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일상이야기/교회교육194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위키피아의 글을 참조하여 만들어짐 피그말리온 효과는 무언가에 대한 사람의 믿음, 기대, 예측이 실제적으로 일어나는 경향을 말한다. 1964년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에 의해 실험되었다. 원래는 그 전년에 로젠탈과 포드가 대학에서 심리학 실험으로 학생들에 쥐를 통한 미로찾기 실험을 시켰다. 그 결과 쥐가 미로를 잘 빠져나오는 그룹과 그렇치 못한 그룹, 두 그룹간의 실험결과의 차이를 찾을 수 있었다. 전자는 학생들이 쥐에게 정성을 다해 키운 반면, 후자는 쥐를 소홀히 취급했다. 이는 쥐에 거는 기대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고 로젠탈은 생각했다. 이를 토대로 볼 때 "교사와 학생 간에도 이와 같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게 된다. 교육현장에서의 실험은 196..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3. 1. 10. 더보기 ›› 낙인이론(labeling theory) 낙인이론(labeling theory) 낙인이론은 사회가 어떤 구성원에게 꼬리표(낙인)을 붙이는 행위를 말한다. 긍정적인 측면이 아닌 부정적인 측면에서 행해지는 것으로, 사회적 특정 집단이나 부류에 대한 것이 많다. 낙인이론은 미국에서 레머트(E. Lemert), 메차(D. Matza) 등이 주장한 이론이다. 낙인이론의 예를 들면 어릴 때 잘못을 저지른 아이를 어른들이 볼 때마다 ‘너는 문제아야’라고 계속해서 말하면 그 아이는 자라면서 실제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아이는 주변의 사람들로부터 계속 ‘너는 문제아야’라는 이야기를 들으면 자신을 그렇게 생각해 버린다. 타인의 언어는 자신이 거울에 비추어진 것으로 이해한다. 쿨리라는 학자는 이것을 영상 자라(looking-glass self)로 표현한다. ..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3. 1. 10. 더보기 ›› 다시 십대(중고등부)로 돌아간다면 어느 설문에서 다시 십대로 돌아간다면 무엇을 하고 싶습니까를 물었다. 놀랍게도 66.9%가 공부였다. 현재 중고등부 아이들에게 무엇이 가장 싫은가를 물으면 '공부'다. 가장 하기 싫은 것이 가장 하고 싶은 것이다. 그럼 왜 공부를 하고 싶은 것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공부가 사회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몸으로 체험했기 때문이다. 다른 이유도 있다. 우리나라는 학벌 사회기 때문에 학벌이 낮으면 다른 사람들로부터 무시는 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결국 중년 이 후의 사람들이 십대로 다시 돌아간다면 '공부'를 하고 싶은 이유는 바로 이곳에 있는 것이다. 참고로 미국 같은 경우 자신의 취미를 살리고 싶다는 사람들이 훨씬 많다.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2. 12. 16. 더보기 ›› [논어] 군자의 인맥관리 [논어] 군자의 인맥관리 군자는 글로써 벗을 모은다. 논어의 안연편 마지막에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曾子曰君子(증자왈군자)는 以文會友(이문회우)하고 以友輔仁(이우보인)이니라증자가 이르기를 군자는 글로써 벗을 모으고 벗으로 어진 덕을 보필한다. 인맥관리의 대가라 할 수 있는 데일 카네기는 성공의 80%는 실력이 아니라 인맥이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인맥의 힘은 대단한다. 불가능해 보이는 것도 인맥이면 다 되는 세상이다. 서점에가면 인맥관리법에 대한 수많은 책들이 즐비하다. 성공지향적인 현대인에게 스펙은 물론이거니와 인맥 또한 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일이다. 인맥을 늘리기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힘이 되는 사람들과 줄을 놓기 위해 돈을 쓰고 식사를 하고 선물공세를 편다. 많은 시간과 물질을 인맥을 관리하는..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2. 11. 7. 더보기 ›› <공부법> 온고지신(溫故之新) 공자의 공부법온고지신(溫故之新) 옛 것을 익히어 새 것을 알면 이로써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공자의 위정편에 나오는 말이다.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온고지신 가이위사 온고는 옛 건을 배우다는 뜻이고, 지신은 새 것을 알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예것을 온전히 익힌 다음에 새로운 것을 알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고, 예것을 익히는 것이 곧 새로운 것을 아는 것이다라는 뜻도 된다. 공자의 이 말에는 중요한 의미가 담겨 있다. 그것은 옛 것을 온전히 알게 되면 새로운 것을 통찰하는 능력이 생길 것임을 말하고 있다. 이 말은 이중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하나는 먼저 옛 것을 충분히 알아야 한다는 뜻인 동시에 옛 것에 머물러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즉 옛 것을 알았으면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여 자신의 것으로 삼..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2. 