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신약서신서265

[장별설교] 디도서1장 교회에 장로와 감독을 세우라

[장별설교] 디도서1장 교회에 장로와 감독을 세우라디도서는 디모데전서와 디모데후서 사이에 기록된 것으로 AD. 63-65년 경에 기록되었습니다. 내용은 디모데전서와 매우 흡사하며, 디도를 대하는 바울의 태도 역시 디모데를 대하는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디모데전서와 디도서는 쌍둥이 서신처럼 보입니다. 1:5에의하면 디도는 현재 ‘그레데’ 즉 그리스 지역에 머물고 있습니다. 그레데는 현재 크레테로 불리는 섬입니다. 지도를 보면 현재 이탈리아와 이스라엘을 직선으로 그으면 정 중앙에 그레데섬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바울은 3차 전도여행을 마치고 죄수로 잡혀 있다 로마로 끌려가게 됩니다. 그때 잠깐 머문 곳이 그레데 항구였습니다. 바울은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둔 이유를 각 성에 장로를 세우기 위함이라고 설명합.. 신약서신서 2020. 5. 14.

[장별설교] 디도서 개요

[장별설교] 디도서 개요 디도서는 사도바울이 디도에게 보내는 편지입니다. 이방인 출신인 디도를 통해 교회 사역을 감당하게 한 바울은 몇 가지 조언을 하고, 그를 만나기 위해 편지를 씁니다. 1장 요약 그레데에서 디도의 사역을 일러 준다. 그곳에서 장로들을 세워야 한다. 장로의 자격을 설명해 준다. 불송하는 자들을 엄히 꾸짖으라. 2장 요약 성도들에게 합당한 삶을 지도하도록 가르친다. 사람은 저마다 특성이 있다. 잘 살펴 깨우쳐야 한다. 무엇보다 가르치는 자가 모범을 보여야 한다. 3장 요약 선한 일에 힘써야 합니다. 신약서신서 2020. 5. 14.

제2성전기 문헌으로 읽는 로마서 / 벤 C. 블랙웰,존 K. 굿리치,제이슨 매스턴 / 이학영 옮김 / 감은사

제2성전기 문헌으로 읽는 로마서 벤 C. 블랙웰,존 K. 굿리치,제이슨 매스턴 / 이학영 옮김 / 감은사 [감은사]제2성전기 문헌으로 읽는 로마서 COUPANG www.coupang.com 제목만으로 충분히 매력적인 책이다. ‘바울에 관한 새관점’이란 주제에 조금이라도 관심을 갖거나 관련된 책을 읽어본 이들이라면 ‘제2성전기’라는 용어가 주는 긴장감을 이해할 것이다. ‘중간기 문헌’이 아닌 ‘제2성전기 문헌’은 학문적 표현에 가까우며, 신학적 관점에서 바울신학을 이해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N.T. 라이트와 제임스 던, 그리고 E.P 샌더스는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이란 폭풍의 중심에 있는 이들이다. 성경을 신성시해 왔던 한국 그리스도인들이나 보수적 관점에서 바울 신학을 설명하는 이들에게.. 신약서신서 2020. 4. 1.

[장별설교] 에베소서 5장 빛의 자녀들처럼 행하라

[장별설교] 에베소서 5장 빛의 자녀들처럼 행하라 5장은 ‘너희는 하나님을 본받는 자가 되라’고 말함으로 시작합니다. 5장의 전체적인 내용은 4:17부터 이어진 그리스도인들의 바른 삶에 대한 이야기로 채워져 있습니다. 5장에서는 탐욕을 경배하며, 5절에서 탐욕을 우상숭배자로 규정합니다. 이들은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나라에서 기업을 얻지 못하리라’고 선언합니다.(5절 하) 그럼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8절에서 ‘빛의 자녀들 처럼 행하라’고 권면합니다. 1-14절에서 바울은 빛과 어둠을 대비시킴으로 그리스도인들이 마땅해 행해야할 것이 무엇인지 말합니다. 그러므로 에베소서 5장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1-14 빛의 자녀들처럼 행하라 2. 15-21 지혜와 성령으로 살아가라 3. 2.. 신약서신서 2020. 2. 3.

[장별설교] 에베소서 4장 부르심에 합당한 삶

[장별설교] 에베소서 4장 부르심에 합당한 삶 에베소서 4장에서는 하나님의 말씀을 배워야 하는 이유와 하나님을 본 받는 삶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Ⅰ. 교회를 세우시는 주님(1-16절) 1. 부르심에 합당한 생활 바울은 먼저 부르심에 합당한 생활을 하라고 조언합니다.(1절) 먼저 ‘부르심’이 뭔가 생각해 봅시다. 부르심은 하나님께서 구원하신 목적이라고 말하면 가장 쉬울 것 같습니다. 클린턴 E. 아놀드라는 학자는 부르심을 이렇게 말합니다. “이 부르심은 하나님과 관계를 맺으라는 하나님의 초청 혹은 소환이다. 하나님은 아브라함과 이스라엘을 자기 백성이 되도록 부르신 것과 마찬가지로 계속해서 사람들이 그분과 가까이 관계를 맺도록 부르신다. 하나님의 부르심은 창세기 1장의 창조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말씀을 .. 신약서신서 2020. 2. 2.

