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성경의세계452

성경에서 '단과 브엘세바'의 의미

성경에서 '단과 브엘세바'는 어떤 의미인가? '단과 브엘세바'란?성경에서 ‘단과 브엘세바’는 이스라엘 전역을 대표하는 지리적 표현이다. 단(단 지파의 땅)은 이스라엘의 최북단에 위치하고, 브엘세바는 최남단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따라서, 이 표현은 단순한 지명 이상으로 이스라엘 전 영토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구약성경에서 여러 번 등장하여 하나님의 백성 전체를 나타내는 상징적 용도로 쓰인다. 우리나라의 한라에서 백두까지의 의미와 비슷하다 할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 표현을 통해 나라 전체를 묶어 하나로 인식했고, 이스라엘 전역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설명할 때 자연스럽게 '단에서부터 브엘세바까지'라는 말을 사용했다. 이는 단순한 지역적 개념을 넘어 하나님의 다스림이 온 이스라엘에 미친다는 의미.. 성경의세계/성서지리와 자연 2025. 2. 13.

성경에 등장하는 그리스 신들

성경에 등장하는 그리스 신들그리스 신화와 성경성경과 그리스 신화는 서로 다른 종교적·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역사적으로 고대 지중해 지역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습니다. 성경에는 직접적으로 그리스 신들의 이름이 등장하지 않지만, 그리스 신들과 관련된 개념이나 언급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스라엘이 있는 레반트 지역은 중간기 동안 강력한 헬라의 지배를 받았으면, 로마 역사 그리스의 정신을 계승 했기 때문에 신약성경에는 다분히 그리스 신화의 정신이 스며 들어 있습니다. ① 바알세불(베엘제불, Beelzebul)과 제우스(Zeus)바알세불(베엘제불, Beelzebul)은 신약성경에서 마귀(사탄)의 우두머리로 등장하는데(마태복음 12:24, 누가복음 11:15), 이는 바알(Baal) 신에서 유래한 이..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5. 2. 13.

[성경 지명] 바산(Bashan)

[성경 지명] 바산(Bashan)바산은 갈릴리 동부 평야 지역이다. 초원지대로 황소가 많이 길러 진다. 바산의 황소라는 표현이 성경에 몇 번 등장한다. 바산에서 길러진 황소는 힘이 세고 튼튼하다고 한다. 때로는 사람을 위협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바산 왕 옥을 무찌른 곳이기도 하다. 므낫세 지파가 제비 뽑아 할당된 곳이다. 바산 지역은 너른 평야 지역이기 때문에 항상 전쟁이 많은 곳이다. 요단 동편은 시리아로 들어가는 입구이자 중요한 평야지역이다. 비옥 땅 덕분에 황소가 많이 길러 졌다고 한다.(1) 땅이 비옥하여 목축에 알맞는 곳이다(시22:12, 암4:1, 신32:14).(2) 백향목이 우거진 지대이며 중심 곡창지대이다(사2:13, 겔27:6, 스11:2).(3) 바산왕 옥이 모세의 백성과 싸워 패하였.. 성경의세계/성서지리와 자연 2025. 2. 13.

그리스 신화의 신들의 특징

그리스 신화의 신들의 특징성경에 직접적을 언급되지는 않지만 깊은 영향을 미친 그리스 신화에 대한 개론적인 이야기입니다. 그리스 신화가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 다양한 신들도 알아 봅시다.서론그리스 신화는 서양 문화와 문학, 철학의 중요한 토대가 되는 신화 체계로, 다양한 신과 영웅, 괴물들의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올림포스 신들을 중심으로 한 신화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세계관과 가치관을 반영하며, 인간적인 특징을 가진 신들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스 신들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신들의 개념과 분류를 정리한 후, 주요 신들의 성격과 역할을 분석하고, 신화에서 나타나는 신들의 인간적인 모습과 그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그리스 신화 속 신들의 ..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5. 2. 13.

메소포타미아 신화, 수메르와 바벨론 신화 비교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이해아눈나키(Anunnaki)란?아눈나키(Anunnaki)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중요한 신적 존재들로, 수메르, 아카드,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신화에 등장합니다. 그들은 흔히 하늘의 신 "안(An)"과 관련된 신들로 여겨지며, "아눈나(Anunna)" 또는 "아눈나 신들"이라고도 불립니다.메소포타미아의 신들 (수메르, 아카드, 바벨론, 앗수르)아브라함이 살았던 시대와 지역은 수메르 시대를 지나 구바벨로니아 시대였습니다. 이러한 시대 속에서 성경의 초기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접근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눈나키의 기원과 역할아눈나키는 본래 수메르 신화에서 등장하며, 이후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 신화에서 더욱 발전된 개념으로 이어졌습니다. 초기 수메르 신화에서는 대지의 ..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5. 2. 12.

