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5509

헬라어 성경 낭독 마태복음(Matthew1-28)

헬라어 성경 낭독 마태복음표준번역인지 네슬알란트 판인지 정확하게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성경 본문과 함께 제공되니 헬라어 성경 읽기를 원하는 분들은 동영상과 함께 읽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마태복음 1-11장(Koine Greek - Matthew 1-11) 마태복음 12-20장(Koine Greek - Matthew 12-20) 마태복음 21-28장(Koine Greek - Matthew 21-28) 헬라어 성경 낭독 오디오이곳에 가시면 다양한 성경의 낭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신약복음서 2019. 3. 22.

[성경의 상징] 용(뱀) 드레곤 dragon

[성경의 상징] 용(뱀) 드레곤 dragon 성경에 용이 나올까? 성경에 뱀만 나온다고 생각하지만 아니다. 시편에도 나오고 요한계시록에 보면 용이 등장한다. 용이 등장하는 성경 구절을 보자. 요한계시록 외에 시편 두 번 등장한다. 시편 74:13 주께서 주의 능력으로 바다를 나누시고 물 가운데 용들의 머리를 깨뜨리셨으며 시편 148:7 너희 용들과 바다여 땅에서 여호와를 찬양하라 시편에서 등장하는 용들은 두 가지 의미를 함께 가진다. 74:13에서는 하나님을 대적하는 존재이고, 148:7에서는 단지 피조물로서 등장한다. 그 다음 등장하는 곳은 요한게시록이다. 약 12번 정도 등장한다. 계시록에서 용은 사단으로서 용이다. 계 12:9 큰 용이 내쫓기니 옛 뱀 곧 마귀라고도 하고 사탄이라고도 하며 온 천하를.. 성경의세계/성경의 상징 2019. 3. 20.

[외경] 솔로몬의 시편(헬라어)

Septuagint: Psalms of Solomon 구약 외경 중의 하나인 헬라어 입니다. 한글 번역은 송혜경이 번역한 에 있습니다. Septuagint: Psalms of Solomon Chapter 1 1 ἐβόησα πρὸς κύριον ἐν τῷ θλίβεσθαί με εἰς τέλος πρὸς τὸν θεὸν ἐν τῷ ἐπιθέσθαι ἁμαρτωλούς 2 ἐξάπινα ἠκούσθη κραυγὴ πολέμου ἐνώπιόν μου εἶπα ἐπακούσεταί μου ὅτι ἐπλήσθην δικαιοσύνης 3 ἐλογισάμην ἐν καρδίᾳ μου ὅτι ἐπλήσθην δικαιοσύνης ἐν τῷ εὐθηνῆσαί με καὶ πολλὴν γενέσθαι ἐν τέκνοι.. BIble Note 2019. 3. 19.

구약의 5대제사 5. 속건제(Guilt Offering)

구약의 5대제사 5. 속건제(Guilt Offering) [구약의 5대제사] 출간되었습니다. 소개레위기는 결코 쉬운 성경이 아니다. 제사 자체가 낯설고 특이하다. 또한 구약 전반을 연구하면 레위기에 나타난 제사들이 특징들이 섞여 있거나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많은 경우 한 번 제사 지낼 때 번제와 화목제, 화목제와 속죄제를 함께 드리는 경우가 흔하다. 그렇기 때문에 각 제사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이해하는 것이 어렵다. 구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레위기의 제사법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책에서는 각 제사의 용어, 드리는 방법, 제사가 갖는 의의와 신약적 연관성들을 찾는 작업을 한다. 다양하게 흩어진 제사법과 복합적으로 표현된 제사들을 구분하여 각 제사의 특징들을 보다 명.. BIble Note 2019. 3. 16.

구약의 5대제사 4. 속죄제(Sin Offering)

구약의 5대제사 4. 속죄제(Sin Offering) 4.1 용어 속죄제는 레위기 4:1-6:7에 걸쳐 소개된다. ‘하타트’라는 단어에서 왔다. ‘과녁에서 벗어나다’ ‘죄를 짓다’ 속죄하다‘라는 뜻을 가진다. 죄를 짓고 나서 속죄하기 위해 드려지는 제사이다. 죄와 상관없는 제사는 없지만, 속죄제의 경우 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다. 1970년대 새로운 속죄제 이론과 더불어 정결제(purification offering)로 부르기로 제안했다. 트렘페 롱맨Ⅲ와 레이몬드 딜러드 역시 ‘정결제’로 부른다. 정결제로 부르는 이유는 제사방법에 대한 것이 아니라 용어 때문이다. 속죄제에 대한 내용은 레 4:1-5:13까지 나와 있지만, 6:25-7:7에서 속건제와 함께 다루어진다. 고의적인 죄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 BIble Note 2019. 3. 16.

