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성경의세계497

수메르(Sumer)의 역사(2) 초기 왕조시대

수메르(Sumer)의 역사(2) 초기 왕조시대 초기 왕조시대는 본격적인 청동기 시대로 막강한 권력이 지배하기 시작한다. 왕위를 세습하는 왕가의 시작도 이 때 시작된다. 이전 시대에 비해 문자가 더 보편화되고 토판등의 많은 고고학 유물들이 발굴된다. 왕이 신격화되고, 본격적인 수메르 문명이 꽃을 피운 시기다. 현재의 바그다드 남쪽에 니푸르(Nippur)라는 도시에 많은 유물이 발굴되었다. 이곳에는 당시 수메르인들이 주신으로 섬긴 엔릴(Enlil) 신전이 있다. 1900년 힐르레이트는 니푸르 유적지에서 토판을 발견했다. 그 후로 18개의 토판을 발견했는데 그곳에 수메르 초기 왕들의 기록이 있다. 홍수 이전의 통치자들 에리두 알루림(28,800년) 알랄라가르(36,000년) 등이다. 창세기 11장에 등장하는 .. 성경의세계/고대근동역사와 신화 2020. 4. 3.

수메르(Sumer)의 역사

수메르(Sumer)의 역사 역사 시간에 인류의 4대 문명을 배운다. 메소포타미아 문명, 이집트 문명, 황하문명, 이집트 문명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문명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이다. 메소포타미아는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과 그 주변을 중심으로 일어난 문명을 말한다. 비옥한 초승달 지역으로 불리는 이곳은 최초 인류가 자리 잡은 곳이며 가장 오래된 문명과 신화가 깃든 곳이다. 수메르 문명과 역사 중요한 이유는 성경 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우상들의 기원이 수메르이기 때문에, 갈대아 우르에서 아브라함이 소명을 받았기 때문이다. 수메르는 문명을 빼놓고 구약 성경을 온전히 이해하기는 불가능하다. 필자는 수메르 역사와 문명, 그리고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봄으로 구약 성경을 쉽게 하도록 돕고자 한다. 수메르 역사 개요 수.. 성경의세계/고대근동역사와 신화 2020. 4. 2.

[성경의 동물] 개미(ant)

[성경의 동물] 개미(ant) 개미는 히브리어로 '느말라'이다. 성경에서 개미는 어떤 종을 구분하여 부르지 않고 일반적인 모든 개미를 '느말라'로 부른다. 팔레스타인에도 많은 종류의 개미가 살고있지만 부지런한 개미로는 추수개미(harvester ant)가 있다. 붉은색을 띄는 개미와 검정색이 있다. 추수개미는 곡식을 수집하고 저장하는 일을 한다. 곡물과 풀을 끌어 모아 집을 짓고 수리하고, 곡물을 저장한다. 성경에서 개미는 세 번 등장한다. 세 곳 모두 잠언이다.(잠 6:6, 7, 30:25) 잠언 6:6 게으른 자여 개미에게 가서 그가 하는 것을 보고 지혜를 얻으라 잠언 6:7 개미는 두령도 없고 감독자도 없고 통치자도 없으되 잠언 30:25 곧 힘이 없는 종류로되 먹을 것을 여름에 준비하는 개미와 우..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2.

[성서지리] 길르앗 야베스

길르앗 야베스 (Jabesh-gilead) 마짝 마른 곳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길르앗 야베스는 요단강 동쪽에 해당된다. 갓 지파와 므낫세 지파에 속한다.(민 32:39-40) 좁게는 아르묵강과 얍복강 사이지만 넓게는 요단 동편 전체를 아우른다. 일반적으로 길르앗이란 표현을 더많이 사용한다. 사사 입다의 고향이다. 본토, 즉 요단 서쪽 사람들 중에서 도망간 사람들이 이곳에 숨어 산다는 전설?이 내려 온다. 에브라임 지파가 놀리자 입다가 화가나서 그들을 죽인다. 사사 시대 때 에베스 사람들이 하나님의 총회에 참석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징계를 받는다. 많은 사람들이 죽고 처년 400명은 베냐민 지파에게 주어진다.(삿 21:14) 사울이 왕 되었을 때 암몬 왕 나하스가 길르앗 야베스를 위협한다. 그 때 사울이 .. 성경의세계/성서지리와 자연 2020. 4. 1.

아카드 시대의 왕들(Kings of Akkad )

아카드 시대의 왕들(Kings of Akkad ) Sargon c. 2334–2279 BC (55 years) Rimush c. 2279–2270 BC (9 years) Manishtushu c. 2270–2255 BC (15 years) Naram-Sin c. 2254–2218 BC (36 years) Shar-Kali-Sharri c. 2217–2193 BC (24 years) [참고문헌 사이트] https://wikivisually.com/wiki/List_of_kings_of_Akkad 성경의세계/고대근동역사와 신화 2020. 4. 1.