[장별설교] 에베소서 3장 하나님의 구속경륜

[장별설교]에베소서 3장 하나님의 구속경륜 1.에베소서 3장 본문 하나님의 구원의 경륜의 비밀 에베소서 3:1 이러므로 그리스도 예수의 일로 너희 이방인을 위하여 갇힌 자 된 나 바울이 말하거니와 에베소서 3:2 너희를 위하여 내게 주신 하나님의 그 은혜의 경륜을 너희가 들었을 터이라 에베소서 3:3 곧 계시로 내게 비밀을 알게 하신 것은 내가 먼저 간단히 기록함과 같으니 에베소서 3:4 그것을 읽으면 내가 그리스도의 비밀을 깨달은 것을 너희가 알 수 있으리라 에베소서 3:5 이제 그의 거룩한 사도들과 선지자들에게 성령으로 나타내신 것 같이 다른 세대에서는 사람의 아들들에게 알리지 아니하셨으니 에베소서 3:6 이는 이방인들이 복음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께 상속자가 되고 함께 지체가 되고 함.. 신약서신서 2020. 1. 31.

[장별설교] 에베소서 2장 십자가로 화목하게 하시다

[장별설교] 에베소서 2장 십자가로 화목하게 하시다 1. 에베소서 2장 본문읽기 허물과 죄로 죽었던 너희를 살리셨다 에베소서 2:1 그는 허물과 죄로 죽었던 너희를 살리셨도다 에베소서 2:2 그 때에 너희는 그 가운데서 행하여 이 세상 풍조를 따르고 공중의 권세 잡은 자를 따랐으니 곧 지금 불순종의 아들들 가운데서 역사하는 영이라 에베소서 2:3 전에는 우리도 다 그 가운데서 우리 육체의 욕심을 따라 지내며 육체와 마음의 원하는 것을 하여 다른 이들과 같이 본질상 진노의 자녀이었더니 에베소서 2:4 긍휼이 풍성하신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신 그 큰 사랑을 인하여 에베소서 2:5 허물로 죽은 우리를 그리스도와 함께 살리셨고 (너희는 은혜로 구원을 받은 것이라) 에베소서 2:6 또 함께 일으키사 그리스도 예수.. 신약서신서 2020. 1. 31.

[장별설교] 에베소서 1장 하나님의 구속경륜

[장별설교] 에베소서 1장 하나님의 구속경륜 에베소서의 기록 시기 에베소서처럼 교회론을 명징하게 또한 은유적으로 표현한 서신서는 없는 것 같습니다. 에베소서 안에서 다양한 신학적 주제를 끌어낼 수 있지만 가장 독보적인 주제는 교회론입니다. 에베소교회는 바울의 전도여행을 통해 세워진 교회입니다. 2차 전도여행은 사도행전 15:40-18:22에 기록되어 있으며, 사도행전 18:19-21에서 에베소가 잠깐 언급됩니다. 이때가 AD 50-52년 사이였습니다. 에베소서가 기록되는 바울이 3차 전도 여행을 마치고 유대인들에게 예루살렘 성전 안에서 서원을 행하다 붙들리게 됩니다. 그후 가이샤라로 이동하여 수년을 지내고 다시 로마 감옥으로 이동합니다. 로마에 도착하여 잠깐 있는 동안의 이야기를 사도행전에서 기록하면서 .. 신약서신서 2020. 1. 31.

[장별설교] 갈라디아서 5장 예수로 충분하다!

[장별설교] 갈라디아서 5장 예수로 충분하다! 갈라디아서 5장은 선언과 명령으로 시작합니다. 선언은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자유롭게 하려고 자유를 주셨다’는 것이고, 명령은 ‘그러므로 굳게 서서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는 것입니다. 5:1은 갈라디아서의 전체 요약인 동시에 권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5장은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1. 1-12절 거짓 교사들을 배척하라 2. 13-26절 성령을 따라 행하라. 1. 1-12절 거짓 교사들을 배척하라 5:2에서 중요한 한 가지 사실이 드러납니다. 그것은 바로 할례입니다. 실제로 유대인들은 율법을 완벽하게 지키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율법의 저주에서 벗어나 아브라함의 자손인 것을 확신했던 근거는 바로 할례였습니다. 할례를 하나님께서 자녀를 약속하.. 신약서신서 2020. 1. 26.

[장별설교] 갈라디아서4장 하갈과 사라, 시내산과 예루살렘

[장별설교] 갈라디아서4장 하갈과 사라, 시내산과 예루살렘 바울은 3장에서 율법이 결코 복음을 앞설 수 없음을 아브라함과 모세의 시내산 율법을 통해 증명해 보였습니다. 3장의 결론은 율법은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거룩을 드러내는 지침이지 결코 의롭게하는 수단이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시내산 율법 이전에 이방인이었던 아브라함이 믿음을 통해 의에 이른 것처럼, 이 시대의 이방인들도 믿음으로 아브라함처럼 언약의 백성이 된다고 말합니다. 바울은 4장에서 몇 가지의 주제로 계속하여 논증합니다. 1. 1-7절 종에서 하나님의 자녀로 2. 8-11절 율법으로 돌아가려는 어리석은 갈라디아인 3. 12-20절 거짓 교사들의 열심 4. 21-31절 하갈과 사라의 비교 1. 1-7절 종에서 하나님의 자녀로 4:1-7은 구약.. 신약서신서 2020. 1.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