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성경의세계497

[성경의 동물] 참새(sparrow)

[성경의 동물] 참새(sparrow) 1. 용어 참새는 히브리어로 칩포르이다. 헬라어로는 스토루씨온(strouthion)이다. 성경에서 참새는 23회 정도 등장한다. 히브리어로 칩포르이며, 헬라어는 스트루씨온이다. 그러나 개역개정 구약에서 참새로 번역한 횟수는 고작 3회다.(시 84:3, 102:7, 잠 26:2)이다. 신약에서는 4회 등장한다.(마 10:29, 31, 눅 12:6, 7) 스토루씨온(strouthion)는 일반 참새를 말하는 듯하며, 칩포르(tsipro)는 참새와 비슷한 크기의 새를 포괄적으로 이르는 말로 보인다. 즉 참새는 작고 가치가 낮은 새로 이해하면 될 성 싶다. 2. 참새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참새는 작은 텃새이다. 몇 종류가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발견되나 크게 다르지 않다. 우리..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12.

[성경의 동물] 갈매기(seagull, gull)

[성경의 동물] 갈매기(seagull, gull) 갈매기는 히브리어로 ‘샤아프’다. 레위기 11:16과 신 14:15에 두 번 등장한다. 샤아프는 갈매기(gull) 또는 바다갈매기(seagull)로 번역 된다. 성경은 갈매기와 바다갈매기, 작은 갈매기(little gull)를 구분하지 않고 있다. 갈매기는 현대의 갈매기뿐 아니라 그와 비슷한 새들을 통칭한 것으로 보인다. 갈매기와 비슷한 새로는 제비갈매기(tern), 제비갈매기, 도둑갈매기(skua), 사막물떼새(courser)와 슴새(shearwater)가 있다. 갈매기를 무리지어 생활한다. 바닷가와 하천 등에서 서식하며 철새는 아니지만 전 세계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아마존 강이나 나일강, 잠베지강, 갠지스강, 브라마푸트라강, 메콩강, 머리강, 미시..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12.

[성경과 신화] 인어는 여성이 아닌 남성이었다.

[성경과 신화] 인어는 여성이 아닌 남성이었다. 안데르센 때문에 인어는 공주이다. 그러니 당연히 여성으로 생각한다. 인어공주니까. 남자라면 인어왕자일 것이다. 그런데 언제부터 인어공주를 생각하면 못 이룬 사랑이나 전설, 신화, 미모의 여성 등을 생각하는 것일까? 인어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심어준 건 첫 번째가 안데르센이고 두 번째는 디즈니 영화이다. 디즈니 영화에 등장하는 인어공주는 어리고 예쁘고 긴 생머리다. 날씬하기까지 하다. 무엇하나 부족한 것이 없어 보인다. 그러한 인어공주의 인상들은 어디서부터 생겨난 것일까? 고대 사람들은 인어를 믿었을까? 아니면 안데르센에 의해 갑자기 창작된 것일까? 인어이기 전에 먼저 사람과 물고기의 반인반어의 개념으로 생각해 보자. 반은 사람이고 반은 짐승이거나 다른 동물..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4. 8.

[성경의 신들] 달의 신 난나(Nana), 수엔(Suen), 신(Sin)

[성경의 신들] 달의 신 난나(Nana), 수엔(Suen), 신(Sin) 성경 속에서 달은 중요한 상징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달의 신을 숭배했다는 이야기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달의 신은 아브라함이 갈대아 우르에서 나와 머물렀던 하란의 신이며, 바벨론의 중요한 신 중의 하나이다. 메소포타미아 문명 속에서 달의 신의 개념과 위치를 정리해보자. 달신의 수메르어는 ‘난나(Nana)’이다. 남성 신이며 아누에 이어 최고신이 된 닙푸르의 주신 엔릴의 아들이다. 우리는 대개 달신을 여성신으로 알고 있지만 이것은 후대에 신이 바뀌면서 일어난 것이며 원래는 태양은 여성신이고, 달신은 남성신이다. 수메르의 『엔릴과 닌릴』 신화의 기록에 의하면 닌릴이 닙푸르 근처 강에서 목욕을 하고 있었다. 엔릴이 목욕하는 닌릴을 ..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4. 8.

[성막의 기능과 상징] 1. 하나님의 임재로서의 성전 상징

1. 하나님의 임재로서의 성전 상징 종교 없는 민족은 없다. 아무리 과학이 발달하고 문명이 발달해도 사람들은 신을 섬긴다. 아직도 적지 않은 사람들이 곧 종교가 사라질 것이라고 장담하지만, 그런 이야기는 수천 년 전에도 했다. 그러나 종교가 사라진 시대는 단 한 번도 없다. 종교는 언제나 인간과 함께 했다. 인간이 신을 섬길 때는 언제나 신을 만나는 특별한 장소가 필요하다. 인간들은 특정한 장소에서 신을 만났다. 거대한 반석이나 나무, 강, 특이하게 생긴 구조물들이 그렇다. 사람들은 어떤 특정한 장소에서 신을 잘 만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곳에서 신과 만날 수 있는 신전을 지었다. 불교가 처음 신라에 들어왔을 때 깊은 깨달음이나 꿈을 통해 부처를 만났던 곳에 절이 세워진다. 이슬람과 기독교 등 어떤 종.. 성경의세계/성막의 기능과 상징 2020. 4. 5.

