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독서법64
<독서법> 겉표지 보고 좋은 책 고르기
파스칼의 독서법, 독서의 중용
독서법: (공동체)낭독과 (개인)독서의 차이
독서법 (공동체)낭독과 (개인)독서의 차이 16세기 이후 급속히 진행된 개인읽기 또는 묵독 또는 숨어서 읽기는 책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이전세대가 갖지 못한 전혀 새로운 공감대와 공동체를 형성했다. 18세기에 합리주의 철학과 산업혁명은 사적인 묵독의 필연적 결과였다. 21세기에 일어난 처절한 개인주의와 분절된 이기주의 현상 또한 그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다. 낭독의 회귀는 공동체로의 회귀이다. 유진 피터슨의 메시지 성경과 낭독의 강조는 원시적 기독교로의 회귀와 공동체로서의 기독교를 말하는 것이다. 낭독과 개인독서의 차이는 읽기에 있지 않고 해석에 있다. 낭독은 한 사람이 읽고 나머지 사람들은 동일한 그 사람의 언어를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듣는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낭독시의 해석은 미미(微微)하다. 같..독서법-다시 읽기의 장점
다시 읽기의 장점 다시 읽기는 말 그대로 ‘다시 일는 것’이다. 다시 읽기는 음심에 비유한다면 곰국이다. 곰국은 처음 한 번만 고고 내 버리지 않는다. 두 번 세 번을 곤 다음에 뼈 속까지 완전히 우려낸 다음 버린다. ‘곰삭다’는 라는 말을 이런 것을 두고 한 말이다. 필자는 그동안 다시 읽기나 천천히 읽기는 거의 하지 않는 전형적인 다독과 속독의 독서법을 지향해 왔다. 독서란 많은 정보를 흡수하는 것이라고 착각한 탓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독과 속독은 시간이 지날수록 남는 것이 없는 손해 보는 장사였다. 물론 다독이 전혀 남지 않는 것은 아니다. 다독과 속독은 콩나물시루에 물주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물을 주는 즉시 밑으로 모두 흘러내려 남는 것이 거의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콩나물이 자라는 것을..문자는 기억의 존재인가 망각의 존재인가?
문자는 기억의 존재인가 망각의 존재인가?2012.10.07 10:22 플라톤의 ‘파이드루스’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그 이야기는 아주 오래전부터 전해오는 이야기이다. 계산법과 기하학 그리고 문자를 발명한 고대 이집트 신 퇴트에 관한 것이다. 퇴트가 이집트 왕인 타무스에게 자신이 발명한 것을 설명하면서 “문자는 이집트 사람들을 더욱 더 현명하게 만들고 기억하기 쉽게 해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타무스 왕은 난색을 표하며 이렇게 말했다. “그대가 발명한 것들 가운데 문자는 학습자에게 건망증만 가져다 줄 것이요. 왜냐하면 그들은 기억력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고, 그들 스스로 기록된 문자를 믿고 더 이상 기억하려 들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오”독서법, 존 러스킨의 다시읽기
독서법존 러스킨의 다시읽기 책은 한번 읽으면 그 구실을 다하는 것이 아니다. 재독하고 애독하여 다시 손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애착을 느끼는 데서 그지 없는 가치를 발견할 것이다.독서법 프란시스 베이컨
독서법 프란시스 베이컨 16세기 철학자 프란시스 베이컨은 "어떤 책은 맛만 보고, 어떤 책은 삼켜 버리고, 어떤 책은 잘 씹어서 소화시켜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오정화 95쪽유성룡의 공부(독서)법
묵독에 대하여
묵독에 대하여 한편, 묵독이 실행되면서 새로운 차원의 읽기가 나타났으며,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묵독은 읽기를 공정 행위로부터 사적 행위로 바꾸어 놓았다. 독자는 기록을 누구(질문이나 언급으로 방해할)와도 공유하지 않았고, 글자를 소리로 묶지도 않았다. 그녀 혹은 그는 몰래 엿듣기지 않고, 개념을 직접 높은 수준의 정신상태에서 빠른 속도로 상호 대조하고 비교하며 가치와 의미를 생각하며 읽었다. 이에 따라 독자의 외적 상황 그리고 사물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영향을 받는 등 서양의 읽기는 근원적인 변화를 겪게 되고, 이를 통해 성취된 것은 내재화된 개인의 일부를 이룬다. 읽기는 도구로서의 사회적 기능을 뛰어넘어 인간의 능력이 되었다. - 스티븐 로저 피셔 [읽기의 역사](신기식 옮김), 지영사 213-..<독서법> 소리 내어 읽기(김무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