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성경의세계457

[성경 동물] 사슴(deer)

[성경 동물] 사슴(deer) 1. 개요 히브리어로 ‘아얄’이다. ‘아얄라’ 또는 ‘아엘레트’도 불리기도 한다. ‘야흐무르’라는 단어는 숫노루로 번역하기도 하지만 아직 논쟁이 많은 용어다. 아얄은 사슴 또는 수사슴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아랼라’와 ‘아엘레트’는 ‘아얄’의 여성형으로 암사슴을 말한다. 팔레스타인에는 세 종류의 사슴이 발견된다. 다마사슴(fallow deer, Dama dama) 붉은 사슴(red deer, Cervus elaphus) 노루(roe deer, Capreolus capreolus) 붉은 사슴은 출애굽 이전 시대에 사라졌다. 노루는 깊은 계곡에 살았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는 보기힘들었다. 일반인들이 가장 보기 쉬웠던 사슴은 다마사슴이었을 것이다. 다마사슴은 야생에서도 자라고, 사..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26.

박쥐(bat)

성경의 동물 박쥐(bat)일반적 박쥐 개념박쥐의 다른 이름은 편복(蝙蝠), 복익(伏翼), 선서(仙鼠), 천서(天鼠)이다. 박쥐는 시력이 매우 약해 잘 보지 못한다. 그런데도 어둠 속을 빠르고 쉽게 날아다닌다. 시력대신 초음파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장애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먹이를 위치를 감지해 사냥한다. 그러나 과일박쥐로 분류되는 박쥐는 반향정위 능력이 없고, 시력과 청력을 이용한다. 그리고 낮에 움직인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박쥐와는 사뭇 다르다. 얼굴은 여우와 닮아 날여우(flying fox)라고 부른다. 과일박쥐는 날개가 30cm 이상이다. 황금볏과일박쥐의 경우는 너비가 150-170cm에 달해 성인의 신장과 같다. 과일을 먹고 살지만 질병을 옮기기 때문에 극히 조심해야 한다. 가끔 사람들 앞에 ..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26.

[성경의 동물] 나귀(donkey) 당나귀(ass)

[성경의 동물] 나귀(donkey) 당나귀(ass)성경에서 나귀와 당나귀를 엄격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동일한 동물로 보는 듯 하다. 하브리어는 오톤, 하모르, 아이르, 헬라어로는 오노스, 오나리온, 폴로스, 호포주기온 등으로 번역된다. 폴로스와 후포주기온 외 다른 단어들은 모두 길들인 나귀 에쿠우스 아시누스를 뜻한다. 하모르와 오노스는 나귀를 통칭한다. 이에 반해 아톤(여성형)은 특별히 사람이 타고 나니는 나귀를 가르킨다. 당시 사람이 타는 나귀는 숫컷이 아닌 힘센 암컷이기 때문이다 수컷은 제어하기 상당히 힘들다. 아이르라는 히브리어 단어는 어린 수나귀를 말하며 제어하기 힘들다는 뜻을 지녔다. 강하고 정력이 넘치기 때문에 사람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길들여질 수 없는 야성의 존재란 뜻이다. 그러나 사..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26.

에덴 동산(Garden of Eden)

에덴 동산(Garden of Eden) 에덴은 히브리어로 기쁨과 희락을 뜻한다. 70인역에서 파라데이소스로 번역하면서 영어 파라데이스가 나와 천국 또는 낙원이란 뜻을 갖게 된다. 에덴 동산은 기쁨의 정원, 기쁨의 동산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에덴은 수메르어로 '거친 땅' 또는 '평지'를 의미하는 에디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성경에 나타난 에덴동산 중앙에 선악을 알게하는 나무와 영생나무가 있다. 강이 에덴에서 흘러나와 동산을 적시고 그곳에서 갈라져 네 강이 생긴다. 비손, 기혼, 힛데겔, 유브라데이다. 성경의세계/성서지리와 자연 2020. 4. 20.

[성경의 동물] 거머리(Leech)

[성경의 동물] 거머리(Leech)거머리는 히브리어 ‘알루카’이며 잠언 30:15에서 단 한 번 등장한다. 알루카는 ‘달라붙다’ 또는 ‘빨아 먹다’는 뜻에서 온 단어이다.거머리는 환영동물로 3-4cm이다. 더 긴 것은 10cm 되는 것도 있다. 거머리강에 속한다. 물 속에 사는 벌레이며, 시내나 강, 웅덩이 등 다양한 곳에서 서식한다. 물이 없는 쓰레기더미 속에서도 발견된다. 물론 물속의 거미리와는 종이 약간 다르다.거머리는 압착식 입을 가지고 있으며, 입에서 상처를 낸 후 상처를 통해 피를 게걸스럽게 빨아 먹는다. 피를 다 빨아 먹으면 몸이 통통해진다. 자신의 몸의 몇 배를 먹어 치우는 대식가이다. 손으로 떼어 내어도 잘 떨어지지 않지만 소금을 뿌리면 즉시 떨어져 나간다. 거머리를 이용해 상처를 치료하..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12.

