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성경인물85

[성경 인물 연구] 아브라함(1) 갈대아 우르에서 가나안까지

[성경 인물] 아브라함의 생애(1) 히브리어 폰트는 PDF파일로 확인 가능합니다. 아브라함은 구약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의 한 명이다. 한 권의 책으로 출간해도 부족할 만큼 자료 또한 방대하다. 창세기 안에 기록된 사실을 중심으로 아브라함의 생애와 몇 가지의 교훈만을 살펴보자. 크게 세 장으로 구분하여 1.2장에서는 아브라함의 전반적인 생애를 다루고 3장에서는 아브라함의 나이에 관련된 부분을 다룬다. 1. 아브라함의 족보 아브라함은 구약과 신약에서 빠뜨릴 수 없는 믿음의 조상이다. 신약에서 예수님의 족보를 시작하는 첫 구절에서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로 소개한다. 아브라함의 원래 이름은 아브람(Abram)이다. 후에 아브라함(Abraham)로 바뀐다. 아브람( ) : 아버지는 높으시다 .. 성경인물/성경인물(구약) 2018. 4. 30.

[성경인물 연구] 노아(Noah)

[성경인물 연구] 노아(Noah) 노아는 라멕의 아들로 태어나 하나님의 계시를 받고 방주를 짓는다. 홍수로 인해 노아와 그의 가족들만 살고 모든 사람들이 죽음을 맞이 한다. 노아는 홍수 이후 여호와께 제단을 쌓고 제사를 드려 다시 축복을 받는다. 창조 이후 세계적 심판이 임할 때 홀로 살아남은 노아는 믿음의 족장이자 임박한 심판의 시대를 살아가는 성실한 그리스도인의 표본과 같은 인물이다. 1. 개요 노아 : 안식 쉼 평안 이란 뜻이다. 라멕의 아들이다. 가인의 후손인 포악한 라멕이 아닌 므두셀라의 아들 라멕이다. 가인의 후손 라멕과 이름이 동일하다. 라멕은 182세에 아들을 낳고 ‘노아’라 불렀다. 라멕은 노아의 이름을 지으면서 이렇게 말한다. 창 5:29 이름을 노아라 하여 이르되 여호와께서 땅을 저주.. 성경인물/성경인물(구약) 2018. 4. 30.

[성경인물 연구] 에녹(Enoch)

[성경인물 연구] 에녹(Enoch) 1. 개요 에녹 :가르치다 체크라는 히브리에서 왔다. 체크는 입술, 입, 입의 뿌리란 뜻을 가지고 있다. 셋의 후손이다. 가인의 아들도 동일한 에녹이나 동명이인이다. 야렛은 162세에 에녹을 낳는다. 에녹은 65세에 므두셀라를 낳는다. 므두셀라를 낳은 후 삼백년 동안 하나님과 동행했고, 죽지 않고 하늘에 올라간다. 이 땅에서 삶은 365살이 된다. 2. 생애 족보 가인의 아벨 살해 후 아담은 가인을 버리고 셋을 통해 자신을 계승한다. 4:25에서 ‘아담이 다시 자기 아내와 동침하매 그가 아들을 낳아 셋’이라고 부른다. 셋의 후손을 통해 새로운 족보가 만들어 진다. 에녹의 아들 므두셀라까지의 족보다. 아담-셋-에노스-게난-마할랄렐-야렛-에녹-므두셀라 에녹은 아담의 육대손.. 성경인물/성경인물(구약) 2018. 4. 27.

[성경인물 연구] 라멕(Lamech)

[성경인물 연구] 라멕(Lamech) 1. 개요 셋의 후손과 가인의 후손이 있지만 이곳에서 가인의 후손 라멕을 다룬다.최초의 일부다처제를 행한다.두 번째 살인자이다. 가인과 다르게 자신의 살인을 합리화하고 즐긴다.그의 죽음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2. 생애 족보 라멕( )은 가인의 후손이다. ‘강하다’ ‘파괴하다’의 뜻을 갖는다.최초의 기록 창 4:18이다. 가인의 족보 안에 있다.가인-에녹-이랏-므후야엘-므드사엘-라멕가인의 족보는 라멕에서 끊긴다. 두 아내 아다와 씰라 라멕은 두 아내를 맞이한다.(4:19) 하나는 ‘아다’이고, 다른 한 명은 ‘씰라’이다. 고든 웬함은 아다의 뜻을 '장식품' 도는 아름다운, 사랑스런'을 의미할 것이라 추측한다. 에서의 아내 한 명도 아다다(36:2) 씰라는 '그림자'인.. 성경인물/성경인물(구약) 2018. 4. 26.

[성경인물 연구] 가인(CAIN)

[성경인물 연구] 가인(CAIN) 1. 개요 아담의 첫 아들이며 농사를 짓는다. 하나님께 드린 제사가 열납되지 않자 동생 아벨을 죽인다. 자신이 살던 땅을 떠나 놋(유리하는 곳) 땅에 에녹성을 짓는다. 최초의 성, 도시의 조상이 된다.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없다. 2. 생애 가인( )은 ‘대장장이’ ‘소유’ ‘얻다’는 뜻이다. 아담의 첫 아들로 태어남 에덴동산에서 추방된 아담과 하와는 에덴의 동쪽으로 이동한다. 그곳에 정착하여 살게 된다. 다른 설명 없이 곧바로 아담은 아내 하와와 동침하고 아들을 낳는다. 하와가 아들을 낳은 다음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고 말한다. 가인의 ‘얻었다’는 뜻은 하와의 고백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성경은 곧바로 동생 아벨의 탄생의 출생과 양치기의 직업을 소개한다.. 성경인물/성경인물(구약) 2018. 4. 26.

