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5399

수상한 큐티 / 이정현 / 생명의말씀사

수상한 큐티 / 이정현 / 생명의말씀사 해마다 돌아오는 수능일이 가까워져 오고 있다. ‘해마다’라는 말은 수능을 이미 끝낸, 아니면 수능과 상관없는 이들의 조아한 표현일 수 있습니다. 수능생들에게 수능일은 일생의 단 한 번뿐이니까. 재수와 삼수생이 있다면 극히 적다. 그들도 역시 수능일은 두 번 세 번이 아닌 다시 ‘단 한 번’의 기회일 뿐이다. 아직 학벌 사회를 벗어나지 못한 우리나라에서 수능은 중요하고 힘든 과정이다. 이번에 출간된 이정현 목사의 큐티 집은 수능을 대비하는 학생들에게 유용한 은혜의 도구이다. 수능을 앞두고 대부분의 학부모는 신앙도 교회도 내팽개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하지만 끝까지 신앙생활을 놓지 않으려는 학생들에게는 시험의 시간이다. 아무리 믿음이 좋고 믿음 생활이 일상이 되었다 하더.. Book 2019. 9. 16.

성경 속 노마드 / 배경락 / 샘솟는기쁨

세상을 변화시키는 나그네 신학 *이글은 [크리스찬북뉴스]와 [크리스천투데이]에 기고된 글입니다. 성경 속 노마드 배경락 / 샘솟는기쁨 나그네의 삶, 저주인가 축복인가? 벌써 열두 번째 이사인 듯싶다. 3년에 꼭 두 번은 이사를 했다. 자의든 타의든 매년 이사를 한다는 것은 고통이다. 정처 없이 또 짐을 싸야하는 서글픔은 더욱 커져만 간다. 그러나 반드시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사를 자주하면 짐이 가벼워진다. 이사 때가 되면 불필요한 짐들을 모두 버리는 결단의 시간이 찾아온다. 가져가야할지 버려야할지를 늘 고민한다. 평상시에는 그냥 두어도 될법한 물건도 ‘짐’이 된다. 가재도구가 없다 싶어도 이사하려고 싸다보면 한 없이 늘어난다. 버리고 또 버린다. 귀찮아 쌓아둔 쓰레기도 이사를 기회삼아 모두 버리고.. Book 2019. 9. 15.

언약 신학 관련 도서와 논문들

언약 신학 관련 도서와 논문들 언약 신학과 관련된 도서와 연구 논문들을 소개합니다. 고정된 문서가 아니라 증보되고 수정됩니다. [언약 신학과 관련된 도서와 연구 논문들을 소개합니다. 고정된 문서가 아니라 증보되고 수정됩니다.] 언약신학은 성경신학과 조직신학이 어우러져있기 때문에 좁게 보면 언약만을 다룰 수 있지만 폭넓게 보려면 하나님의 나라도 다루어야 합니다. 이곳에서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만을 소개합니다. 한글 서적과 번역된 글을 중심으로 다룹니다. 언약신학은 성경 속에서 노아와 아브라함을 시작으로 맺은 일종의 약속이다. 하나님께서 맺으신 약속은 평등한 조건에서 맺은 약속이 아니라 지배자와 피지배자 사이에서 맺은 반강제적 계약의 성향이 짙기 때문에 ‘언약’으로 번약함이 더 마땅하다. 약속이나 언약으로 번..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9. 9. 13.

성경 속의 언약(Covenants in the Bible )

성경 속의 언약(covenant) 성경은 언약(言約-covenant)이다. 구약(舊約)과 신약(新約)에서 ‘약(約)’은 ‘약속’ ‘계약’을 의미한다. 성경 속에서는 약속과 계약보다 심화된 ‘언약’의 의미로 사용된다. 언약은 히브리어로 ‘베리트’이며, 영어로는 covenant로 번역한다. 하나님은 사람을 창조하시고 그들과 언약을 맺으신다. 명령하지 않고 언약을 맺으심으로 사람을 기계나 동물처럼 여기지 않으시고, 자유의지를 통해 자발적으로 순종하다록 이끄신다. 성경에 직접적으로 ‘언약’을 맺은 사람은 노아(창 6:18)와 아브라함(창 15:18), 이스라엘(출 24:8), 그리고 다윗(시 89:3)과 예레미야(렘 31:31)가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리스도안에서 최후 만찬을 통해 새 언약을 맺으신다. 언.. BIble Note 2019. 9. 13.

키워드 카테키즘 / 정두성 / 세움북스

키워드 카테키즘 정두성 / 세움북스 모든 책이 그렇지는 않지만, 표지를 보는 순간 반드시 읽어야겠다는 드는 책이 있다. 오랫동안 책을 읽고 서평 하며, 글을 쓰며 느껴온 필자만의 느낌이다. 80년대까지만 해도 출판사는 표지에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았다. 내용이 좋으면 당연히 책이 팔렸기 때문이다. 읽을거리가 거의 없었던 시대의 착상이다. 그러나 90년대가 들어서면서 독자들은 변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책을 바라보는 시각이 시대적 조류를 따라 변한 것이다. 표지가 절반이라는 말이 나올 만큼 중요해졌다. 하지만 표지를 잘 디자인한다 하여 좋은 책이 될까? 천만의 말씀이다. 필자가 이 책에 매력을 느끼는 이유는 정두성이란 저자 때문이며, 세움북스라는 출판사가 어우러졌기 때문이다. 2016년 12월, 정두성 박.. Book 2019. 9. 10.