성경 속의 꽃의 상징과 의미

성경 속의 꽃의 상징과 의미 성경에는 많은 꽃이 등장한다. 성경뿐 아니라 성경 외부 문헌에서도 꽃은 상당히 다양한 의미와 종류가 있다. 수많은 꽃이 있지만 특별히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꽃들이 있다. 불교에서 연꽃은 대우주를 뜻한다. 붉은 장미의 경우 예수님의 피를 뜻한다. 이뿐 아니라 원초적 바다로서 의미도 갖는다. 신화 속에서 꽃에서 태어난 신들이나 사람들이 있다. 이것은 기원이 신적이라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인도의 브라마, 부처가 있고, 이집트의 호루스 신들은 꽃에서 태어났다. 이제 꽃의 상징과 의미를 간략하게 살펴보자. [성경 속의 꽃의 종류] 1. 일반적인 꽃의 상징과 의미 일반적으로 꽃은 여성을 상징한다. 꽃은 꽃 여성이다. 그래서 남성의 무리 중에서 유일한 여성이 있다면 ‘꽃’이라고 표현한..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0. 3. 30.

[성경과 신화] 계절의 여신 호라이(그리스 신화)

[성경과 신화] 계절의 여신 호라이(그리스 신화) 호라이(Ὧραι)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시간의 여신이다. 계절이 규칙적으로 움직이도록 통제한다. 호라이는 제우스와 테미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계절의 질서뿐 아니라 식물이나 꽃의 생장을 주장한다. 인간사회의 질서를 맡기도 한다. 천계와 지상을 연결하는 구름의 문을 지키는 역할도 맡는다. 단수가 아닌 복수형으로 사용될 때 '그녀'는 '그녀들'이 된다. 그녀들은 아름답고 우아하여 헤라와 아프로디테의 시녀로 등장하기도 한다. 호라이에 대한 소개는 적지 않은 곳에서 다르게 등장하여 혼란을 야기시킨다. 아마도 이러한 다양성은 호라이가 특정한 신이 아닌 범신론적 성향이 짙고, 자연을 인격화 시킨 것으로 보인다. 아래는 그리스 문헌에 등장하는 호라이를 정리한 것이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3. 28.

[성경의신들] 염소의 신 판(Pan)과 사티로스(Satyr Σάτυρος)

[성경의신들] 염소의 신 판(Pan)과 사티로스(Satyr Σάτυρος) 성경 안에서 짐승이나 가축은 종종 우상숭배와 긴밀이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여로보암이 벧엘과 단에 세운 송아지가 대표적이다. 이집트의 경우는 개구리나 고양이등도 신으로 섬겼다. 오늘 소개할 우상은 염소이다. 구약 성경에서 염소가 등장하나 싶지만 실제로 레위기에 한 번 등장한다. 레위기 17:7 그들은 전에 음란하게 섬기던 숫염소에게 다시 제사하지 말 것이니라 이는 그들이 대대로 지킬 영원한 규례니라 성경에 등장하는 염소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염소 신 판(Pan)과 동일한 신은 아니지만 동일한 맥락을 가진 신으로 보인다. 우상 판은 라멕의 검은 노래와 닮은 점이 많다.[성경인물 라멕은 이글을 참고 바람] 염소는 히브리어로 사..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3. 27.

*유다(Judea) 와 유대인(Judean) - 유대인(Jew)

*유다(Judea) 와 유대인(Judean) - 유대인(Jew)원래 유다는 야곱의 아들 중 한 명입니다. 유다는 유다지파에서 왔으면 지파 이름과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한 남유다를 일컫는 지역 이름입니다. 즉 시기적으로 남왕국의 사람들을 유다인(Judahite, Judean)이라고 부릅니다. 유다지파가 대부분이었기에 유다지파 사람들이란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유대라는 단어는 바사(페르시아)가 통치할 때 갈릴리와 사마리아, 그리고 유대 지역을 분할 때 생겨납니다. 유대인(Judean)은 유대 지역에 사는 사람들, 민족을 일컫는 것입니다. 그런데 한글에서는 구분하지 않지만 유대인(Jew)이란 영어 단어가 있습니다. ‘Jew’는 로마사람들이 사용한 단어로 유대 지역뿐 아니라 디아스포라 유대인과 이방인이었지만 유대..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0. 3. 23.

[성경 지명] 벳새다(Bethsaida)

[성경 지명] 벳새다(Bethsaida) 벳새다는 갈릴리 북부에 위치하며 베드로와 안드레, 그리고 빌립(사도)의 고향이다. 성경의세계/성서지리와 자연 2020. 3.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