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회교육8
십대들의 뇌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
교회교육칼럼-위대한 낙제생들
교회교육칼럼 -교회마다 도서관을 만들자.
청소년기의 특징과 미래지향적 교사
청소년기의 특징과 미래지향적 교사 중고등부의 부흥은 어떻게 오는가? 행사? 좋은 프로그램? 친구 만들기? 아니면 오직 말씀? 어느 것 하나도 놓져서는 안될 중요한 것들이다. 먼저 교회교육의 중심과 주제는 당연히 말씀이어야 한다. 그 외의 나머지는 수단들이다. 그러나 먼저 그들을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교회교육의 기분은 하나님, 학생, 교사라는 삼요소를 가지고 있다. 교육의 최종목적은 학생들을 하나님께 이끄는 것이며, 온전한 그리스도인으로 성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중고등부를 교육함에 있어서 몇가지를 배워야 한다. 먼저는 하나님을 배워야 한다. 둘째는 학생을 배워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법을 배워야 한다. 십 대 후반의 생물학적 특징 십 대 후반의 나이는 몇가지의 특징을 알아보자...[교육칼럼] 박한상, 살인마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일탈을 유혹하는 사회...
교사의 권위와 기독교 교육의 권위!
현재 서울소재 학교에서는 체벌을 할 수 없다. 서울 교육청은 체벌 자체를 하지 못하도록 못 박았기 때문이다. 체벌을 하지 못하도록 한 이유는 간단하다. 폭력 때문이다. 체벌 자체가 학생을 인격적으로 대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이다. 체벌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주장은 "교사라고 할지라도 학생의 신체의 자유를 억압할 권한은 없다"는 것이다. 즉 개인의 자유를 교사라는, 조직을 통해 억압하는 것은 부당하는 것이다. 개인의 자유를 권위보다 앞세운 경우다. 결국 상대주의적이고 다원주의적인 포스터모더니즘의 시대에 맞은 사상인 것이다. 그렇다면 체벌이 없어진 학교는 어떻게 되었는가? 떠드는 학생을 어떻게 다루고 있을까? 교사에게 욕하는 학생들을 어떻게 처벌하고 있을까? 체벌이 없어진 학교는 누가 이익이고 피해는 누가 보는..기독교 교육의 본질
기독교 교육의 본질 먼저 교육이란? 교육은 배움을 말하는 것인데, 가장 기본적인 교육은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는 것이다. 더나아가 교육은 자아를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활용된다. 또한 기존 사회에 적응하는 입문으로서의 사회화이다. 종합적 결론은 교육은 기존 사회가 요구하는 사회인으로 소양을 갖추고 그에 걸 맞는 정체성을 찾아가는 작업이라고 할 수있다. 교육을 받는다는 의미는 기존의 사회가 가지고있는 축적된 정보와 지식등을 교수와 경험 등의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전수받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본다면 교육은 학습자에게 주도권이 있는 것이 아니고 교수자에게 있으며, 학습자가 기존의 사회를 배우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렇다면 기독교 교육이란 무엇인가? 용어상 기독교를 전수 받는 것이다. 그러나 기독교 교육..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