전쟁과 고양이

전쟁과 고양이 2019년 9월 9일 월 아내와 걸었다. 민간인보다 군인이 더 많은 거리. 아직 동서남북과 큰 거리 외에는 분간하기 힘든 낯선 동네다. 밤에 거리를 걷기는 처음이다. 고등부 학생을 만나고 온 아내는 저녁을 먹고 서점 이야기를 하다 '같이 갈래요?'라며 물었다. "그럴까?" 우린 그렇게 한 마음이 되어 거리로 나선 것이다. 일주일 내내 전쟁이었다. 갑자기 잡힌 이사 일정은 어느 것 하나 준비하지 못하게 했고, 350km나 되는 머나먼 거리는 간다는 생각 자체만으로 부담이었다. 하지만 '그날'은 왔고, 시간은 흘러 일주일이 지난 것이다. 정확하게는 10일이 지났다. 오늘 아침까지 집은 이삿짐으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얼마 되지 않아 보인 책들이 풀어놓으니 쌓아도 쌓아도 끝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일상이야기 2019. 9. 9.

[성경의 식물] 백향목(柏香木, cedar) 송백나무

[성경의 식물] 백향목(柏香木, cedar) 송백나무 1. 용어 히브리어로 ‘에레즈’이며, 학명은 ‘Cedrus libani Loudon’이다. 레바논 삼나무를 말한다. 침엽수속(屬)의 소나뭇과(科)로서 키가 40m까지 자라는 거대한 상록교목(常綠喬木)이다. 주로 기온이 낮은 고산지대에서 잘 자란다. 우리나라의 소나무와 모양이 약간 다르다. 열매는 잣나무와 히말리야시다를 섞어 놓은 듯한 모양이다. 모양이 우람하고 수령(樹齡)이 2,000~3,000년이나 된 것들도 있어서 ‘수목(樹木)의 왕’으로도 불린다. 뿌리는 지상의 높이만큼 깊이 들어가 결코 뽑히지 않는 나무이다. 최대40m까지 자라는 거대한 수목 중 하나이다. 수지(樹脂)는 향이 좋아 상쾌함을 주며, 방부제와 방충제로 사용된다. 고대 로마나 이집트..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8. 29.

예수님의 비유 해석 입문 / 로버트 스타인 / 오광만 옮김 / 이레서원

예수님의 비유 해석 입문로버트 스타인 / 오광만 옮김 / 이레서원 보는 순간 행복이 지는 책이 있다. 로버트 스타인의 책을 보는 순간 빨리 읽어야한다는 강열한 충동에 사로잡혔다. 저자의 명성과 더불어 깔끔한 표지는 충분히 내용이 맛깔스러울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했다. 아직 잉크 냄새가 가시지 않은 채 내게 전달된 책이라 더더욱 그렇다. 예수님의 비유에 관한 책은 결코 적지 않다. ‘예수님의 비유’로 검색하면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책만 해도 수십 권에 달한다. 번역되지 않은 책은 얼마나 많겠는가. 비유 관련 논문까지 합한다면 그 분량에 압도당할 것이다. 그런데 복음서의 비유 연구를 위한 단 한 권의 책을 꼽으라면 어떤 책이 있을까? 아마도 비유에 어느 정도 지식을 가진 이들이라면 예레미아스의 를 떠올릴 것.. Book 2019. 8. 28.

[성경의 식물] 백단목, 자단(紫檀), 흑단목

[성경 속의 식물] 백단목(almug wood, algum) 자단(紫檀), 흑단목 1. 용어 히브리어로 ‘알무김’이다. 학명은 ‘Pterocarpus santalinus L’이다. 박달나무, 흑단과 거의 흡사한 나무이다. 줄기 안의 색이 자색에 가까워 자단으로 불린다. 세 나무 모두 고가에 거래되며, 조직이 조밀하고 단단하여 특수한 용도로 사용된다. 알무김이 우가릿 문헌에도 발견된 것으로 보아 외래어로 보인다. 인도와 스리랑카 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져있다. 자단(紫檀)으로 이해하는 이들도 있지만 약간 다른 나무로 알려져 있다. 백단목은 나무 중심이 황토색에 가깝지만 자단은 자색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무의 특성이나 성향은 매우 비슷하다. 2. 성경 속의 백단목 솔로몬이 성전을 건축할 때 사용한 나무이다. ..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8. 27.

[성경의 식물] 박하(mint)

[성경의 식물] 박하(mint) 1. 용어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초이다. 40cm-1m까지 자란다. 헬라어는 ‘헤뒤오스몬’으로, ‘달콤한 향내’라는 뜻이다. 학명은 ‘Mentha Longifolia L.’이다. 잎에서 기름을 얻어 감기 두통 등의 의약제로 사용한다. 향이 강해 방향제나 조미료 등으로도 사용한다. 개울이나 습지에서 잘 자란다. 우리나라의 박하와 동일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민트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모습이나 특징은 비슷하다. 2. 성경 속의 박하 학자들은 유월절 식사 때 사용된 쓴 나물로 본다. 신앙적 열정을 표현할 때 ‘박하의 십일조’라고 했다. ‘근채의 십일조’도 비슷한 말이다.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8. 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