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469

사복음서(마가, 마태, 누가복음 그리고 요한복음)의 저작 시기에 대한 고찰

사복음서의 저작 시기에 대한 고찰사복음서(마가, 마태, 누가복음) 신약성경에는 특이하게 예수의 생애를 다룬 복음서가 네 가지가 있다. 성경의 순서에 따르면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을 순이다. 그러나 학자들을 대체로 마가복음이 가장 빠르다고 주장하며,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것을 ‘마가복음 우선설’이라고 한다. 그러나 근래의 몇몇 학자들은 마가복음 우선설에 희의적으로 반응한다. 그들의 주장은 일부이며, 마가복음 우선설을 재고할 근거가 희박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마가복음 우선설이 우세하다. 마태복음과 마가복음, 그리고 누가복음은 예수님의 어록을 정리한 Q문서를 기반으로 예수의 생애를 다루고 있다하여 공관복음으로 부른다. 공관복음은 동일한 관점에서 예수를 바라본다는 의미이지만, 비평학.. 신약복음서 2019. 3. 31.

일상행전 /류호준 / 세움북스

뜻밖의 선물에 아내는 즐거워한다. 아내 비명에 가까운 소리를 질렀다. 행복해하는 아내는 자신과 류호준 교수님과의 긴밀한? 관계를 자랑한다. 학비가 그렇게까지 비싸지 않았다면 류호준 교수님 지도하에 박사과정을 밟고 싶었다고. 그러나 올해 은퇴하셔서 더 이상 꿈을 이룰 수 없어 아쉬워한다. 아내는 류호준 교수님의 글들을 좋아한다. 좋아하는 수준을 넘어 책들이 나오는 즉시 구입하여 칠흑 같은 텍스트의 초원을 포효하며 질주한다. 류호준 교수의 무엇이 아내의 영혼을 사로잡았던 것일까? 그것은 평범을 비범함으로 치환시키는 매력적인 서사적 글쓰기 때문이 아닐까? 권태는 생각의 게으름이다. 사유하기를 멈추고, 다양성을 큰 범주 안에 함몰시키고, 일상 속에 숨겨진 경이를 찾고 싶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류효준 교수의 글.. Book 2019. 3. 30.

젤롯 / 레자 아슬란 / 와이즈베리

젤롯, 그는 진정 정치적 혁명가였을까? 레자 아슬란 / 민경식 옮김 / 와이즈베리 독서에도 크로노스가 아닌 카이로스가 분명 존재한다. 정확한 기억이 나지 않지만 몇 년 전 이 책을 사서 전반부를 읽다 포기했었다. 이유는 간단하다. 너무 식상했기 때문이다. 신앙의 대상이 아닌 정치적 혁명가로서의 예수 읽기는 진부한 방식이기 때문이다. 목차를 훑어보면서 결국 현대 교회를 원래 예수를 망각했으며, 윤색하여 자신들만의 왜곡된 예수를 믿고 있다고 주장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바울에 의해 로마화 된 예수를 현대교회는 ‘전통’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저자의 이러한 뻔한 도발은 이미 수많은 학자들의 의해 포기되거나, 변방의 주목받지 못한 이슈로 가라앉아버렸다. 그럼에도 언제나 예수에 대한 도전은 수많은.. Book 2019. 3. 27.

전가교리 관련 연구 도서들

전가교리 관련 연구 도서들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전가 교리가 논쟁이 되고 있다. 던을 중심으로 한 '바울에 관한 새 관점' 주의자들은 전통 개혁회가 중요시 하는 칭의와 전가 교리를 도외시하거나 부정한다. 칭의 논쟁의 핵심에는 전가 교리가 자리 한다. 예를 들어 갈 2:26에서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라고 말한다. 그런데 이 구절의 헬라어는 목적이 아닌 소유격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문법적 가능성 속에서 새 관점 주의자들은 소유격으로 해석해, '그리스의 믿음'으로 보고, 개혁주의자들은 '그리스도를 믿는'으로 해석한다. 이 해석의 차이는 바울 신학을 해석하는 중요한 틀이기도 하다. 루터가 목적격으로 해석한 이후 교회는 목적격으로 해석했다. 목적격으로 해석할 경우 '그리스도를 믿는다'가 된.. Book/주제별참고목록 2019. 3. 23.

[성경의 상징] 성경의 동물 비유

[성경의 상징] 성경의 동물 비유 성경은 상징으로 가득 차있다. 특히 동물 상징은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강력하고 빈번하게 사용된다. 비근(卑近)한 예로 하나님과 예수님을 ‘목자’로 이스라엘과 성도를 양으로 보는 것이다. 동물 상징은 히브리즘 안과 밖에서 흔하게 발견된다. 성경 속에서 동물 상징은 좀 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동물 상징의 정점을 요한계시록의 ‘어린양’이다. 왜 예수님은 복음서의 ‘인자’나 ‘주 그리스도’라 말하지 않고 ‘어린양’으로 표현한 것일까? 어린양은 구약에서 대속제물의 대표적 동물이며, 약한 존재이다. 아무런 저항도 하지 못하고 죽은 어린양이 세상을 구원하는 역설적 존재로 그려진다. 어린양 상징은 가장 약한 존재로 십자가에서 죽은 예수의 대속 사역을 가장 극명하게 드려낸다.구약.. 성경의세계/성경의동식물 2019. 3. 22.

