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일상이야기956 이항대립 이항대립이항 대립(binary opposition)은 의미적으로 대립하는 관련된 용어나 개념의 쌍이다. 머리와 꼬리와 종려나무 가지와 갈대 선지자는 이러한 이항 대립을 통해 흔들리는 종려나무인 가장 존경받는 자들부터 휘어지는 갈대인 가장 비천한 자들까지 지도층 전체를 다가올 멸망에 포합 시킨다.(존 오스왈트, 이사야주석1. 298쪽) 장남과 막내, 한라산과 백두산. 일등과 꼴찌. 이렇게 비교하는가? 일상이야기/팡......세 2017. 5. 12. 더보기 ›› [글쓰기특강] 글쓰기 특강을 시작합니다 [글쓰기특강] 글쓰기 특강을 시작합니다 오늘 카테고리를 정리하면서 '글쓰기 특강'을 넣었습니다. 개인적으로 글쓰기를 힘들어 하시는 분들을 위한 자리입니다. 저의 개인적인 주특기는 서평이지만, 요즘은 잘 쓰지 않습니다. 일상 이야기와 성경 묵상글을 주로 쓰고 있습니다. 주제는 서평, 성경 묵상, 일기. 이렇게 세 가지를 다루겠습니다. 어떤 순서를 따라 적기 보다 그날 그날 즉흥적으로 필요한 것을 적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일상이야기/글쓰기특강 2017. 4. 8. 더보기 ›› 오스왈드 챔버스 책 구입했습니다. 오스왈드 챔버스 책 구입2010년 12월 10일 오스왈드 챔버스 책 구입했습니다. 놀라운 통찰력과 경건의 깊이가 느껴지는 귀한 목사님이십니다. 일상이야기 2017. 3. 17. 더보기 ›› 우리 살아가는 날 동안 / 용혜원 우리 살아가는 날 동안용혜원 우리 살아가는 날 동안눈물이 핑 돌 정도로 감동스러운 일들이 많았으면 좋겠다.우리 살아가는 날 동안가슴이 뭉클할 정도로감격스러운 일들이 많았으면 좋겠다 우리 살아가는 날 동안서로 얼싸안고기뻐할 일들이많았으면 좋겠다 너와 나 그리고 우리 모두에게온 세상을 아름답게할 일들이 많았으면 정말 좋겠다우리 살아가는 날 동안에 일상이야기/팡......세 2016. 6. 28. 더보기 ›› 망고 한 조각의 기적 망고 한 조각의 기적삶은 반전(反轉)으로 가득 차 있다. 서부 아프리카 시에라리온에서 태어나 반군에 의해 손목이 잘린 마리아투 카마라 이야기를 담은 이란 책이 있다. 주인공인 마리아투 카마라는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어린 시절 반군에 의해 손이 잘린다. 고통을 무릅쓰고 겨우 탈출한다. 그 과정에서 한 남자가 망고 한 조각을 건네주며 희망을 포기하지 말라고 말한다. 수용소에서 어린 나이에 원치 않는 아이를 낳았지만 곧 죽고 만다. 수많은 죽을 고비를 넘기고 자살을 시도하지만 실패한다. 그러나 2002년 캐나다로 건너가 새 삶을 시작한다. 캐나다에서 대학생이 되어 분쟁지역 아동보호 유니세프 특사로 활동하기에 이른다. 전쟁으로 상처받고 고통 받는 아이들을 위해 전적으로 삶을 헌신하며 살고 있다. 마리아투는 과 .. 일상이야기/교회교육 2015. 11. 1. 더보기 ›› [목회칼럼] 6마리의 꿀벌은 왜 죽었는가? [목회칼럼] 6마리의 꿀벌은 왜 죽었는가? 칼 웨익 교수, 그는 미시건 대학에서 조직행위학자로 일하고 있다. 어느 날, 그는 6마리의 꿀벌을 유리병에 넣고 병의 바닥이 창가를 향하도록 눕히고 뚜껑을 열어 두었다. 꿀벌들은 병에서 나가기 위해 윙윙거리며 출구를 찾았다. 그러나 밝을 쪽으로만 이동하려는 습성 때문에 반대쪽의 출구를 찾지 못하고 결국 모두 죽고 말았다. 이번에는 6마리의 파리를 집어넣고 동일한 실험을 했다. 놀랍게도 파리는 2분도 되지 않아 반대편의 출구를 찾아 탈출해 버렸다. 파리보다 꿀벌이 더 진화하여 똑똑하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집단생활을 하며, 사회성이 발달되어 자기들만의 신호체계를 통해 힘을 합해 어려움을 뛰어넘는다. 그런데 문제 앞에 봉착했을 때 꿀벌은 의외로 한 가지 방법만을 고집..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5. 10. 25. 