[신화의 세계] 메소포타미아의 신들 (수메르, 아카드, 바벨론, 앗수르)

[신화의 세계] 메소포타미아의 신들(수메르, 아카드, 바벨론, 앗수르) 수메르의 신들수메르의 신들은 기본적을 체계 또는 계급이 존재합니다. 최고신은 남무이며, 그와 동등한 신들은 하늘 여신 '안' 땅의 여신 '키' 바다의 여신 남무'가 있다. 남무는 최고의 신이자 최고의 신 계열에 속하는 묘한 신이다. 이들은 대부분 창조과 통치의 신들이다. 여기서는 1대로 소개됩니다. 2대로 넘어가면 엔키나, 엔릴, 담갈눈나, 닌순 등이 등장한다. 이들은 땅가 하늘의 의 일정 관여하고 지배하는 형태를 지닌다. 2대부터는 사람들처럼 결혼하고 아이를 낳는 과정을 통해 체계가 복잡해 진다. 이러한 개념에서 이해하면 된다.1대안(아누)(하늘의 신)+남무(지하수의 어머니) 안+키(땅의 여신)남무 : 두투르(양의 수호 여신) 엔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5. 2. 12.

[성경의 신들] 3. 아세라(Asherah) 아스다롯

[성경의 신들] 3. 아세라(Asherah) 아스다롯뜻: 바다의 여자, 또는 바다를 밟고 다니는 여자아세라 신은 한 마디로 무엇이라 표현하기 힘들 만큼 종류가 다양하다. 일단 분류 가능한 것은 먼저 여신이고, 나무 신이다. 성경에서 바알과 아세라를 짝을 이룬다. 바알신은 대체로 제단으로 존재하고, 아세라는 제단 곁을 지키는 나무 조각상이다. 바알의 아내로 나타나기도 한다. 우가릿 문서에 나온 바알 신화 속의 바알 아내는 아낫이다. 그러나 다른 곳에서 발굴되는 신화들은 엘의 아내이자 어머니인 아티랏(Athirat) 또는 티아마트와 동일시된다. 아티랏, 아세라, 아스다롯은 비슷하면서도 다른 신들이다.  먼저 성경 몇 구절을 인용하여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보자. 출애굽기  34:13 너희는 도리어 그들의 제단..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5. 2. 12.

아세라와 아스다롯은 다른 신인가?

아세라(Asherah)와 아스다롯(Ashtoreth)의 비교 연구성경에는 아세라도 나오고 아스다롯도 나옵니다. 하지만 아무리 읽어도 다른지 같은지 분간하기 힘들정도로 비슷합니다. 그래서 바알과 하다드처럼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부르는 이름이 가나안으로 오면서 이름만 다르게 부르는 것은 아닌지 헷갈리게 합니다. 그래서 그동안 여러가지 자료를 찾아 정리하다 이곳에 좀더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려고합니다. 리포트 형식으로 쓴 글을 그대로 올리는 것이 글이 조금 딱딱합니다. 귀찮아서 고치지 않고 그대로 올립니다. 결론부터 말합니다. 두 신은 같기도하고 다르기도 합니다. 이러면 더 헷갈리죠. 하여튼 그렇습니다. 아마다 수메르와 바베론으로 이어져 오면서 하늘의 여신이 땅의 여신으로, 괴물로 변형하다 가나안으로 오면서 아세..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5. 2. 12.

성경의 우상 목록표, 고대 근동의 신들

성경의 우상 목록표성경에 나타난 우상 목록표입니다. 성경 속에서 우상은 하나님을 대척하고 부인하게 합니다. 참된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이방인들은 우상을 통해 신을 만나고 찬양하고 경배할 수 있다고 생각합다. 하지만 이스라엘의 여호와 하나님은 어떤 신을 만들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없는 분이 아니십니다. 하나님은 하늘에 계시고, 초월해 계시며 거룩하신 분이십니다. 인간들은 우상을 통해 사람의 힘으로 조종하고, 거래할 수 있다고 착각하지만 하나님은 그럴 수 없는 분입니다. 우상 목록표는 지역별로 구분해 놓았지만 엄밀하게는 구분될 수 없습니다. 수메르 신화 속에 있는 우상들이 팔레스타인으로 흘러 들어와 다른 이름과 모양으로 변형되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탐무스와 바알은 전혀 다..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5. 2. 12.

[성경의 신들] 드라빔(Teraphim)

[성경의 신들] 드라빔(Teraphim)  드라빔(Teraphim)드라빔은 원어적으로 가까운 발음은 테라핌이다. 테라핌(Teraphim, תְּרָפִים)은 구약 성경에서 등장하는 우상으로, 주로 가정에서 사용되던 작은 신상(우상)입니다. 성경의 여러 본문에서 가정의 수호신, 점을 치거나 미래를 예측하는 도구, 또는 유산 상속과 관련된 신비한 상징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테라핌을 우상숭배로 간주하셨고, 이스라엘 백성이 이를 버릴 것을 명령하셨습니다. 성경 속에 등장하는 신 중에서 가장 작은 신이입니다. 하란에서 도망치던 라헬이 숨겨 갔던 신입니다. 크기는 20-50cm의 크기로 쉽게 숨길 수 있는 우상이다. 집에서 모셔 놓고 섬기는 가정신으로 모시기도 했습니다. 크것도 1m가 넘는 것이..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5. 2. 1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