기인데 비해 팔레스타인은 반대로 건기이다. 즉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다.. 성경의세계/성경의 음식 2021. 1. 21.

쓴 나물(bitter herbs)

쓴 나물(bitter herbs) 이스라엘 백성들은 종종 쓴 나물을 먹는다. 가장 유명한 시기는 유월절에 먹는 쓴 나물일 것이다. 쓴 나물은 히브리어로 ‘메로로’인데 기본적인 의미는 ‘비통하다’ ‘모질다’ ‘괴롭다’ ‘쓰라리다’ ‘(맛이)쓰다’라는 마라르에서 유래했다. 쓴 나물은 정확하게 어떤 종류의 식물인지 정확하게 기술되어 있지 않다. 미쉬나에 의하면 유월절에 사용되는 쓴 나물은 다섯 가지이다. 치커리, 꽃상치, 소류쟁이, 상치, 박하 등이다. 이들은 유월절 기간이면 어린 양고기와 쓴 나물을 함께 먹었다. 쓴 나물을 먹는 이유는 애굽에서의 혹독했던 고동과 슬픔과 탄식을 기억하려는 의도이다. 이러한 의도에서 쓴 나물은 고통, 슬픔, 괴로움이라할 수 있다. 음식을 통한 기억법이다. 먹고 소화함으로 직접 .. 성경의세계/성경의 음식 2021. 1.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