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5512
이사야 3장 묵상과 강해
질서가 무너진 사회에 임하는 하나님의 심판 – 이사야 3장을 중심으로이사야 3장은 하나님께서 죄로 인해 붕괴되어 가는 사회를 어떻게 다루시는지를 보여주는 말씀입니다. 하나님은 질서를 거부하고 자신의 기준대로 살아가는 백성을 그냥 내버려 두지 않으십니다. 하나님의 심판은 단지 멀리 있는 종말의 사건이 아니라, 죄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실 속 붕괴의 현장에서도 시작됩니다. 이 말씀은 교회와 사회가 왜 하나님 앞에 바로 서야 하는지를 깊이 있게 묵상하게 만듭니다.1. 통치자들을 거두시는 하나님의 손이사야 3장은 이렇게 시작됩니다. "보라 주 만군의 여호와께서 예루살렘과 유다에서 의지하고 의뢰하는 것을 제하여 버리시되 곧 양식과 물, 용사와 전사, 재판관과 선지자, 복술자와 장로..."(3:1-3). 하나님은 단..이사야 2장 묵상과 강해
마지막 날에 세우시는 여호와의 산 – 이사야 2장을 중심으로이사야 2장은 하나님의 백성에게 주시는 소망과 경고가 함께 어우러진 말씀입니다. 종말론적인 회복의 약속으로 시작하여, 곧이어 현실 속 이스라엘의 교만과 우상숭배를 질책하시며, 여호와의 날이라는 두려운 심판의 날을 경고하십니다. 하나님은 단순히 미래를 보여주시는 것이 아니라, 지금 우리가 서 있어야 할 자리가 어디인지 분명하게 가르쳐 주십니다.1. 마지막 날의 소망 – 여호와의 산에 대한 예언이사야 2장은 "말일에 여호와의 전의 산이 모든 산 꼭대기에 굳게 설 것이요"라는 웅대한 예언으로 시작됩니다(2:2). 여기서 "말일"이라는 단어는 히브리어 "베아하릿 하얌임"(בְּאַחֲרִית הַיָּמִים)으로, 단순히 시간이 흘러 도달하는 미래가 ..이사야 1장 묵상과 강해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 선 죄인의 모습 – 이사야 1장을 중심으로하나님의 말씀은 언제나 시대를 초월하여 살아 역사하십니다. 특별히 이사야 1장은 단지 고대 유다 사회의 타락상을 고발하는 선언이 아니라,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영적 상태를 정직하게 비추는 거울입니다. 하나님 앞에 선 인간의 본질과 하나님의 공의와 긍휼, 그리고 회복의 길까지 선명하게 제시하는 이 말씀 속에서, 오늘 우리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1. 하나님께서 고발하시는 백성의 타락이사야 1장은 법정 선언처럼 시작됩니다. 하나님은 하늘과 땅을 증인으로 세우시고, 자신의 자녀들을 고발하십니다.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하늘이여 들으라 땅이여 귀를 기울이라 내가 자식을 양육하였거늘 그들이 나를 거역하였도다"(1:2)...이사야 선지자 시대의 배경
부활설교, 사 35:1-2 광야에 꽃이 피는 날
로마서 8장 11절
부활의 영이 우리 안에 거하십니다로마서 8장 11절은 부활의 생명이 단지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으로 끝나지 않고,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 안에 실제적으로 역사하는 생명임을 선포합니다.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의 영이 너희 안에 거하시면…”으로 시작되는 이 구절은 부활이 단순한 종교적 교리가 아니라, 현재적 능력이며, 미래의 완성을 향한 보증임을 구속사적 관점에서 밝히고 있습니다. 성도는 그리스도의 부활 안에 참여하며, 그 영이 우리를 일으켜 새로운 삶을 살게 하십니다.부활의 시작, 그리스도를 살리신 성령 (롬 8:11 상반절)“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의 영이 너희 안에 거하시면…”사도 바울은 부활을 단지 과거에 일어난 사건으로 보지 않습니다. 그는 예수님을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하..시편 30편 5절
요한복음 12장 24절
성경에서 부활을 상징하는 것들
부활 주일 설교, 고전 15:38-44 부활의 몸
하늘의 형체로 심기우는 씨, 그리스도 안에서 부활하는 새 생명고린도전서 15장 38절에서 44절까지의 말씀은 부활의 신비를 풀어주는 구속사적 중심 구절입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 성도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던 부활의 몸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씨앗의 변화를 비유로 들어 설명합니다. 그리스도인의 부활이 단순한 재생이 아니라 완전히 다른 차원의 영광스러운 실체로 바뀌는 것임을 강조하면서, 하나님의 주권 아래 심겨지고 다시 살아나는 ‘새로운 형체’를 구속사적 관점에서 풀어가고 있습니다.심는 자의 믿음과 하나님의 주권 (고전 15:38)“하나님이 그 뜻대로 그에게 형체를 주시되 각 종자에게 그 형체를 주시느니라.” 바울은 씨앗의 심김과 자람에 있어서 인간의 손을 넘어서는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합니다. 인간은 씨를 심..롬 5:18 멸망에 이르는 순종, 생명에 이르는 순종
마태복음 4:1-4 광야 논쟁
말씀으로 이기신 주님예수님께서 공생애를 시작하시기 직전, 성령에 이끌려 광야로 가셔서 마귀에게 시험을 받으시는 장면은 그리스도의 순종과 승리를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사건입니다. 마태복음 4장 1절부터 4절까지의 이 장면은 단순한 유혹의 이야기가 아니라, 아담이 실패했던 자리에서 마지막 아담이신 예수님께서 어떻게 승리하셨는지를 보여주는 구속사의 핵심 장면입니다.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시험이 무엇인지, 하나님의 뜻을 따라 순종하는 삶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함께 묵상하고자 합니다.성령의 인도하심 아래 있는 시험 (마 4:1)“그 때에 예수께서 성령에게 이끌리어 마귀에게 시험을 받으러 광야로 가사” (마 4:1). 이 구절은 예수님께서 자발적으로 시험의 자리에 나아가신 것이 아니라, 성령께서 그분을 시험의 ..롬 5:3-5 환난은 인내를
고난의 가시를 뚫고 피어난 소망로마서 5장 3절부터 5절까지의 말씀은 그리스도인의 삶에 고난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가장 명확하게 보여주는 본문입니다. 이 짧은 구절 안에는 고난의 이유, 그 고난을 견디게 하는 은혜, 그리고 결국 고난을 통해 도달하게 되는 소망이 농축되어 있습니다. 특히 우리는 이 고난의 과정을 성경 전체에서 등장하는 ‘가시’의 상징성과 연결해 묵상할 수 있습니다. 가시는 창세기 이후 죄의 결과로 인간의 삶에 들어온 고통의 실체이며, 성경은 이 가시를 통해 하나님의 심판과 동시에 구원의 여정을 함께 보여줍니다. 오늘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고난과 가시, 인내와 소망이라는 단어들이 어떻게 구속사 속에서 엮여져 있는지를 함께 묵상하고자 합니다.고난은 가시의 현실을 드러냅니다 (롬 5:3)“..롬 5장 1-11절 십자가의 사랑
눅 19:28-38 예루살렘 입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