[성막의 기능과 상징] 들어가면서

성막의 기능과 상징 들어가면서 성막은 성경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주제이다. 에덴동산은 성막의 모형이자 성경 전체를 뚫는 구속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에덴동산 중앙에는 생명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가 있다.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는 그 어떤 피조물에게도 허락되지 않는 금단의 열매이다. 금지의 계명은 계명을 주신 하나님과 계명을 지켜야 하는 사람의 관계를 명징하게 보여준다. 하나님은 온 세상을 창조하실 때 성전을 형상화한 것이다. 지성소는 대제사장만 일 년에 단 한 번만 들어가는 거룩한 장소이고, 성소는 순번을 따라 제사장이 직무를 감당하기 위해 들어간다. 그에 비해 성전 뜰은 레위인들과 이스라엘 사람들이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흠있는 사람이나 부정한 사람, 이방인들은 들어갈 수 없다. 이.. 성경의세계/성막의 기능과 상징 2020. 4. 5.

[성경의 식물] 석류(pomegranate)와 석류나무

[성경의 식물] 석류(pomegranate)와 석류나무 학명은 Punica granatum L.이다. 석류는 가나안 7대 소산물 중의 하나이다. 히브리어로 림몬이다. 헬라어로 로아스코스로 번역했다. 석류나무는 고대부터 소아시아를 비롯해 아프리카까지 잘 자라는 식물이다. 건조한 지역과 다습한 곳에서도 잘 자란다. 하지만 약간 건조한 지역의 석류가 맛이 좋다. 열대와 아열대 지방에서 자란다. 석류나무는 3-5m까지 자란다. 줄기에는 가시가 있다. 꽃이 피고 주먹만한 열매가 열린다. 씨 밖에 과육으로 뒤덮여 있다. 200년 정도 산다고 한다. 석류나무가 장수의 의미를 갖는 건 오랜 수명 때문으로 보인다. 석류를 닮아 석류석으로 불리는 가넷은 1월 탄생석이다. 석류는 유대인 명절에서나 아론의 에봇에서나 가장 먼..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4.

고대근동(Ancient Near East) 또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역사 관련 도서들

고대 근동(古代近東, Ancient Near East) 또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역사 관련 도서들 구약을 좀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대 근동학을 비켜갈 수 없다. 특히 수메르 문명을 비롯하여 이집트와 그리스 신화를 불가피하게 연구하지 않을 수 없다. 고대 근동학은 종종 수메르 문명과 겹치고, 이집트와 그리스-로마 문명과 겹친다. 가장 초기의 문명은 수메르 문명에 속하며, 이집트로 확장된다. 그리스-로마 신화는 가장 후대의 것에 속한다. 고대 근동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가장 먼저는 성경 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나라와 지명들과 연관이 있기 때문이고, 구약의 수상들에 대해 바르게 이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고대 근동학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내용들은 곳에 간략하게 소개하려고 한다. 이 글에서.. 성경의세계/고대근동역사와 신화 2020. 4. 4.

고대 이집트 역사(Ancient Egypt )

고대 이집트 역사(Ancient Egypt ) 이 글은 고대 이집트 역사에 대한 간략한 글입니다. 방대한 내용이기 때문에 간랸한 내용만을 정리해 싣습니다. 글은 주기적으로 수정 보완됩니다. 스킨 특성상 출처에 대한 각주를 정확하게 기입할 수 없어 하단에 일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Ancient Egypt 고왕국 Early Dynastic Period 3150–2686 BC Old Kingdom 2686–2181 BC 1st Intermediate Period 2181–2055 BC Middle Kingdom 2055–1650 BC 2nd Intermediate Period 1650–1550 BC New Kingdom 1550–1069 BC 3rd Intermediate Period 1069–664 BC L.. 성경의세계/고대근동역사와 신화 2020. 4. 3.

발로 머리(목)를 밟는 행위

발로 머리(목)를 밟는 행위 발로 적의 머리(목)를 밟는 행위는 완전한 정복을 뜻한다. 여호수아는 정복정족을 치르고 승리한 후 적의 왕들의 목을 발로 밟는다. 이것은 완전한 승리를 말한다.(수 10장) 그 왕들을 여호수아에게로 끌어내매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모든 사람을 부르고 자기와 함께 갔던 지휘관들에게 이르되 가까이 와서 이 왕들의 목을 발로 밟으라 하매 그들이 가까이 가서 그들의 목을 밟으매 여호수아 10:24 우투헤갈이란 수메르 왕이 구티족 왕인 티리간과 그의 가족들을 사로잡고, 티리간의 목을 발로 밟는다. 이로 인해 아카드 왕국을 무너뜨린 구티족은 완전히 멸망 당한다. 발은 신체에서 가장 낮고, 머리는 가장 높다. 머리 또는 목은 신체의 상부에 속한다. 목은 머리를 받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머리..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0. 4.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