헬라어 성경 낭독 마태복음(Matthew1-28)

헬라어 성경 낭독 마태복음표준번역인지 네슬알란트 판인지 정확하게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성경 본문과 함께 제공되니 헬라어 성경 읽기를 원하는 분들은 동영상과 함께 읽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마태복음 1-11장(Koine Greek - Matthew 1-11) 마태복음 12-20장(Koine Greek - Matthew 12-20) 마태복음 21-28장(Koine Greek - Matthew 21-28) 헬라어 성경 낭독 오디오이곳에 가시면 다양한 성경의 낭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신약복음서 2019. 3. 22.

[성경의 상징] 용(뱀) 드레곤 dragon

[성경의 상징] 용(뱀) 드레곤 dragon 성경에 용이 나올까? 성경에 뱀만 나온다고 생각하지만 아니다. 시편에도 나오고 요한계시록에 보면 용이 등장한다. 용이 등장하는 성경 구절을 보자. 요한계시록 외에 시편 두 번 등장한다. 시편 74:13 주께서 주의 능력으로 바다를 나누시고 물 가운데 용들의 머리를 깨뜨리셨으며 시편 148:7 너희 용들과 바다여 땅에서 여호와를 찬양하라 시편에서 등장하는 용들은 두 가지 의미를 함께 가진다. 74:13에서는 하나님을 대적하는 존재이고, 148:7에서는 단지 피조물로서 등장한다. 그 다음 등장하는 곳은 요한게시록이다. 약 12번 정도 등장한다. 계시록에서 용은 사단으로서 용이다. 계 12:9 큰 용이 내쫓기니 옛 뱀 곧 마귀라고도 하고 사탄이라고도 하며 온 천하를..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19. 3. 20.

[외경] 솔로몬의 시편(헬라어)

Septuagint: Psalms of Solomon 구약 외경 중의 하나인 헬라어 입니다. 한글 번역은 송혜경이 번역한 에 있습니다. Septuagint: Psalms of Solomon Chapter 1 1 ἐβόησα πρὸς κύριον ἐν τῷ θλίβεσθαί με εἰς τέλος πρὸς τὸν θεὸν ἐν τῷ ἐπιθέσθαι ἁμαρτωλούς 2 ἐξάπινα ἠκούσθη κραυγὴ πολέμου ἐνώπιόν μου εἶπα ἐπακούσεταί μου ὅτι ἐπλήσθην δικαιοσύνης 3 ἐλογισάμην ἐν καρδίᾳ μου ὅτι ἐπλήσθην δικαιοσύνης ἐν τῷ εὐθηνῆσαί με καὶ πολλὴν γενέσθαι ἐν τέκνοι.. BIble Note 2019. 3. 19.

구약의 5대제사 5. 속건제(Guilt Offering)

구약의 5대제사 5. 속건제(Guilt Offering) [구약의 5대제사] 출간되었습니다. 소개레위기는 결코 쉬운 성경이 아니다. 제사 자체가 낯설고 특이하다. 또한 구약 전반을 연구하면 레위기에 나타난 제사들이 특징들이 섞여 있거나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많은 경우 한 번 제사 지낼 때 번제와 화목제, 화목제와 속죄제를 함께 드리는 경우가 흔하다. 그렇기 때문에 각 제사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이해하는 것이 어렵다. 구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레위기의 제사법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책에서는 각 제사의 용어, 드리는 방법, 제사가 갖는 의의와 신약적 연관성들을 찾는 작업을 한다. 다양하게 흩어진 제사법과 복합적으로 표현된 제사들을 구분하여 각 제사의 특징들을 보다 명.. BIble Note 2019. 3. 16.

구약의 5대제사 4. 속죄제(Sin Offering)

구약의 5대제사 4. 속죄제(Sin Offering) 4.1 용어 속죄제는 레위기 4:1-6:7에 걸쳐 소개된다. ‘하타트’라는 단어에서 왔다. ‘과녁에서 벗어나다’ ‘죄를 짓다’ 속죄하다‘라는 뜻을 가진다. 죄를 짓고 나서 속죄하기 위해 드려지는 제사이다. 죄와 상관없는 제사는 없지만, 속죄제의 경우 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다. 1970년대 새로운 속죄제 이론과 더불어 정결제(purification offering)로 부르기로 제안했다. 트렘페 롱맨Ⅲ와 레이몬드 딜러드 역시 ‘정결제’로 부른다. 정결제로 부르는 이유는 제사방법에 대한 것이 아니라 용어 때문이다. 속죄제에 대한 내용은 레 4:1-5:13까지 나와 있지만, 6:25-7:7에서 속건제와 함께 다루어진다. 고의적인 죄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 BIble Note 2019. 3.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