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성경의세계475

하나님 상징, 토기장이이신 하나님

토기장이이신 하나님: 창조와 주권의 상징성경에서 하나님은 다양한 비유로 표현됩니다. 그중에서도 하나님을 '토기장이'로 묘사하는 것은 하나님의 창조와 주권을 강조하는 중요한 상징입니다. 토기장은 흙을 빚어 원하는 모양을 만들어가는 존재이며, 이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창조하시고 다듬으시는 방식과 유사합니다. 성경은 하나님을 토기장이로, 인간을 진흙으로 표현하며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과 인간의 의존성을 강조합니다. 본 글에서는 성경 신학적 관점에서 하나님을 토기장이로 묘사하는 구절들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깊이 묵상하고자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창조주이십니다인간은 하나님의 손에서 지어진 작품성경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흙으로 빚으시고 생기를 불어넣으셨다고 말씀합니다."여호와 하나님이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5. 3. 1.

예수님의 머리에 향유를 부인 여인은 누구인가?

향유를 부은 여인의 정체예수님의 머리에 향유를 부은 여인과 관련된 사건은 복음서에 기록되어 있지만, 이를 기록한 복음서마다 세부 사항이 조금씩 다릅니다. 향유를 부은 여인이 마리아인지 아닌지에 대한 논쟁도 존재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한 명이 아닌 두명일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한 번이 아닌 두 번 이상 향유를 부었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저의 추측입니다. 이제 복음서 기록을 비교하며 살펴보겠습니다.복음서별 향유 부은 여인의 기록 비교복음서에서 예수님께 향유를 부은 사건은 네 번 등장하는데, 특히 마태복음, 마가복음, 요한복음은 비슷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1. 마태복음 26:6-13 (익명의 여인)장소: 베다니 문둥이 시몬의 집여인: 이름이 언급되지 않음행위: 예수님의 머리에 매..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5. 3. 1.

하나님 상징, 농부이신 하나님

하나님은 농부이십니다: 경작하시는 하나님성경에서 하나님은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됩니다. 그중에서도 하나님을 ‘농부’(경작자, 농사하는 자)로 표현하는 상징은 매우 중요한 신학적 의미를 가집니다. 농부는 씨를 뿌리고, 가꾸며, 때가 되면 열매를 거두는 존재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을 심고, 돌보며, 영적인 열매를 맺게 하시는 과정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성경 신학적 관점에서 하나님이 농부로서 하시는 역할을 살펴보고, 신앙적 교훈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하나님은 씨를 뿌리시는 분이십니다하나님의 말씀과 씨앗성경에서 씨앗은 하나님의 말씀을 의미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씨 뿌리는 자의 비유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씨앗에 비유하셨습니다."씨를 뿌리는 자가 뿌리러 나가서 뿌릴새... 좋은 땅에 떨어지매..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5. 3. 1.

하나님 상징, 방패이신 하나님

하나님은 방패이십니다: 보호와 신뢰의 상징성경은 하나님을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하는데, 그중 '방패'라는 표현은 하나님의 보호하심과 신실하심을 강조하는 중요한 상징입니다. 고대 전쟁에서 방패는 필수적인 방어 도구였으며, 적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성경에서도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을 위험과 어려움 속에서 보호하신다는 의미로 방패라는 상징이 자주 사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하나님이 방패이심을 성경 신학적 관점에서 정리하고, 신앙적 의미를 깊이 묵상하고자 합니다.하나님은 우리의 보호자이십니다하나님의 방패로서의 보호성경에서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백성을 방패로 보호하시는 분으로 묘사됩니다. 시편 3:3에서 다윗은 하나님께서 자신을 보호하시는 방패이심을 고백합니다."여호와여 주는 나의 방패시요 나의 영..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5. 3. 1.

천상의 사닥다리와 하나님의 구속 역사

천상의 사닥다리와 하나님의 구속 역사하늘과 땅은 본질적으로 다른 곳입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하늘에 거하시며, 인간은 땅에 거하는 존재로 창조되었음을 말합니다. 그러나 인간은 본능적으로 하늘을 향한 갈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신앙과 철학을 통해 표현해 왔습니다. 이러한 하늘을 향한 인간의 소망은 성경에서도 여러 가지 상징으로 나타납니다. 특히 '사닥다리'라는 개념은 인간이 하늘로 나아가는 과정, 즉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성경을 비롯한 다양한 신학적 사상에서 하늘을 향한 여정이 사닥다리, 날개, 산을 오름, 불꽃 등의 상징으로 표현되었으며, 이는 모두 인간이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가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본 글에서는 성경과 기독교 신학에서 이러한 상징들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이..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5. 3. 1.