구약의 5대제사 3. 화목제(Fellowship Offering)

구약의 5대제사 3. 화목제(Fellowship Offering) 3.1 용어 레위기 3장에 기록되어있고, 7:11-36에서 추가적인 설명이 덧 붙여 진다. 화목제의 히브리어 ‘제바흐 쉐라밈’은 ‘동물을 살육하다’ ‘죽이다’ ‘제사 드리다’라는 뜻을 가진 ‘자바흐’에서 파생된 단어다. 뜻은 ‘완전한’ ‘공평한’ ‘정의로운’이란 뜻을 지닌 솨렘이란 단어와 합성되어 하나님과 완전한 관계를 갈망하거나, 평화를 원할 때 드리는 제사이다. 직접적인 죄와 관련이 없는 제사이지만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위한 제사라는 점에서 번제와 소제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1-5절 소의 제물5-11절 양의 제물12-17절 염소의 제물 화목제 역시 앞선 두 제사와 동일하게 불로 제물을 태워 드리는 화제(火祭)이다. 그러나 이전의 .. BIble Note 2019. 3. 16.

구약의 5대제사 2. 소제(Grain Offering)

[구약의 5대제사 ]2. 소제(Grain Offering) 2.1 용어 소제는 2장과 6-7장에 걸쳐 기록되어 있다. 2장을 중심으로 소제를 살펴보자. 2장의 구조 1-3절 굽지 않는 소제물4-10절 구운 소제물11-16절 소제물에 대한 각종 규례 소제는 ‘민하’이다. 민하는 ‘분배하다’ ‘수여하다’라는 ‘마나’에서 유래했다. 듯은 ‘헌물’ ‘선물’ ‘조공’의 뜻을 가진다. 곡물로 드리는 피 없는 제사이다. 일종의 감사제이며, 다른 제사와 함께 드려진다. *민하() 소제로 번역된 ‘민하’는 구약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단어이다. 대체로 선물이나 예물로 번역된다. 그러나 단순한 선물이 아니라 식민국이 지배국에게 받쳐야 하는 곡물(조공)이나(왕상 5:1) 마음을 사기 위해 드리는 대가성 선물을 뜻한다. 제의.. BIble Note 2019. 3. 16.

이스라엘의 5대 제사-레위기를 중심으로

이스라엘의 5대 제사-레위기를 중심으로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시내산에 도착에 모세를 통해 율법을 받았다. 이날은 출애굽한 오십 일째 되는 날이라 하여 오순절이라 부른다. 구약의 절기 속에서 오순절은 추수 때와 맞물려있다. 신약에서는 사도행전 2장에서 성령강림 사건과 연결되면서 영적 추수의 의미로 확장된다. 십계명을 받은 다음 이스라엘이 한 일은 하나님께서 거하실 장막을 건축하는 일이다. 이렇게 하여 출애굽기는 마무리 된다. 출애굽기의 연장인 레위기는 완성된 장막의 기능이 무엇인지 조목조목 알려 주신다. 장막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제사’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장막에서 제사함으로 특별한 존재로 정립된다. 레위기는 드려지는 다양한 제사를 소개하고 있다. 구약의 제사는 크게 5가지 종류이다. 번제, 소.. BIble Note 2019. 3. 16.

[저자읽기] D.S.러셀(D.S. Russell)

[저자읽기] D.S.러셀(D.S. Russell) 데이빗 사임 러셀(1916-2010) 유대 묵시문학을 공부하면서 찾아낸 저자이다. 현재 번역된 책은 두 권인데 한 권은 절판이고, 다른 한 권만 판매되고 있다. 현재 알라딘에서만 판매되고 나머지는 절판된 상태다. 왜 이 분이 한국에 거의 소개되지 않았고, 학계에서도 관심 외의 학자로 알려져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 나중에 시간이 지나면 알 수 있으려나? 컨콜디아사. 1995. 절판 홍성혁 옮김, 제라서원, 20120720 출간도서 영어 Between the Testaments (1960)The Method and Message of Jewish Apocalyptic: 200 BC – AD 100 (1964)Jews from Alexander to Hero.. Book 2019. 3. 16.

갈라디아서에 나타난 바울의 율법관

갈라디아서에 나타난 바울의 율법관-갈라디아서에 나타난 ‘율법(νόμος)’의 용례 ‘율법(νόμος)’이란 단어는 25개의 절에서 32회 사용된다. 율법으로 의롭게 되지 못한다는 의미로서 사용된 경우는 2:16에서 2회 사용되는 것을 비롯해 모두 6회 사용된다.- 2:16, 2:21, 5:4, 3:11;21 (1) 율법과 의 2:16 사람이 의롭게 되는 것은 율법의 행위로(ἐξ ἔργων νόμου) 말미암음이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διὰ πίστεως Χριστοῦ Ἰησοῦ) 말미암는 줄 알므로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믿나니 이는 우리가 율법의 행위로써가 아니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의롭다 함을 얻으려 함이라 율법의 행위로써는 의롭다 함을 얻을 육체가 없느니라2:21 내가 하나님의 은.. 신약서신서 2019. 3. 14.

