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5399

[성경의 식물] 돌무화과나무, 뽕나무(sycamore-fig)

[성경의 식물] 돌무화과나무, 뽕나무(sycamore-fig) 성경 속에 등장하는 돌무화 나무이다. 돌무화과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기존의 무화과는 종이 다르다. 하지만 열매는 무화과 거의 흡사하여 돌무화과나무로 불린다. 1. 용어 무화과열매와 닮아 돌무화과로 불리지만 뽕나무과에 속한다. 학명은 ‘Ficus sycomorus’이다. 히브리어로 ‘시크마’이다. 영어로 ‘sycamore’로 번역된다. 그런데 동일한 이름의 북아메리카 sycamore마는 플라타너스의 일종이며, 근동의 돌무화과나무인 sycamore와는 완전히 다른 나무이다. 북아메리카의 시크마. 플라타너스의 일종이다. 여리고에 예수님을 보고 싶어 삭개오가 올라간 나무가 바로 돌무화과나무이다. 한국에서 보는 뽕나무보다는 무화과나무에 더 가..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8. 13.

[성경의 식물] 몰약(沒藥, Myrrh)

[성경의 식물] 몰약(沒藥, Myrrh) 1. 용어 히브리어는 ‘모르’이다. 헬라어로 ‘무라’이며, 아랍어는 ‘무르’이다. 아마 히브리어를 음역한 듯하다. 뜻은 ‘몹시 쓰다’이다. 팔레스타인 동남부에 자리한 아라비아,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 등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암석지대나 석회암 구릉지대에 잘 자라는 관목이다. 1-1.5m까지 자란다. 몰(沒)은 ‘가라 앉다’는 뜻이다.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서 잘 자라나는 식물이다. 콤미포라 나무로 불린다. 학명은 콤미포라 미르라(Commiphora myrrha)이다. 콤미포라 아비시니카(Commiphora abyssinica)도 비슷한 품종으로 함께 몰약으로 불린다. 몰약나무에서 얻어지는 것이 몰약이다. 몰약은 고대로부터 에션션오일의 여왕으로 불렸다. 이집트에..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8. 12.

대추 한알 / 장석주

대추 한알장석주 저게 저절로 붉어질 리는 없다 저 안에 태풍 몇 개 저 안에 천둥 몇 개 저 안에 벼락 몇 개 저 안에 번개 몇 개가 들어 있어서 붉게 익히는 것일 게다 저게 혼자서 둥글어질 리는 없다 저 안에 무서리 내리는 몇 밤 저 안에 땡볕 두어 달 저 안에 초승달 몇 날이 들어서서 둥글게 만드는 것일 게다 대추야 너는 세상과 통하였구나 Book 2019. 8. 12.

칼뱅주의 5대 교리 완전정복 / 정요석 / 세움북스

칼뱅주의 5대 교리 완전정복정요석 / 세움북스 칼뱅주의 5대 교리 완전정복국내도서저자 : 정요석출판 : 세움북스 2019.07.31상세보기 나올 것이 나왔다. 명시적 기다림은 암시적 소망의 발현일 것이다. 칼뱅주의 5대 교리는 칼뱅주의 신학을 대표한다 할 수 없을 지라도 칼뱅의 신학을 명징하게 드러낸 교리인 것은 분명하다. 개혁주의 신학을 추구하는 이들이라면 평생에 라는 단어는 수 천번은 언급할 것이다.(이하, 칼빈은 '칼뱅'으로) 그런데 '칼뱅주의 5대교리'라는 제목으로 책을 검색하면 불과 몇 권에 불과하고 그것도 비 전문가이거나 절판된 책들이다. 김기호 선교사가 2009년에 출판한 가 있고, 존 파이퍼의 라는 제목으로 2014년 두란노에서 번역 출간된 책이 있다. 하지만 존 파이퍼의 책은 품절된 상태.. Book 2019. 8. 11.

야채(野菜)와 채소(菜蔬)의 차이점

야채(野菜)와 채소(菜蔬)의 차이점 오늘은 야채와 채소의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지만 분명히 다른 단어이기 때문에 가끔 혼란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구분하기는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먼저 질문 하겠습니다. 1)토마토는 무엇입니까? 골라 보십시오.ㄱ.야채 ㄴ.채소 ㄷ.과일2) 수박은 무엇입니까? 골라 보십시오.ㄱ.야채 ㄴ.채소 ㄷ.과일토마토, 수박, 오이는 야채도 아니고 과일도 아닌 '채소'랍니다. 놀라셨나요? 그런데 정말 궁금한 건 어떤 기준에의해 이렇게 명명된 것일까요? 자, 그럼 야채와 채소의 차이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야채(野菜)와 채소(菜蔬)란 무엇인가?먼저, 야채(野菜)는 한자어가 나타내는 그대로 들(野)에서 자생하는 채소(菜)를 말합니다. 채소(菜蔬..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8. 11.

