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설교119
교사 부흥회 설교-하나님께 사로잡힌 교사
신평로강단-슬픔이 변하여 찬송이 되어(이성복목사)
신평로강단-광야논쟁
광야 논쟁(마태복음 4:1-4) 오늘의 논쟁은 광야의 논쟁입니다. 마태 사도는 하나님의 나라라는 관점으로 예수님의 생애를 풀어나가면서 하나님의 나라의 원리는 무엇인가를 질문하며 도전합니다. 예수님은 공생애를 시작하기 전에 예수님은 몇 가지의 의식을 치르게 됩니다. 첫 번째 의식은 3장 후반에 기록된 대로 세례요한에게 가서 요단강에서 세례를 받습니다. 두 번째 사역은 오늘 말씀에서 읽은 광야에서 40일간의 금식을 통해 그 옛날 이스라엘 백성들이 던졌던 그 해묵은 논쟁을 마무리하려 하십니다. 첫째, 광야는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소명의 장소입니다. 주님께서 광야로 가신 이유는 성령에 이끌렸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성령에 이끌려 살았습니다. 성령께서 광야로 이끌었을 때 예수님을 순종하셨고, 그곳에서 금식하시고 광..진주장사의 비유(마태복음 13:45-46)
진주장사의 비유 밭에 감추인 비유가 천국을 발견한 사람들의 이야기라면, 진주장사의 비유는 전적으로 하나님 나라의 능동성에 관한 것입니다. 앞의 비유가 ‘우연히 찾게 된 천국’이라면, 이번의 비유는 진주장사가 값진 진주를 찾아 헤매었다는 것입니다. ‘구하는’이라는 동사로 쓰인 ‘제토운티’라는 단어는 ‘제테오’라는 단어의 ‘현재 능동태 동사’로 ‘계속하여 찾고 있다’, 갈망하다 추구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진주 장사는 값진 진주를 찾기 위해 열정적으로 노력한다는 뜻이다. 길을 갈 때도 아무렇게나 지나치지 않고 주의 깊게 보고, 진주를 파는 상점에 들어가면 면밀히 검토해 본 다음 정말 값진 진주가 있는가를 살폈다는 말이다. 그러고 나서 그는 그것을 발견한 것입니다. 진주장사는 발견하고 극히 값진 진주 하나..인자의 죄사하는 권세 / 마가복음 2:1-12
인자의 죄사하는 권세 마가복음 2:1-12 마가복음 2장은 ‘수 일 후에’로 시작합니다. 그렇다면 본 사건이 있기 전 며칠 전에 또 다른 사건이 있었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것은 마가복음 1:40-45에서 나타난 대로 나병환자를 고치신 사건이었습니다. 한 나병 환자가 예수님께로 와서 ‘당신이 원하시면 저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예수님께서는 1:41에 기록된 대로 ‘불쌍히 여기사’ 그를 고쳐주셨습니다. 그리고 나서 ‘몸을 제사장에게 보이고 모세가 명한 것을 드려 그들에게 입증하라’고 당부합니다. 이곳에서 중요한 것은 ‘입증’하는 것입니다. 주님은 그 나병환자에게 ‘아무에게도 알리지 말라’고 했지만 치유함을 받은 나병환자는 ‘나가서 많은 이 일을 많이 전파하’였습니다. 그리고 수..설교/ 광야논쟁 마태복음 4:1-4

발인예배 / 고전15:29-34
발인예배 고전15:29-34 지금도 그렇지만 죽음에 대한 조상들의 생각은 고향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죽었다는 말보다는 ‘돌아가셨다’라고 표현합니다. 돌아가셨다는 말이 무슨 뜻일까요? 그것은 어디론가 가셨다는 것인데, 신앙을 떠나서 모든 인류의 생각 속에는 현세가 전부가 아니라 태어나기 전에 어디에선가 왔다고 생각했습니다. 죽음을 처음 왔던 곳으로 되돌아간다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우리나라 전설에도 보면 사람이 죽으면 황천이란 곳에 가게 된다고 믿었습니다. 그곳에 가서 상벌을 받고 천당과 지옥으로 간다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이집트 장례예식에도 죽음은 원래 영혼이 있었던 곳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해서 귀족이상의 사람들은 사람의 시체를 미라로 만들어 배에 실어 두었다고 합니다. 그 배를 타고 음부의 ..발인예배설교-내게오라
새벽설교-나그네로서의 삶의 방식
나그네로서의 삶의 방식 본문 벧전 2:11-17 거류민 나그네 육체의 정욕을 제어하라. 성도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지금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이다. 우리는 가끔 지금 이곳이 너무 좋기 때문에 자신이 누군지 어디로 가는지를 망각(妄覺)할 때가 많다. 성도라 할지라도 완전한 영화에 이르지 않았기 때문에 우린 마음 속에는 여전히 부패한 본성이 역사하고 있어서 끊임없이 세상의 것을 탐하고 살아간다. 베드로 사도는 이것을 ‘영혼을 거스려 싸우는 육체의 정욕’ 이라고 표현한다. 뗄 수 없는 것이지만 포용하고 관용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싸움의 대상인 것이다. 천로역정에 보면 순례자의 길을 가다 망각의 땅에 이르게 된다. 그곳에서 잘못하면 과거를 잃어버리고 현재에 만족하며 살아가게 된다. 이 세상은 우리들에게 천국의..부활의 증인이 되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