이사야 53장 사순절 4주 묵상 계획

이사야 53장 사순절 4주 묵상 계획1주차: 메시야의 고난과 사람들의 반응 (이사야 53:1-3)📖 성경 본문우리가 전한 것을 누가 믿었느냐 여호와의 팔이 누구에게 나타났느냐 그는 주 앞에서 자라나기를 연한 순 같고 마른 땅에서 나온 뿌리 같아서 고운 모양도 없고 풍채도 없은즉 우리의 보기에 흠모할 만한 아름다운 것이 없도다 그는 멸시를 받아 사람들에게 버림받았으며 간고를 많이 겪었으며 질고를 아는 자라 마치 사람들이 그에게서 얼굴을 가리는 것 같아서 멸시를 당하였고 우리도 그를 귀히 여기지 아니하였도다 (이사야 53:1-3)묵상 포인트예수님의 오심을 사람들이 믿지 않으려 했음을 기억하며, 내 안에 있는 불신앙을 점검한다.예수님의 모습이 세상의 기준으로 볼 때 화려하지 않았지만, 하나님의 계획 속에서 ..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5. 3. 1.

성경 속 가시관과 나무의 상징과 의미

가시관과 나무성경에 나오는 가시간과 나무에 대한 간략한 정리입니다. 성경구절 인용은 현재 개정개역판과 약간 다르니 반드시 성경을 인용할 때는 개정개역판과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1. 가시관의 등장가시관은 신약성경에서 예수님이 고난받으실 때 등장합니다. 마태복음 27장 29절에서 로마 군사들이 예수님을 희롱하며 그의 머리에 가시관을 씌웠습니다.“가시관을 엮어 그의 머리에 씌우고 갈대를 그의 오른손에 들리고 그 앞에 무릎을 꿇고 희롱하여 이르되 유대인의 왕이여 평안할지어다 하며” (마태복음 27:29) 이 사건은 예수님의 수난 중 중요한 장면으로, 군인들이 그를 "유대인의 왕"이라고 조롱하며 가시관을 씌운 것이 상징적입니다. 가시관은 당시 왕관의 패러디로, 예수님의 왕적 신분을 비꼬는 의미를 담고 있었습니다..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25. 3. 1.

브리스 족속에 대하여

브리스 족속에 대하여브리스 족속은 가나안 땅에 거주하던 여러 원주민 가운데 하나로, 성경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언급됩니다. 이들은 다른 가나안 족속과 함께 이스라엘과 대립하며, 하나님께서 명하신 심판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브리스 족속에 대한 성경 기록을 살펴보면, 그들이 누구였으며 어떤 삶을 살았는지, 그리고 이스라엘 역사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원어: 히브리어로 פְּרִזִּי (pᵊrizzî)스트롱 코드: H6522일반적 의미: 가나안 땅에 거주했던 민족으로, 성경에서는 주로 이스라엘이 정복해야 할 족속 중 하나로 등장합니다. 농경 사회를 이루며 성벽 없는 마을에 거주했던 것으로 보입니다.가나안 7족속은 어떤 사람들인가?브리스 족속의 ..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5. 2. 24.

성경에서 말하는 불평과 불만

성경에서 말하는 불평과 불만불평과 불만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이지만, 성경은 이러한 태도가 하나님을 신뢰하지 못하는 결과일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광야에서 하나님께 불평하다가 심판을 받았으며, 신약에서도 불평과 원망 없이 감사하는 삶을 살 것을 강조합니다. 불평은 신앙의 성장과 공동체의 화합을 해칠 수 있지만, 하나님을 신뢰하는 태도는 기쁨과 평안을 가져옵니다.이스라엘 백성의 불평과 하나님의 심판이스라엘 백성은 광야에서 하나님께 지속적으로 불평하였으며, 그 결과로 징계를 받았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불평하는 자들에게 인내하셨지만, 끝내 그들의 불신앙과 원망을 심판하셨습니다.출애굽기 16:2-3이스라엘 자손 온 회중이 그 광야에서 모세와 아론을 원망하여 이스라엘 자손이 그들에게 이르되 우리가..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5. 2. 24.

성경에서 말하는 지하세계와 지옥

성경에서 말하는 지하세계와 지옥성경에는 지하세계, 즉 죽은 자들이 가는 곳에 대한 다양한 표현이 등장합니다. 구약에서는 이를 ‘스올’(Sheol)이라 부르며, 신약에서는 ‘하데스’(Hades)와 ‘게헨나’(Gehenna) 등의 단어가 사용됩니다. 지옥은 죄인의 최종적인 형벌의 장소로 묘사되며, 영원한 고통과 심판이 있는 곳으로 설명됩니다. 반면, 하나님을 믿는 자들은 천국에서 영원한 생명을 누린다고 성경은 가르칩니다.스올(Sheol): 구약에서의 지하세계스올은 구약에서 죽은 자들이 가는 곳을 의미합니다. 의인이든 악인이든 모두 죽으면 스올로 간다고 여겨졌으며, 이는 무덤이나 사후 세계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되었습니다.창세기 37:35그의 모든 자녀가 위로하되 그가 그 위로를 받지 아니하며 이르기를 내가.. 성경의세계/성경토픽 2025. 2.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