[성경의 여성들] 성경 속 여성들(출애굽기편)

[성경의 여성들] 성경 속 여성들(출애굽기편) 십브라와 부아 산파 믿음으로 히브리 아이들을 지킨 용맹한 여인들이다. 애굽 파라오가 그들에게 남자 아이는 죽이고 여아는 살리라고 말한다.(출 1:16) 그러나 그들은 명령을 거룩하고 남자 아이들을 살린다. 출애굽기는 그녀들이 하나님을 경외 했다고 말한다.(출 1:21) 그로 인해 하나님은 그녀들을 축복하신다. 이들이 말을 듣지 않자 파라오는 모든 백성들에게 명령하여 히브리 남자 아이를 나일 강에 던지라고 말한다. 요게벳: 모세의 어머니 모세를 믿음으로 낳고 기른 여인이다. 레위지파 소속이며, 아므람의 아내이다. 성경에 딱 두 번 이름이 언급된다.(출 6:20, 민 26:59) 출애굽기는 '레위 가족 중 한 사람이 가서 레위 여자에게 장가들어'(출 2:1)라고.. 성경인물/성경인물(구약) 2018. 4. 25.

[성경인물 연구] 아담(Adam)

[성경인물 연구] 아담(Adam) 1. 이름 아담은 히브리어 아다마(흙)에서 왔습니다. 아카드에서에 아담은 피부색과 같은 ‘약간 붉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흙에서 왔으로 흙으로 돌아가라’에서 흙은 ‘아파르’다. ‘아다마’가 대지를 뜻한다면 ‘아파르’는 ‘먼지’와 같은 뜻이다. 아담이 일반 명사로 사용되면 ‘사람’이 되고, 인명으로 사용되면 사람 아담이 됩니다. 성경에서 아담은 500회 이상 사용된 보편적 용어입니다. 아담의 단어가 가지는 용법을 살피려면 몇 백 페이지 책이 필요할 것입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아담에 대한 생애와 교훈만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2. 생애 - 태어나지 아니하고 창조됨 남자이며 태어나지 않고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두 명 중 한 명입니다. 다른 한 명은 하와이며 아담의 아내입니다.. 성경인물/성경인물(구약) 2018. 4. 24.

성경의 인물 - 성경속의 2,000명이 넘는 인물수록

지금까지 나온 인물 사전 중에서 가장 탁월한 책이다. 하지만 여전히 백과사전식이기 때문에 깊지 않다. 또한 출처가 없어 왜 그런 의미인지 알 수가 없다. 학문적 가치가 없다는 것이 아쉽다. 그럼에도 인명 연구의 길라잡이로서 좋은 책이다. 성경의 인물 - 성경속의 2,000명이 넘는 인물수록 한태완 (지은이) | 좋은땅 | 2009-09-30 가나안15가룟유다 17가말리엘 21가알24가야바26가인28갈렙31갓36갓미엘39갓 선지자 41게르손43게르솜45게하시47고넬료50고라54고레스57고멜59고스비62고핫64골리앗67구산 리사다임 70그달리야 72그두라75기드온77기스82나다니엘 85나단87나답91나발94나봇98나사로101나손104나아만106나오미109나하스112나훔114납달리117노아120누가123눔바1.. 성경인물/성경인물(구약) 2018. 2. 22.

[성경의 여성들] 성경 속 여성들(창세기편)

[성경의 여성들] 성경 속 여성들(창세기편) -구약 속의 여성 [창세기의 여성들] 하와(Eve) 최초의 여자인데 남자를 죄짓게 하는 도구가 된다. 뱀의 말에 유혹되어 자신도 먹고 남편인 아담에게도 주어 먹게 한다. 에덴 동산에서 쫓겨 난다. 가인과 아벨을 낳지만 가인이 아벨을 죽여, 셋을 낳아 대를 잇는다. 바울은 하와로 인해 남자들에게 복종해야 한다고 한다 뜻:산자의 어미 아담의 아내로 온 인류의 첫 어머니이다. (1) 하나님이 아담을 만드시고 그 외로움을 달래려고 아담의 갈빗대 하나를 뽑 아서 만드심은 심오한 의미가 있다고 해석하니 만약에 두골로 만들었 다면 남자의 머리가 되려고 했을 것이다(창2:22). (2) 또 한가지 심장에 가까운 뼈로 만드심은 서로 사랑하게 하시려는 섭리인 것 이다. (3) .. 성경인물/성경인물(구약) 2018. 2. 22.

바울의 생애(3) 선교사 바울과 전도여행

바울의 생애(3) 선교사 바울과 전도여행 바울의 생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바울의 초기 3차에 걸친 전도여행을 살펴 보아야 한다. 바울의 전도 여행을 통해 소아시아(아나톨레)와 유럽가지 복음이 전파된다. 물론 바울 혼자서 유럽을 복음화 시킨 것은 아니다. 바울이 로마에 가기 전에 이미 로마에 그리스도인들이 있었다. 이것은 바울 외에도 많은 이들이 복음을 전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럼에도 바울의 전도여행을 초대교회가 어떻게 복음을 확장 시켜 나갔는가를 보여준다. 선교사 사울 그리고 1차 전도여행(행 13) 선교사로 바나바와 바울이 지명된 것은 당연하다.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은 이방선교에대한 자질이 충분하지 않았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시는 하나님이시기는 하지만, 또한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 분도 하나님이시다... 성경인물/성경인물(신약) 2015. 4. 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