더보기 ›› [목회칼럼] 바넘효과 [목회 칼럼]바넘 효과 19세기 말 서커스 사업가로 유명한 바넘(P.T.Barnum)은 “매 순간마다 바로 혹은 멍청이가 생긴다”고 말했다. 서커스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내는 일을 맡고 있던 바넘은 사람들에게 보편적인 이야기를 하면 그것을 자신의 특정한 성격으로 그대로 수용하는 것을 보았다. 1940년대 심리학자였던 포러(Bertram Forer) 역시 간단한 성격 검사를 통해 바넘 효과를 증명했다. 그의 이름을 따서 ‘포러 효과’라고도 한다. 포러는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각각의 테스트를 한 뒤, 결과와 상관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동일한 결과 내용을 나누어 주었다. 그는 테스트 결과지를 나누어준 뒤 학생들에게 자신에게 맞는지 그렇지 않은지 평가하도록 했다. 그런데 대부분의 학생들..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5. 10. 18. 더보기 ›› [목회칼럼] 그림자를 팔아 버린 사람 [목회칼럼] 그림자를 팔아 버린 사람 1814년,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의 라는 철학 같은 소설의 이야기다. 가난한 청년 슐레밀, 이름의 뜻은 ‘신에게 사랑을 입은 자’이다. 그러나 그는 가난했고, 사람들에게 모욕을 당했으며, 삶은 절망적이었다. 현실은 그의 이름을 철저히 배신한다. 그는 가난을 저주했다. 지워버리고 싶었다. 어느 날, 추천장을 가지고 도시의 실력자였던 존의 집을 찾아간다. 그에게 일자리를 부탁할 참이었다. 바로 그곳에서 회색 옷을 입은 남자가 은밀하게 접근한다. 그는 슐레밀에게 놀라운 제안을 한다.“당신의 그림자를 내게 팔면, 금화를 쏟는 마법 주머니를 주겠고.” 순간 슐레밀은 긴장한다. 그러나 가난을 추방시켜줄 유일한 힘인 마법 주머니에 이끌려 스스로를 설득한다. “이 따위 하찮은 그림..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5. 10. 11. 더보기 ›› [목회칼럼] 지혜로운 새 [목회칼럼] 지혜로운 새 한 페르시아 상인이 새장에 인도의 새를 키우고 있었다. 인도 여행을 앞둔 어느 날, 상인은 새에게 물었다. “선물을 사다줄까?” “아니요, 제가 원하는 것은 자유뿐이에요.” “하지만 난 네게 자유를 줄 생각은 없는걸.” “그럼, 제가 태어난 곳 인도에 있는 숲에 가서 다른 새들에게 제가 잡혔다고 말해 주세요.” “좋다. 그렇게 하마.” 주인은 약속대로 새가 가르쳐준 인도의 숲에 들어가 이러이러한 새를 잡아 가두었다고 말했다. 그랬더니 가장 높은 가지에서 새 한 마리가 생기를 잃고 떨어졌다. 상인은 아마도 새의 부모가 상심하여 떨어진 것이라고 생각했다. 집으로 돌아온 상인은 인도의 새에게 그 사실을 알려 주었다. 그러자 이번에는 새 장의 새가 바닥에 떨어지더니 꼼짝을 하지 않았다...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5. 10. 4. 더보기 ›› [목회칼럼] 페도가프가 죽은 이유 [목회칼럼] 페도가프가 죽은 이유 1981년, 폴란드에서 살인사건이 일어났다. 페도가프라는 사람이 복수하기 위해 저지른 살인이었다. 그의 키는 2m가 넘었고, 몸무게는 115kg이나 되는 거구였다. 성격도 포악하기 그지없었다. 몇 명의 경찰이 포위작전을 통해 겨우 페도가프를 붙잡았다. 그는 결국 사형선고를 받고 죽음만을 기다리는 신세가 되었다. 심리학자였던 놀그란 박사는 페도가프를 실험하기로 했다. 사형이 집행 되는 날, 놀그란 박사는 페도가프를 사형 집행실(사실은 실험실이다)로 데려갔다. 세 평 남짓한 좁은 공간의 집행실에는 수술대와 스테인그라스 도구대가 있었다. 도구대 위에는 예리한 메스와 혈액을 담는 통이 있었다. 페도가프는 공포에 질렸다. 이상야릇한 미소를 지은 놀그란 박사는 날카로운 메스를 손에.. 일상이야기/목회칼럼 2015. 9. 20. 더보기 ›› 728x90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96 다음