[독서일기] 바울의 새 관점을 읽다

[독서일기] 바울의 새 관점을 읽다2019년 3월 13일 드디어, 정말 드디어 책이 도착했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구입한 책 중에서 가장 비싼 책입니다. 몇 달 전, 출판사에서 책을 펴내야 하는데 재정적인 위기로 인해 세상에 나오지도 못하고 묻힐 뻔한 책입니다. 당시 제가 조금이라도 돈이 있었다면 당장 구입했을 책이지만, 그때는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아 살 엄두를 내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다시 공부를 시작하면서 바울의 새 관점을 읽어야 했습니다. 지금까지 톰 라이트를 비롯해, 던과 샌더스 등 새 관점 주의자들의 책을 읽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취미 삼아 읽은 책들이었기에 마음에 두지 않았습니다. 또한 어떤 책을 먼저 읽어야 할지도 정하지 못했습니다. 누군가는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다'라고 말했다죠. 당장 발.. Book 2019. 3. 13.

교회, 난민을 품다 / 스티븐 바우만·매튜 소렌스·이쌈 스메어 / 김종대 옮김 / 토기장이

교회, 난민을 품다스티븐 바우만·매튜 소렌스·이쌈 스메어 / 김종대 옮김 / 토기장이 ‘난민’ 어색하고 낯선 존재다. 난민들의 모습은 외국 TV 채널에서만 볼 수 있는 낯선 장면들이었다. 우리와 아무 상관이 없고, 머나먼 곳에서 일어나는 특이한 사건들로 치부했다. 그런데 ‘난민’은 우리의 삶 깊이 파고들었다. 굳이 난민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현재 우리나라에 외국인들은 흔하다. ‘외국인’ 아쉽게도 이 단어도 틀린 단어다. 그들은 엄연히 한국 사람이고, 대한민국 사람이다. 어색하지만 한국어를 말하고, 주민등록증도 가지고 있다. 우리는 그들을 다문화 가정이라고 부른다. 고향을 떠나 한국에 와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생활을 하고 있는 한국 사람들이다. 그럼 난민은 누구일까? 그들은 아직 한국인이 아.. Book 2019. 3. 13.

갈라디아서 수신자들 : 남갈라디아설과 북갈라디아설

갈라디아서 수신자들 : 남갈라디아설과 북갈라디아설1. 수신자들갈라디아서의 수신지는 어디일까? 학자들은 북갈라디아설과 남갈라디아설로 치열하게 공방한다. 그것이 갈라디아서를 해석함에 있어서 크게 지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독자들에 대한 이해는 갈라디아서를 잘 이해할 수 있다.북갈라디아설소아시아 북부의 원래의 갈라디아 지방에 위치할 것으로 본다. 사도행전 16:6, 18:23에 언급된 갈라디아는 북갈라디아라고 본다. 교부 시대와 중세, 그리고 종교개혁가들은 북갈라디아설을 지지한다. 그들은 갈라디아교회가 소아시아 북부에 위치한 고올족 또는 켈트족 혈통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쓰여 졌다고 생각한다. 주후 74년경 베스파시안 황제는 갈라디아로부터 비시디아의 거의 대부분을 분리시켰다. 주후 137년에는 루가오니아 갈라티카.. 신약서신서 2019. 3. 12.

저자 읽기 모세실바

저자 읽기 모세실바모세 실바 (Moisés Silva, 1945년 9월 4일 - ) 모세 실바는 쿠바 출신의 미국의 성경 신학자이다.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를 졸업하고 영국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F. F. 브루스와 제임스 바 밑에서 공부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모교인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교수를 하였고 고던 콘웰 신학교에서 은퇴하였다.(출처 위키백과 모세 실바)명성에 비해 모세 실바의 책은 한국의 거의 번역되지 않았다. 현재 번역 출판된 책들은 아래와 같다. 안타깝게 필자는 아직 모세 실바의 책은 단 한 권도 읽지 못했다. 그러나 바울의 새 관점 논쟁에 관련된 논문을 읽다보면 모세 실바의 이야기는 심심치 않게 들린다.[출간도서]70인역 성경으로의 초대캐런 좁스와 함께 공저한 책이다. 2012년 김구원에.. Book 2019. 3. 12.

칠십인역(septuaginta)이란 무엇인가?

칠십인역(septuaginta)이란 무엇인가?70인역 출애굽기 일부분 칠십인역을 라틴어로 70을 뜻하는 셉투어진타(septuaginta)라고 부른다. 셉투아진트(Septuagint)로도 불리며 LXX로 간략히 표기한다. 70인역은 기원전 300년경 번역되었거나 집필된 고대 그리스어인 코이네 헬라어로 기록되어 있다. 구약 성경을 헬라어로 번역한 것으로 헬라어로된 구약성경인 것이다. 그리스 정교회는 아직도 공식 전례 본문으로 인용한다.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구약성경은 맛소라 사본을 기본 텍스트로 삼아 번역한 것들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 구약성경의 순서는 맛소라가 아닌 70인 역을 따른다. 70인 역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는 아리스테아스 편지(the Letter of Aristeas)에 남겨져 있다. 이 .. BIble Note 2019. 3.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