칼빈주의 5대교리(The Five Points of Calvinism)

칼빈주의 5대교리(The Five Points of Calvinism) 칼빈주의 5대 교리는 칼빈에 의해 주창된 다섯 가지 교리가 아니다. 칼빈주의에 입각하여 화란의 도르트 회의에서 알미니안 주의자들에 대한 반박으로 제시된 다섯가지 교리이다. 칼빈주의를 대표하는 교리가 아니며, 칼뱅의 신학에 정확하게 일치된 것도 아니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고 칼뱅의 이름만 가져온 것이 아니라 칼뱅주의적 관점에서 시대에 맞게 재해석된 교리라고 해야 옳을 것 같다. 5대교리를 영어로 표현할 때, 이니셜을 따라 T.U.L.I.P로 적는다. 칼뱅주의 5대 교리를 간략하게 소개하면 이렇다. *도르트 총회 (Dordt, Dordrecht) 또는 회의는 알미니안를 따르던 이들의 교리를 점검하고 대항하기 위해 소집된 화.. 교회사 2019. 8. 10.

[성경의 식물] 들호박, 들외(gourd, colocynth)

[성경의 식물] 들호박, 들외(gourd, colocynth) 1. 용어 히브리어로 ‘파쿠아’다. 학명은 ‘Citrullus colocynthis’로 넝쿨식물이다. 잎이나 줄기 등은 우리나라 수박과 거의 흡사하다. ‘수박’ ‘참외’ ‘호박’ 등으로 번역된다. 일반적으로 '콜로신스'로 불린다. 우리나라의 수박과 참외가 섞여 있는 듯한 모양과 크기다. 종류가 다양해 주먹만한 것에서 사람 머리 만큼의 크기도 있다. 아마도 비슷한 종류의 식물을 묶여 부르는 듯하다. 한국의 수박이나 참외처럼 수분을 많이 필요로하는 곳에서 자라지 않는다. 광야나 사막에서도 그런대로 잘 자란다. 그만큼 자생력이 뛰어나다. 환경이 좋은 곳에서 크게 자라고, 사막 등에서는 주먹만큼하다. 3-4월에 개화하여 두세 달 후에 열매를 맺는다...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8. 10.

[성경의 식물] 떨기나무(세네, heath, bush)

[성경의 식물] 떨기나무(세네, heath, bush) 1. 용어 떨기나무는 참으로 모호한 단어다. 다른 히브리어를 ‘떨기나무’라는 동일한 단어로 번역하기 때문이다. 로뎀나무, 아카시아 등도 떨기나무로 번역한다. 떨기나무는 '관목'을 말한다.[관목과 교목은 이곳에서 확인] 여기서는 히브리어 ‘세네’만을 다루기로 하자. 세네는 이집트 아카시아(egyptian acacia)로 불리며 개나리나무와 같은 관목이다. 가시가 있어 ‘가시 떨기나무’로 불리기도 한다. 중근동 지역에서 흔하며 광야에서 잘 자란다. 산기슭이나 광야 등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흔한 나무이다. 모세가 부름을 받을 때 불타던 떨기나무가 세네다. 이집트 벽화에 그려진 이집트 아카시아 이집트 아카시아는 광야에서 물 없이도 수백년을 살 수 있다고 한..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8. 9.

[성경의 식물] 돌감람나무(wild olive)

[성경의 식물] 돌감람나무(wild olive) 1. 용어산이나 들에서 자라는 야생 올리브 나무이다.(사 41:19) 바벨론 포로이후 초막적을 기념하기 위해 사용된 나무이다.(느 8:15) 70인역은 사이프러스 나무, 예루살렘 성경은 ‘소나무(pine)’로 번역했다. 가뭄에 강하고 들에서 잘 자란다. 아프리카 올리브(African Olive) 또는 들(야생) 올리브(Wild Olive) 가짜 올리브(False Olive) 등으로 불린다. 돌 올리브는 재배되는 올리브나무와 비슷하고 비슷한 품종이지만 열매는 많이 다르다. 먼저 기름이 많지 않고 향기롭지 않다. 또한 거의 사용할 수 없는 기름이다. 그래서 세균에 강한 돌 올리브나무 뿌리에 참 올리브 나무를 접붙여 사용된다. 참 올리브나무가 잘 자라는데 사용된..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8. 9.

[성경의 식물] 독초(毒草, gall, poisonous herb)

[성경의 식물] 독초(毒草, gall, poisonous herb) 1. 용어 독성이 매우 강한 풀로 히브리어로 ‘로쉬’이다. 이 단어는 구약에서 모두 12번 사용되었다. 한글 성경은 ‘독한 물’(렘 9:15; 23:15), ‘담즙’(애 3:19) ‘쓸개’(암 6:12)로 번역되었다. 동일한 ‘독초’ 또는 ‘인진’ ‘쑥’으로 번역된 ‘라아나’는 다른 단어이지만 비슷한 식물이다. 적지 않은 학자들은 로쉬와 라아나가 동일한 풀이 아닐까 추측한다. 사리풀이나 시리아 체꽃으로 보기도 한다. 로쉬는 ‘머리’ ‘우두머리’라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단어는 고유명사가 아닌 보편명사로 어떤 상태의 식물, 즉 독이 든 식물로 보는 것이 옳아 보일 수 있다. 로쉬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다른 독초에 비해 가장 많은 맹독..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8. 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