11. 7. 더보기 ›› 공부잘하는 습관- 시간을 잘 활용하라. 십대에게 있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시간관리 능력이다. 시간 관리 능력이야 말로 십대의 마지막을 보내는 아이들에게 최고의 우선순위를 가진 것이다. 그렇다면 시간 관리를 어떻게 할까? 1. 지금 당장하라. 가장 먼저는 미루를 습관을 버려야 한다. '아직 시간이 많은 데 다음에 하지 뭐'라고 생각하는 순간 그는 이미 시간관리에서 지는 싸움을 시작한다. 동일한 시간이 주어진다면 먼저 일을 처리하고 그 다음에 놀아야 한다. 그래야 일을 깔끔하게 마무리 되고 휴식도 충분히 취한다. 그러나 '충분히' 논 다음 일을 하면 일은 엉망이 되고 일 때문에 휴식도 제대로 취하지 못하고 만다. 그러므로 학생자에게 있어서 가장 먼저 할일을 하는 것부터 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잊지 말라. 절대 미루면 안된다. 2. 시야를 정리..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2. 10. 17. 더보기 ›› 새가족 정착, 7명의 관계 새가족 정착, 7명의 관계 어떤 설문 조사에 의하면 100명의 새신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착률은 50%였다. 그런데 정착한 50%의 사람들의 74%는 7명 이상의 새로운 친분 관계를 가지고 있었지만, 교회에 정착하지 못한 83%의 사람들은 3명 미만의 사람과 친분관계를 맺었다고 한다. 이러한 통계가 보여주는 것은 새가족은 단지 전도만으로 정착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사람은 관계적 존재다. 타인과 관계를 맺지 않으면 결코 그 안에서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나가게 된다. 사람은 홀로 살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한 사람이 어느 회사나 모임에 들어갈 때 서로 친한 사람이 없을 때 소속감을 느끼지 못한다고 한다. 대체로 2-3명 정도의 친한 사람만 이써도 그곳에 소속감을 느낀다. 어느 정도 안정..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2. 9. 26. 더보기 ›› 훼닐키톤뇨증(pehnylketonuria, 페닐케톤뇨증) 훼닐키톤뇨증(pehnylketonuria, 페닐케톤뇨증) 2012년 8월 19일 13:19페닐키톤뇨증은 우리나라에서 7-8만 중의 한 사람꼴이다. 페닐알라닌이라는 아미노산을 대사시키는 능력이 유전적으로 결핍되어 생기는 정신지체의 한 형태이다. 페닐알라닌이 대사되지 못하고 독성수준까지 축적되면 뇌의 발달에 장애가 생겨 정신치레로 보이고 안절부절 못하게 되며 신경과민 현상이 일어난다. 페닐알라닌을 타이로신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페닐알라닌 수산화효소가 필요하다. 페닐키톤뇨증은 페닐알라닌 수산화효소가 선천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약한 대사능력으로 인해 페닐알라닌의 잔여분이 계속하여 축적되어 치명적인 해를 가져온다. 특히 뇌의 발달에 지장을 주어 정신지체로 보이게 한다. 앉기, 뒤집기, 걷기, 언어 등의 정신운..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2. 8. 19. 더보기 ›› 밥상머리 교육과 방법 밥상머리 교육과 방법 밥상머리를 사전적 정의를 찾아보면 이렇다. ‘차려놓은 밥상의 한쪽 언저리’이다. 뭐라할 특이한 정의는 아닌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밥상머리가 이슈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근래에 일어나는 학교폭력의 문제와 대안이 가정에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핵가족을 넘어 편부모 가족과 역기능 가족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기능 가족의 자녀들은 지능과 정서적으로 뒤떨어지고 폭력적인 아이로 변하기 때문이다. 밥상머리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밥상머리 교육은 그저 온 가족이 밥을 같이 먹는 것 말고는 다른 프로그램이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한 끼를 때우는 식사하는 것이면 외식도 할 수 있고 혼자서 먹어도 되지 않을까라..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2. 7. 19. 더보기 ›› 학대 받은 아이와 받지 않은 아이의 차이 학대 받은 아이와 받지 않은 아이의 차이 발달심리학(developer psychology) 메라 하스케트(Mary Haskett)와 Janet kistner(1991)는 아동 보호 기간이 확인한 부모로부터 신체적 학대를 받은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의 사회적 행동을 비교하는 실험을 했다. 연구자들은 먼저 그들이 기록하고자 하는 행동의 예를 정의했다. 그 행동들에는 적적한 사회적 시도와 긍정적인 놀이 같은 바람직한 행동들과 공격성과 부정적인 언어화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들 둘 다 포함된다. 연구자들은 14명의 학대받은 학령전 아동들과 그렇지 않는 아들이 탁아센터의 놀이구역에서 또래들과 섞여 놀 때 관찰을 시도했다. 기간표집 절차에 따라 하루 10분씩 3일간 관찰했다. 놀이 활동에 관찰자는 영향을 최소화..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2. 7. 14. 더보기 ›› 728x90 이전 1 ··· 5 6 7 8 9 10 11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