[성경의 동물] 개구리(frog)

[성경의 동물] 개구리(frog) 히브리어 체파르데아를 번역한 것이다. 개구리는 양서류에 속하며, 물과 육지 사이에서 자란다. 물이 없는 곳에서는 서식하지 못한다. 또한, 담수에만 살기 때문에 강이나 하천 등지에서 많이 발견된다. 생긴 것에 비해 개구리는 포식자이며 육식동물이다. 파리나 모기 등의 곤충을 잡아먹는다. 봄에 한 번 알을 낳는데 수백여 개의 알을 낳는다. 많은 낳는 개구리는 천개가 넘는 것도 있다고 한다. [사신출처 https://pixabay.com/ko/photos/%EA%B0%9C%EA%B5%AC%EB%A6%AC-%EC%82%B0%EB%9E%80-%EB%8B%AC%EA%B1%80-%EC%A0%8A%EC%9D%80-288938/] 개구리는 일반적으로 아는 개구리와 두꺼비, 맹꽁이를 포함한..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12.

[성경의 동물] 참새(sparrow)

[성경의 동물] 참새(sparrow) 1. 용어 참새는 히브리어로 칩포르이다. 헬라어로는 스토루씨온(strouthion)이다. 성경에서 참새는 23회 정도 등장한다. 히브리어로 칩포르이며, 헬라어는 스트루씨온이다. 그러나 개역개정 구약에서 참새로 번역한 횟수는 고작 3회다.(시 84:3, 102:7, 잠 26:2)이다. 신약에서는 4회 등장한다.(마 10:29, 31, 눅 12:6, 7) 스토루씨온(strouthion)는 일반 참새를 말하는 듯하며, 칩포르(tsipro)는 참새와 비슷한 크기의 새를 포괄적으로 이르는 말로 보인다. 즉 참새는 작고 가치가 낮은 새로 이해하면 될 성 싶다. 2. 참새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참새는 작은 텃새이다. 몇 종류가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발견되나 크게 다르지 않다. 우리..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12.

[성경의 동물] 갈매기(seagull, gull)

[성경의 동물] 갈매기(seagull, gull) 갈매기는 히브리어로 ‘샤아프’다. 레위기 11:16과 신 14:15에 두 번 등장한다. 샤아프는 갈매기(gull) 또는 바다갈매기(seagull)로 번역 된다. 성경은 갈매기와 바다갈매기, 작은 갈매기(little gull)를 구분하지 않고 있다. 갈매기는 현대의 갈매기뿐 아니라 그와 비슷한 새들을 통칭한 것으로 보인다. 갈매기와 비슷한 새로는 제비갈매기(tern), 제비갈매기, 도둑갈매기(skua), 사막물떼새(courser)와 슴새(shearwater)가 있다. 갈매기를 무리지어 생활한다. 바닷가와 하천 등에서 서식하며 철새는 아니지만 전 세계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아마존 강이나 나일강, 잠베지강, 갠지스강, 브라마푸트라강, 메콩강, 머리강, 미시..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20. 4. 12.

[성경과 신화] 인어는 여성이 아닌 남성이었다.

[성경과 신화] 인어는 여성이 아닌 남성이었다. 안데르센 때문에 인어는 공주이다. 그러니 당연히 여성으로 생각한다. 인어공주니까. 남자라면 인어왕자일 것이다. 그런데 언제부터 인어공주를 생각하면 못 이룬 사랑이나 전설, 신화, 미모의 여성 등을 생각하는 것일까? 인어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심어준 건 첫 번째가 안데르센이고 두 번째는 디즈니 영화이다. 디즈니 영화에 등장하는 인어공주는 어리고 예쁘고 긴 생머리다. 날씬하기까지 하다. 무엇하나 부족한 것이 없어 보인다. 그러한 인어공주의 인상들은 어디서부터 생겨난 것일까? 고대 사람들은 인어를 믿었을까? 아니면 안데르센에 의해 갑자기 창작된 것일까? 인어이기 전에 먼저 사람과 물고기의 반인반어의 개념으로 생각해 보자. 반은 사람이고 반은 짐승이거나 다른 동물..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4. 8.

[성경의 신들] 달의 신 난나(Nana), 수엔(Suen), 신(Sin)

[성경의 신들] 달의 신 난나(Nana), 수엔(Suen), 신(Sin) 성경 속에서 달은 중요한 상징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달의 신을 숭배했다는 이야기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달의 신은 아브라함이 갈대아 우르에서 나와 머물렀던 하란의 신이며, 바벨론의 중요한 신 중의 하나이다. 메소포타미아 문명 속에서 달의 신의 개념과 위치를 정리해보자. 달신의 수메르어는 ‘난나(Nana)’이다. 남성 신이며 아누에 이어 최고신이 된 닙푸르의 주신 엔릴의 아들이다. 우리는 대개 달신을 여성신으로 알고 있지만 이것은 후대에 신이 바뀌면서 일어난 것이며 원래는 태양은 여성신이고, 달신은 남성신이다. 수메르의 『엔릴과 닌릴』 신화의 기록에 의하면 닌릴이 닙푸르 근처 강에서 목욕을 하고 있었다. 엔릴이 목욕하는 닌릴을 .. 성경의세계/성경의 신들 2020. 4. 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